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워드체크] 어머 이건 사야해! 소비심리 자극 ‘소유 마케팅’ 주목

식품업계가 다양한 굿즈(Goods)로 소비자들의 소유 욕구를 자극하는 ‘소유 마케팅’에 집중하고 있다.

코로나19로 소비가 침체된 상황에서 브랜드의 정체성과 재미 요소를 반영한 굿즈는 기존 고객들의 충성도를 높이고 이색적인 경험에 기꺼이 비용을 지불하는 젊은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전략으로 각광받아왔다.

 

이에 기업들은 추억을 되살릴 수 있는 레트로 스타일의 굿즈나 리미티드 굿즈를 출시하거나 펀딩 플랫폼을 활용한 컬래버레이션 제품 판매 등으로 소비자에게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하고 있다.

 

백팩에 밥상까지…소비심리 자극하는 '소유 마케팅' 뜬다

오리지널 두유 베지밀 및 식물성 건강음료를 생산·판매하는 '정식품'은 최근 트렌드인 레트로 감성을 반영한 ‘베지밀 레트로 컵’을 선보였다.

유리잔에 베지밀 시그니처 로고를 조합한 복고풍 디자인으로 실용적이면서도 마치 어릴 적 할머니 댁에서 마시던 추억의 베지밀 맛을 떠오르게 한다는 평이다.

 

 

‘베지밀 레트로 컵’은 현재 정식품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소비자 이벤트를 통해 제공되고 있다. 한편 정식품은 지난봄에도 콩을 형상화한 캐릭터를 이용해 연필, 메모장, 노트 등 다양한 문구류가 포함된 ‘베지밀 문구세트’를 선보여 좋은 반응을 얻었으며 이 외에도 현재 베지밀 로고를 담은 미니테이블 ‘베지밀귀염상’ 등 다양한 굿즈를 제작해 특정 채널에서 베지밀 구입 시 또는 SNS 이벤트를 통해 증정하고 있다.

 

정식품 관계자는 "‘베지밀 레트로 컵’은 그동안 온라인상에서 소비자들의 출시 요구가 높았던 아이템으로 레트로 감성을 자극하면서 활용도까지 높은 것이 인기 요인"이라며 "앞으로도 다양한 굿즈와 마케팅 활동으로 소비자와의 소통을 강화하고 브랜드 경험을 중요시하는 MZ 세대에게 새로운 경험과 재미를 줄 수 있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동아오츠카도 최근 ‘데미소다 마스킹테이프’를 최근 첫 실물 굿즈로 내놓고 소비자 증정 이벤트를 열었다.

동아오츠카는 지난해 말 가상 굿즈 인스타그램 계정 ‘동아굿즈’를 개설하고 자사 음료 브랜드 ‘포카리스웨트’ ‘데미소다’ ‘데자와’ 등의 굿즈를 상상으로 기획해 업로드하고 있다.

 

 

이번에 처음 선보인 ‘데미소다 마스킹테이프’는 MZ 세대 사이에서 유행하는 ‘다꾸’(다이어리 꾸미기) 열풍을 타 젊은 소비자들의 사이에서 좋은 반응을 이끌어 내고 있다.

 

소장욕구를 자극하는 리미티드 에디션 판매를 통해 매출 증대 효과를 톡톡히 보고 있는 기업도 있다.

최근 오비맥주는 네이버 스마트스토어에 브랜드 전용관 ‘오비라거 스토어’를 오픈하고 유리잔 세트, 코스터 세트, 튜브형 아이스 버켓 등 시그니처 캐릭터 ‘랄라베어’를 활용한 다양한 굿즈를 판매하고 있다.

 

 

지난 7월 패션브랜드 게스(GUESS)와 컬레버레이션해 출시한 티셔츠와 모자 등이 공식 판매 전 사흘간의 사전 온라인 판매에서 준비 물량의 절반 이상이 팔리기도 했다.

 

하이트진로는 참이슬 굿즈 상품을 한자리에 모은 국내 최초 주류 캐릭터샵 ‘두껍상회’를 운영하고 있다.

‘두껍상회’는 그동안 완판을 기록하며 ‘인싸템’으로 등극한 참이슬 백팩을 비롯해 진로 캐릭터인 두꺼비 피규어, 러기지텍, 슬리퍼 등 다양한 상품을 판매하고 있다.

