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작지만 강하다, 디저트 카페 인기

 

바야흐로 디저트 전성시대다. 앙버터 빵, 흑당버블티, 마카롱, 수플레 팬케이크 등 세계 곳곳의 디저트들이 국내에 들어와 SNS를 타고 유행처럼 퍼져나가고 있다.

시장규모도 커졌다. 2013년 3000억원대였던 국내 디저트 시장은 2016년 2조 2000억원대로 덩치가 커졌다.

‘소확행(소소하지만 확실한 행복)’이라는 소비패턴이 트렌드로 자릴 잡으면서 프리미엄 제품 시장과 가격대비 높은 만족감을 일컫는 ‘가심비’ 디저트가 주목받고 있다.

 

트렌디한 디저트에 빠지다

보기만 해도 달콤하고 황홀한 디저트들은 보는 재미와 먹는 재미를 동시에 선사한다. 주식은 아니지만, 주식보다 더 큰 흥미를 전달하는 디저트는 식생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다.

 

30년간 한국과 일본에서 외식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는 알지엠컨설팅 강태봉 대표는 “베이커리류를 판매하는 일반 카페와 달리 전통시장에서 팔던 ‘꽈배기’에서부터 ‘군고구마’를 특화한 매장 등 기존 보지 못했던 이색적인 디저트 메뉴를 찾는 소비자들이 늘고 있다. 유명 백화점 식품관에는 홋카이도산 치즈타르트와 말차타르트를 판매하는 '베이크', '도쿄밀크치즈팩토리' 등 일본 본토의 디저트 브랜드도 입점해 좋은 성적을 거두고 있다.”고 전했다.

 

우선 홍대 디저트 맛집으로 인기몰이 중인 ‘디저트연구소’란 곳은 복숭아, 선인장, 오렌지, 모래성 등 기존 카페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이색케이크를 선보여 화제다.

우선 일반적인 케이크에서는 보지 못했던 독특한 생김새에 시선을 빼앗긴다. 복숭아를 그대로 본떠 만든 복숭아 케이크가 인기 메뉴인데, 복숭앗빛 케이크는 실제 복숭아를 연상시킬 만큼 일치도가 높아 보는 이에게 감탄을 금치 못하게 한다.

 

겨울철 대표 간식으로 꼽히는 군고구마를 사계절 내내 즐길 수 있는 디저트 카페도 생겼다.

건강 트렌드와 로컬푸드에 대한 인기가 지속되면서 ‘카페빙고’, ‘고심’, ‘몽캣’ 등 다양한 군고구마 전문점이 생겨나고 있다.

 

지난 2015년 강화도 특산물 고구마와 빙수를 결합한 메뉴를 선보인 ‘카페빙고’가 원조 격이다. 아모레퍼시픽, 신세계인터내셔날 출신 윤진기 대표가 창업대학원을 다니며 만든 코리안디저트 브랜드다. 옐로우푸드인 고구마로 만든 30여가지 다양한 디저트를 판매하고 있다.

 

 

전용 군고구마 기계를 개발해 특허를 낸 군고구마 전문점 ‘고심’도 로컬푸드 카페 시장에 뛰어들었다. 메뉴는 오리지널 버전인 고심 군고구마에 허니버터, 치즈, 불고기, 고추장 불고기 등 다양한 토핑을 올려 먹을 수 있도록 구성했다. 아메리카노와 리얼군고구마라떼 등 고구마를 주재료로 한 메뉴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레트로 복고 아이템이 유행하면서 옛날 간식으로 통하던 꽈배기도 젊은 새대들의 인기 디저트로 인기를 끌고 있다.

수제 꽈배기 전문점 ‘꽈배기상회’는 창업자의 20년 노하우가 그대로 들어간 꽈배기와 도넛을 판매한다. 모두 국내산 찹쌀가루와 옥수수가루를 사용한다.

 

식품업계도 디저트 사업에 뛰어들면서 전문 매장을 선보이고 있다.

오리온의 디저트 전문매장 '초코파이 하우스'에서 판매 중인 '디저트 초코파이'는 출시 1년여 만에 누적판매량이 200만개를 돌파했다.

 

 

디저트 초코파이는 오리온 '초코파이 정(情)'을 프리미엄 브랜드로 재해석한 상품으로 오리온 디저트 카페 '랩오(Lab O)'의 파티시에들이 개발했다. 100% 카카오 버터로 만든 리얼 초콜릿 코팅에 녹아내리는 부드러운 스노우 마시멜로가 들어있는 것이 특징이다.

