[키워드체크] 2022 단백질 트렌드 발표, 단백질 식품 대세는?!

단백질’ 트렌드 지속, 관련 식품 가파른 성장세 보여!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이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코로나19 이후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자기관리에 힘 쓰는 MZ세대를 중심으로 한 단백질 식품의 인기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일부 운동 마니아층의 전유물을 넘어 단백질이 건강에 필수적인 ‘영양식’이라는 인식이 점차 강해지면서 단백질 관련 식품들이 주목을 받고 있다.

근육량을 키워 체형 관리에 집중하는 젊은층부터 부족한 영양소를 보충해 건강을 챙기려는 중장년층까지 다양한 세대로 수요가 확대되고 있다.

 

실례로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aTFIS)에 따르면, 국내 단백질 식품 시장 규모는 2018년 814억 원에서 2021년 3364억 원으로 4배 이상 늘었다. 업계에서는 올해 단백질 식품 시장이 4000억 원대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최근 식품외식업계에서는 일상 속에서 간편하게 단백질을 채울 수 있는 음료, 간식, 식사 등 다양한 형태의 식음료 제품을 선보이며 건강한 삶을 가꿔나가는 소비자들을 공략하고 있다.

 

 

특히 운동 후 간단히 섭취하기 좋은 ‘RTD(Ready To Drink, 바로 마실 수 있게 제작된 음료)’ 형태의 단백질 식품 수요가 눈에 띈다.

 

웰니스 브랜드 일일하우가 빅데이터 분석 프로그램 루시(Lucy 2.0)를 활용해 2021년 5월 30일부터 2022년 5월 30일까지 단백질 식품 연관어를 분석한 결과, ‘단백질’과 ‘음료’가 함께 언급된 정보량은 16만 781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26.3% 증가한 것으로 확인됐다.

 

뒤이어 ‘영양제(+16.8%)’, ‘건강식품(+14.1%)’도 증가세를 보였다. 이에 비해 물이나 우유에 타 먹는 분말 형태인 ‘파우더’와 ‘단백질 쉐이크’의 정보량은 13% 하락해 관심도가 줄었다.

 

 

단백질 음료는 간식이나 식사 대용으로 간편하게 섭취할 수 있는 편리성과 기존 대비 개선된 단백질 함량, 영양 성분 등을 앞세워 단백질 식품 시장의 대세를 이끌고 있다. 가볍게 운동을 즐기는 이들부터 운동 전문가까지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키는 점도 인기 요인으로 작용했다.

 

MZ세대를 중심으로 채식주의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이른바 `비건 프로틴밀`도 주목받는 추세다. 같은 기간 `채식`, `식물성 단백질` 등 비건 프로틴 관련 키워드의 언급량은 전년 동기와 비교해 47.45% 증가한 29만 7,546건이었다.

 

 

`닭가슴살(+2.4%)`, `소고기(+5.5%)`, `계란(+5.2%)의 증가율이 한 자릿수에 그친 것과 대조되는 결과다. 흔히 단백질 섭취의 기본은 육류로 여겨졌지만, 관련 제품군이 세분화되면서 소비자들이 자신의 취향에 맞는 식물성 제품으로 눈길을 돌린 것이다.

 

 

국내 비건 프로틴밀 시장은 일일하우가 지난해 12월 `일일하우 식물성 프로틴밀`을 출시하면서 본격적으로 형성됐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제품은 단백질 음료 및 비건 시장 성장세에 힘입어 시장에 안정적으로 진입했다.

 

일일하우 식물성 프로틴밀의 올해 2분기 매출액은 전 분기 대비 344.4% 증가했고, NS홈쇼핑 등 홈쇼핑에서도 `완판` 기록을 세웠다. 2022년 누적 판매량은 50만팩 이다

 

 

일일하우 식물성 프로틴밀은 100% 비건 인증을 획득했으며 1회 제공량(250mL)당 22g의 단백질을 포함했다. 식물성 단백질 제품에서 부족할 수 있는 필수 아미노산을 모두 함유해, `완전 단백질`을 구현해낸 것이 기존 단백질 음료와의 차별점이다.

 

일일하우는 편의점, 백화점, TV홈쇼핑, 공식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오프라인 팝업스토어 등 온오프라인으로 유통 채널을 확대하며 제품 인지도를 높여왔다. 향후 판매 채널 다양화 전략을 지속 추진하고, 소비자 요구에 맞춘 다양한 맛의 프로틴밀 신제품을 선보이며 시장을 선점하겠다고 회사측은 설명했다.

 

일일하우 관계자는 "단백질 섭취에 대한 긍정적인 소비자 인식과 환경을 위한 비건 라이프스타일이 겹쳐져 `식물성 프로틴밀` 소비로 이어지고 있다"라며 "앞으로도 관련 시장 규모가 더욱 커질 것으로 전망하고, 식물성 단백질을 적용한 제품의 라인업을 확장하며 소비자들의 다양한 니즈를 충족시킬 것"이라고 전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GS25-정다현 작가-소상공인, 3자 협업으로 전국 김밥 맛집 IP 상품 선보인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김밥 큐레이터 정다현 작가 및 전국 김밥 맛집들과 손잡고 ‘전국 김밥 일주’ 상품을 시리즈로 선보인다. ‘전국 김밥 일주’는 전국 700여 김밥 맛집을 직접 다녀온 정다현 작가가 추천한 메뉴를 GS25가 상품화하는 프로젝트다. 첫 번째 상품은 오는 4월 23일(수)부터 출시되는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이다. ‘롤앤롤 김밥’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김밥 맛집으로 정다현 작가가 본인 저서 ‘전국김밥일주 2권’에서 소개한 곳이다. 이번에 출시하는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은 이곳 대표 메뉴인 ‘서강김밥’을 구현한 상품으로 매콤짭짤한 풍미가 일품인 잡채를 듬뿍 담고 어묵볶음, 시금치 베이컨 무침, 당근채, 단무지, 계란구이 등을 속 재료로 넣어 식감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정다현 작가는 첫 상품으로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을 제안한 이유에 대해 “김밥에 잡채가 어울린다는 점이 독특하고 신기해서 많은 분들께 소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전국 김밥 일주’ 시리즈는 GS25가 생산과 판매를 맡고, 정다현 작가가 맛집 메뉴를 제안하며, 해당 김밥을 판매하는 맛집 사장이 출시될 상품의 맛과 품질을 평가하는 3자 협업으로 완성됐다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