 

크라우드 펀딩 플랫폼을 통해 굿즈의 주목도를 높이는 기업도 있다.

오뚜기는 최근 오뚜기스프 출시 50주년을 기념해 스타트업 백반디자인과 협업한 굿즈 펀딩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이번 굿즈는 오뚜기가 1970년 선보인 ‘산타스프’가 우리나라 최초의 스프라는 것에 착안, 당시 패키지 느낌을 최대한 살렸다. 굿즈는 밥상 1개, 냄비받침 1개, 컵받침 1세트, 마그넷 1세트와 분말스프 등으로 펀딩 사이트 와디즈에서 판매한다.

 

 

샘표의 육포 브랜드 ‘질러’도 와디즈를 통해 ‘나 혼자 질러 트레이’ 3종을 선보였다. 인기 캐릭터 브랜드 ‘아자씨(AJASSI)’와 함께 1인용 트레이를 기획한 것으로 ‘아자씨’ 캐릭터가 편하게 누워 질러 육포를 먹는 모습이 유쾌하게 표현돼 있다. 펀딩에 참여하면 금액에 따라 ‘나 혼자 질러 트레이’와 질러 육포, 유리 머그잔 등을 받을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 11월 5~9일 개최
올해로 13회째를 맞는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가 11월 5일 화려한 막을 올린다. 진주시는 ‘2025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가 ‘농업과 함께하는, 힐링나들이’라는 슬로건으로 오는 11월 5일부터 9일까지 5일간 진주종합경기장 일원에서 열린다고 밝혔다. 올해 박람회는 국내외 16개국, 261개사, 519개 부스 규모로 열리며, 7개의 대형 테마관과 야외 행사장에서 지역 우수 농특산품 및 농가공품 등을 선보이고 농업 체험 프로그램을 확대 운영하며, 다양한 먹거리로 풍성하고 알차게 개최된다. ◆ 7개 테마별 전시관과 야외행사장 구성 올해 ‘진주국제농식품박람회’는 ▲종자생명관 ▲홍보관 ▲녹색식품관(2개 관) ▲농기자재관 ▲농업체험관(2개 관)으로 구성된 7개의 테마별 전시관과 야외행사장을 마련해 풍성한 볼거리와 참여하는 행사로 재미를 더한다. 유관기관의 홍보 및 전시공간인 ‘홍보관’에는 경상남도와 사)대한민국GAP연합회, 경상국립대, 농산물품질관리원, 국립진주박물관, 국제교류도시, 국립산림과학원, 진주농업관 부스로 이뤄져 있다. ‘녹색식품관’ 두 개관은 총 130개 부스로 구성되며 진주시와 경상남도, 경남벤처농업협회, 남해안남중권 및 타도 소속 시군의 우수 농식품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하동야생차문화센터, 대한민국 차 문화 중심지로 떠오르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가 올해 전년 대비 120%의 수익 증가를 달성하며, 하동 차 산업과 지역관광의 핵심 거점으로 급부상했다. 하동야생차문화센터는 우리나라 차의 본고장 하동의 전통과 현대 차(茶) 문화를 아우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박물관·체험관·판매장·치유관으로 구성되어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과 전시·판매를 운영하고 있다. 올해는 특히 쌍계사 템플스테이, 태교여행, 켄싱턴리조트 협업 등을 통해 대상자별 특화된 프로그램을 대폭 확대하여 방문객 만족도를 높이고 재방문율을 끌어올렸다. 가장 인기를 끈 프로그램은 ‘티소믈리에’ 체험 프로그램으로, 하동군 티마스터와 함께 하동암차·잭살차·말차 등 다양한 차를 직접 시음하며 차의 향과 맛을 비교해 보는 교육형 체험이다. 참가자들은 하동차의 품질과 제조 방식에 대한 전문적인 설명을 들으며 색다른 경험을 즐길 수 있다. 녹차 족욕 체험은 하동차를 활용하여 족욕을 즐기는 힐링 프로그램으로, 피로회복 효과가 뛰어나 관광객들의 호응이 높았다. 이외에도 차와 명상, 다례인성체험, 삼색 다식 만들기, 찻잎 염색 체험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이 연중 운영되며 가족 단위 관광객과 외국인 방문객의 발길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티카페하동은 최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