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 상장기업 기업평판 우수기업 2023년 9월 발표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2023년 9월 빅데이터 분석결과 농심, 오뚜기, CJ제일제당 순으로 분석됐다.

 

한국기업평판연구소는 식품 상장기업 61개 브랜드에 대해서 빅데이터 분석을 활용한 브랜드 평판조사를 실시했다. 2023년 8월 19일부터 2023년 9월 19일까지의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8,090,720개를 분석하여 소비자들의 브랜드 평판을 분석했다. 지난 8월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 빅데이터 53,314,360개와 비교하면 8.96% 증가했다.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분석은 참여지수, 미디어지수, 소통지수, 커뮤니티지수, 시장지수, 사회공헌지수로 구분해 브랜드평판지수를 산출했다. 브랜드평판 분석에는 브랜드 영향력을 측정한 브랜드 가치평가 분석과 브랜드평판 모니터의 정성평가도 포함했다.

 

9월 식품 상장기업 브랜드평판 30위 순위는 농심, 오뚜기, CJ제일제당, 오리온, 하림, 삼양식품, 풀무원, 대상, 매일유업, 동서, 빙그레, 한일사료, 팜스토리, 정다운, 대한제당, 롯데웰푸드, 동원산업, 남양유업, 샘표식품, 마니커, 샘표, 고려산업, 서울식품, 푸드나무, 동원F&B, 마니커에프앤지, 인산가, 삼양사, 미래생명자원, 우양 순이었다.

 

농심 브랜드는 참여지수 285,856 미디어지수 670,968 소통지수 577,901 커뮤니티지수 1,324,908 시장지수 959,717 사회공헌지수 78,277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897,627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3,836,902와 비교해보면 1.58% 상승했다.

오뚜기 브랜드는 참여지수 186,897 미디어지수 383,108 소통지수 660,526 커뮤니티지수 1,650,729 시장지수 513,019 사회공헌지수 52,185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446,463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514,746과 비교해보면 37.05% 상승했다.

CJ제일제당 브랜드는 참여지수 167,198 미디어지수 399,787 소통지수 317,225 커뮤니티지수 853,170 시장지수 1,578,099 사회공헌지수 45,596이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361,075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3,298,769와 비교해보면 1.89% 상승했다.

오리온 브랜드는 참여지수 117,485 미디어지수 323,649 소통지수 503,544 커뮤니티지수 516,793 시장지수 1,736,768 사회공헌지수 33,472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3,231,710으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3,155,306과 비교해보면 2.42% 상승했다.