 

우유 소비 부진으로 어려움을 겪는 우유업계는 앞으로 디저트 시장이 더 커질 것으로 보고 소프트 아이스크림 등 우유를 이용한 디저트 개발에 앞장서고 있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지난해 서울 종로구에 유제품 전문 디저트 카페 ‘밀크홀 1937’을 오픈하고 롯데백화점 관악점에서는 올 8월 31일까지 팝업스토어를 운영한다.

 

 

서울우유협동조합의 첫 로드숍인 ‘밀크홀 1937’ 종로점은 유제품을 중심으로 아이스크림, 커피, 베이커리 등 다양한 디저트를 판매한다. 일부 공간에는 서울우유 전시관을 마련해 서울우유와 유제품 전문 디저트 카페의 색깔을 표현했다.

 

남양유업은 디저트 카페 '백미당1964'의 국내외 매장 확대에 속도를 내고 있다.

1964백미당은 이름처럼 100가지의 다양한 맛과 제철 식재료를 통한 건강한 식문화를 공유하는 프리미엄 디저트 카페다.

 

 

고품질 우유 아이스크림으로 유명세를 탄 이 카페는 최근 초코 아이스크림과 함께 출시한 프리미엄 생초콜릿까지 100% 유기농 원료만 사용한 제품을 선보인다. 

2014년 9월 현대백화점 압구정 본점에 1호점을 연지 불과 3년여 만에 국내에 8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2017년 11월에는 홍콩 침사추이에 백미당 해외 1호점을 시작으로 해외로도 진출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피플인사이트] 어묵의 새로운 물결, 삼진어묵
삼진어묵의 최종 목표는 어묵의 세계화다. 뉴요커들이 줄 지어 어묵을 사 먹는 풍경을 상상하면 어쩐지 힘이 난다. 부산 사하구로 향하자 수많은 어묵 공장들 사이로 삼진어묵의 이름이 등장했다. 반갑게 마중 나온 박용준 대표는 “부산에 어묵 공장이 많다 보니 나라에서 단지를 조성해줬다”고 설명했다. 여러 기업 중 삼진어묵이 부 산 어묵의 대명사로 통하게 된 건 비단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어묵 기업’이라 는 타이틀 때문은 아니다. 오히려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질 뻔한 시기도 있었다. 폐업 직전의 어묵 기업을 어묵 문화의 선구 기업으로 일으키기까지, 박용준 대표는 어떤 고락을 거쳤을까. 삼진어묵의 시작은 한국전쟁 시기로 거슬러 올라간다. 일제강점기 시절 북해도 지역으로 강제 징집된 고 박재덕 창업주는 가마보꼬(어묵) 공장에서 일하며 어묵 생산 기술을 익혔다. 해방 이후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많은 피란민이 부산으로 모여들었고, 먹거리가 없던 시절 어묵은 저렴한 영양 식품으로 주목받았다. 시장성을 엿본 박재덕 창업주는 피란민이 특히 많이 모여들던 영도 봉래시장에 작은 판잣집을 얻어 사업을 시작했다. 1960년대 어묵의 전성 기에 힘입어 1970년대에 미군 부대에서 얻은 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2025 임실N펫스타, 더 특별한 프로그램‧더 풍성한 먹거리로의 초대
3일부터 5일부터 열릴 반려동물 문화축제인 2025 임실N펫스타가 더 특별한 즐길거리와 풍성한 먹거리로 1500만 반려인들을 기다린다. 2025 임실방문의 해와 만나는 두 번째 축제인 제40회 의견문화제와 함께하는 임실N펫스타는 반려동물의 모든 것을 알 수 있는 다채로운 프로그램과 치즈와 한우 등 풍성한 먹거리가 마련된다. 3일간 오수의견공원에서 펼쳐지는 이번 축제는 지난해보다 한층 확대되고 차별화된 특별함을 선사한다. 먼저 지난해보다 많은 전국의 12개 반려동물 관련 학과 대학생들이 참여하여 행사장을 찾는다. 특히 전국의 반려동물과 가족들에게 영화제를 연상시키며 멋과 개성을 뽐낼 수 있는 축제의 하이라이트인 반려동물 패션쇼, 반려동물 토크쇼, 이‧미용 체험과 의료센터, 한방센터 등 특별하고 다양한 프로그램이 펼쳐질 예정이다. 반려동물의 모든 궁금증을 풀어주는 인기 프로그램인 반려동물 토크쇼도 진행된다. 일명 개통령으로 잘 알려진 강형욱 대표와 이웅종 교수, 설채현 수의사와 함께 김샛별 방송 리포터가 진행하는 의학 상담 토크쇼도 마련됐다. 축제 때마다 인기를 끌고 있는 이 토크쇼는 반려동물 가족들의 궁금증 해소와 반려동물과 행복한 시간을 선사해 줄 것으로 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