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달 외식업에 뛰어드는 청년 사장이 갈수록 늘고 있다. 젊은층 소비트렌드 파악이 빠르고, 배달앱 마케팅 등에 이해도가 높은 것이 그들의 강점이다. 일본에서 배달 전용 고스트레스토랑 ‘델리 스테이션’을 운영하는 모리나가 테츠지 대표는 시스템 엔지니어 출신으로 2018년 동생과 함께 처음으로 외식업을 시작했다.

대학원 졸업 후 철강회사에서 시스템 엔지니어로 근무하며 모리나가 대표는 사업에 관심을 두고 게스트하우스를 동시에 운영했다. 그러다 법 개정으로 운영이 힘들어지며 다시 찾은 사업아이템이 외식업이었다. 태국 음식점의 요리사로 일하던 동생을 설득해 음식점 문을 열었다.

“자금 사정이 넉넉지 않아 역에서 걸어서 15분 정도 떨어진 곳에 자리를 얻었다. 입지가 좋지 않아도 가격이 저렴하면 대학생들이 찾아올거라 생각했는데 매출 올리기가 여간 힘든게 아니었다. 그래서 선택한 것이 배달이었다.”
당시는 지금처럼 배달 시장이 활성화되지 않았을 때였다. 모리나가 대표는 IT전공자로서 특기를 살려 배달앱으로 들어오는 고객 데이터를 수집해서 분석하기 시작했다. 고객의 반응, 판매 데이터를 보면서 트렌드에 맞게 메뉴를 정리해갔다.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점점 매출을 늘려갔고 배달앱 '우버이츠' 내 도쿄도 무사시노 지역에서 인기점포 2위를 차지했다. 운영 형태를 배달 주력의 고스트레스토랑으로 전환시켰다. 지난해부터 코로나로 인해 배달붐이 일며 사업을 확장해 현재는 직영점 2곳과 공유 주방을 사용한 46개 매장을 보유했다.

직영 나카노 1호점은 26㎡(8평)의 작은 주방에서 수십가지 메뉴를 조리한다. 한 달 평균 매출은 400만엔(약 4100만원)이 넘는다. 그중 태국요리 브랜드 ‘히우마이’가 매출의 4분의 1를 차지할 정도로 에스닉푸드에 대한 배달 수요가 높은 편이다.
델리 스테이션의 경우 가맹비는 별도로 받지 않는다. 코로나로 타격이 심한 주점에서 주방을 활용해 운영을 하거나 여행객 발길이 끊긴 비즈니스 호텔의 주방에서 조리해 배달을 하는 경우도 늘고 있는 추세다.

끝으로 모리나가 대표는 “배달 외식업은 트렌드에 민감해 메뉴 교체가 적절히 이뤄줘야 한다. 매출을 보며 부진한 메뉴를 빠르게 바꿔준다. 배달앱은 음식과 IT기술이 합해진 영역으로 음식뿐만 아니라 매장 데이터 분석이 중요하다. 들어오는 데이터를 그냥 흘러보내지 말고 지속적으로 관리해야만 치열한 시장에서 살아남을 수 있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