하림 브랜드는 참여지수 480,960 미디어지수 932,109 소통지수 656,371 커뮤니티지수 657,108 시장지수 109,999 사회공헌지수 51,734가 되면서 브랜드평판지수 2,888,281로 분석됐다. 지난 8월 브랜드평판지수 2,411,370과 비교해보면 19.78% 상승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마케팅전략] 카페브랜드, 얼리크리스마스족 잡아라
대표적인 연말 이벤트로 꼽히는 크리스마스를 위해 일찍이 트리를 꾸미거나 캐롤을 즐겨 듣는 이른 바 '얼리 크리스마스족'을 타깃으로 커피 전문점들이 크리스마스 시즌 한정판 메뉴들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연말, 크리스마스 느낌을 십분 살린 패키지와 따뜻하고 달달한 스페셜 메뉴들을 살펴보자. 먼저 스타벅스 코리아가 오는 29일부터 ‘크리스마스 루비 뱅쇼’와 푸드를 새롭게 선보이며 본격적인 크리스마스 시즌을 알린다. 크리스마스 루비 뱅쇼는 카베르네 소비뇽 와인 추출액이 들어간 무 알코올 음료로 향긋한 와인향과 달콤한 과일의 풍미가 특징이다. 시나몬, 정향, 팔각 등 스파이시한 풍미를 더해주는 향신료와 다양한 과일이 티백처럼 하나의 파우치에 담겨 있어 원하는 만큼 우려 마실 수 있다. 스타벅스의 뱅쇼 음료 출시는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지난 2월에는 스타벅스의 뱅쇼를 집에서도 손쉽게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된 ‘로맨틱 뱅쇼 세트’가 한정 판매됐으며 4월에는 스파클링 버전의 ‘로맨틱 뱅쇼 피지오’를 선보이며 뱅쇼에 대한 고객 니즈를 충족한 바 있다. 지난 21일 출시된 ‘스타벅스 딸기 라떼’도 크리스마스 시즌 음료로 계속 만나볼 수 있다. 부드러운 흰 우유 위에 입안 가득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갓물김치, 나주 곰탕, 낙지 호롱구이! 전남도, 향토음식 가치 재발견·발굴 계승 온 힘
육회 비빔밥, 피문어죽, 갓물김치, 나주 곰탕, 낙지 호롱구이…. 최근 전라남도가 서울 코엑스에서 ‘전남 향토 음식 발전을 위한 전문가 포럼’을 개최하는 등 향토음식의 가치 재발견과 발굴·계승에 온힘을 쏟고 있다. 전남도가 주최하고 전남농촌융복합산업지원센터가 주관해 열린 이번 포럼은 향토 음식의 소중함과 세계화 가능성을 논의하기 위해 식품 관련 기업과 향토음식 전문가, 맛 칼럼니스트 등 100여 명이 함께했다. 포럼에선 배건웅 조리사중앙회 이사, 신상엽 CJ프레시웨이 상무, 이윤화 다이어리알 대표가 향토음식 발전과 가치 재조명에 대해 발제했다. 이들은 전남의 독창적이며 창의적 향토 음식이 전 세계가 인정하는 남도 음식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외식산업 활성화, 스토리텔링 발굴, 다양한 상품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시했다. 또 서구화된 음식문화, 퓨전 음식 발달 등으로 사라져가는 향토 음식의 원형 보존, 우수성을 계승·발전시키기 위한 체계적 관리가 선행돼야 하며, 이에 기반한 레시피 개발을 통해 세계화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포럼 한 참가자는 “사라져 가는 중요 문화유산인 향토 음식의 중요성을 다시 생각하게 되는 좋은 계기가 됐다”며 “남도 음식을 보니 이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알지엠푸드아카데미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개설 주목
개고기 대신 '염소고기' 보양탕 시대다. 최고급 보양식으로 각광받는 ‘흑염소’ 요리는 코로나 이후 움츠러든 외식 시장에서도 건강 트렌드와 맞물려 소비량이 안정적으로 유지돼 향후 시장성이 높을 것으로 판단되는 음식이다. 무엇보다 최근 개를 식용으로 쓰는 '보신탕’에 대한 거부감이 커지면서, 맛과 조리법이 비슷한 '염소탕'이 유력한 대체제로 자릴 잡으면서 차세대 보양식전문점으로 인기를 구가하고 있다. 보신탕으로 이름난 식당이 메뉴에 염소탕을 추가하거나 아예 '염소탕 전문'으로 간판을 바꿔 다는 사례도 늘고 있다. 고기 특유의 부드러움과 탁월한 영양의 보양요리 ‘흑염소’. 흑염소 요리는 3저 4고의 음식으로 유명하다. 저지방, 저콜레스테롤, 고단백 음식이다. 남성에게는 양기를 북돋아주어 스태미나에 좋고, 여성에게는 노화방지, 기미제거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흑염소에는 다른 동물에는 없는 토코페롤(비타민E)이 다량 함유되어 있어 노화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흑염소탕·전골’부터 ‘염소불고기’와 ‘수육’, 레시피개발과 맞춤 컨설팅까지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 안내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에서는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日 한식 레스토랑 체인 ㈜영명 업무협약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사장 김춘진)는 27일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일본 대표 한식 프랜차이즈 식당 ‘처가방’을 운영하는 ㈜영명(대표이사 오영석)과 저탄소 식생활 확산 등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글로벌 저탄소 식생활 홍보대사와 글로벌 김치 홍보대사 위촉식을 진행했다. ㈜영명은 1993년 일본에서 설립되어 김치박물관을 비롯해 일본 전역에서 ‘처가방’ 브랜드로 한식당 19개 점과 게이오, 이세탄 등 유명 백화점에 식품코너 15곳을 운영하며, 김치를 비롯한 다양한 한국 농수산식품을 공급하는 K-푸드 전도사이자 대표적인 한상기업이다. 양 기관은 이날 협약으로 ▲ K-푸드 일본 수출 확대 ▲ 김치의 날 제정 협력 ▲ 저탄소 식생활 실천 운동 동참 등 먹거리 탄소중립 실현과 ESG경영의 글로벌 확산에 힘을 합치기로 했다. 또한, 일본을 대표하는 한상인 ㈜영명 오영석 대표를 글로벌 저탄소 식생활 홍보대사와 글로벌 김치 홍보대사로 위촉하고, ㈜영명의 유향희 요리연구가를 글로벌 김치 홍보대사로 위촉했다. 김춘진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 사장은 “지난 30년간 음식으로 한일 양국의 문화교류를 이끌어온 ㈜영명과 협력하게 돼 뜻깊다”라며, “K-푸드 수출 확대로 국가경쟁력을 높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