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UP]중동에서 핫한 한국 인스턴트 라면

한국 농식품이 중동 시장에서 부진을 겪고 있는 가운데 인스턴트 라면을 비롯한 면류의 수출액은 오히려 꾸준히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4년간 한국 라면의 중동 수출 증가

한국무역통계진흥원 통계에 따르면 2019년 한국 농식품의 UAE 수출금액은 약 1억 3천만 달러로, 전년 1억 9천만 달러에 비해 30% 감소했다. 2016년부터 최근 4년간 연평균 31%씩 꾸준히 수출 금액이 줄어 들었다.

 

전체 수출물량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연초류의 수출량 급감이 주원인으로 분석되며, 그 외에도 대부분의 신선, 가공 품목들이 전반적인 수출량 감소를 보였다.

 

 

반면, 면류의 지난해 UAE 수출금액은 470만 달러로 전년도 대비 8.5% 증가, 최근 4년간 연평균 10.7% 성장했다. 그 중 인스턴트 라면의 성장세는 더욱 도드라진다.

 

인스턴트 라면의 지난해 수출금액은 380만 달러로 전체 면류 중 약 80%를 차지했다. 매년 수출량이 증가해 연평균 성장률 15.3%를 기록했다.



불닭볶음면 등 매운라면 인기 여전

전 세계적으로 열풍을 일으킨 삼양식품의 메가히트 상품 ‘불닭볶음면’의 인기는 중동까지 이어졌다. 삼양식품은 2014년 KMF(한국이슬람교중앙회) 할랄 인증을 받아 중동 시장에 순조롭게 진출할 수 있었다. 불닭볶음면은 현재 중동에서 가장 인기 있는 라면으로 꼽힌다.

 

 

일반 국물라면 중에서도 순한 맛보다는 빨갛고 매운 라면에 대한 선호도가 더 높다. 이는 한국 드라마, 영화 등 한류 콘텐츠와 SNS에서 활동하는 인플루언서들의 한국음식 챌린지를 통해 한국의 매운 라면의 인지도가 향상됐기 때문이다.

 

또한, 순한 맛 라면에 집중하는 인도네시아, 필리핀 등 기존의 동남아 브랜드 제품과는 달리, 한국 라면은 매운 맛이라는 차별화된 마케팅을 통해 소비자들의 호기심과 소비 욕구를 자극하고 있다.

 

식생활 변화로 면류 수요 증가한 중동 시장

전통적으로 중동인은 면 요리를 즐겨 먹지 않았다. 면 보다는 밀가루를 이용해 만든 빵이나 향신료가 첨가된 쌀이 주식이다. 하지만 거주 인구의 90% 이상이 외국인인 UAE를 중심으로 사우디, 레바논 등 중동 국가들의 식생활은 다변화되며 전통식과 외국식의 경계가 사라졌다.

 

식생활의 가장 큰 변화가 바로 면류의 수요 증가다. UAE의 2019년 면류 시장 규모는 6억 달러에 달했으며, 이는 4년 전인 2015년과 비교해 27% 증가한 수치이다.

 

 

리서치 전문업체인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UAE의 면류 시장은 2024년까지 7억 달러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아직까지 면류 수요의 대부분은 파스타 면이지만, 인스턴트 라면의 비중이 점차 커지고 있는 추세다.

 

한국 매운 라면의 성공 요인은 ‘경험하지 못한 매운 맛’이었다. 화제성이 컸으나 식사용보단 호기심, 유행으로 인한 단발성 소비 측면이 강하다.

 

따라서 대체제가 등장할 경우 소비자의 관심이 금방 식어버릴 위험이 있다. 최근 소비자들은 인스턴트 식품이라도 건강을 중시하는 제품을 찾는 만큼 새로운 제품을 고민해볼 필요가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농촌융복합산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기업 모집
농림축산식품부는 창업 7년 미만 농촌융복합산업 (예비) 인증사업자를 대상으로 오는 4월 28일까지 농촌융복합산업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 참여기업을 모집한다. 농촌융복합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은 액셀러레이터가 중심이 되어 성장 가능성이 있는 7년 미만의 농촌융복합산업 (예비) 인증사업자를 모집하고, 기업진단 및 1:1 맞춤형 컨설팅, 판로개척, 민간투자 유치를 위한 IR 코칭 등을 지원하여 스타트업으로의 성장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민간 중심의 농촌융복합사업자 발굴 및 육성을 위해 ‘24년부터 농촌융복합 분야를 별도로 신설하여 운영한 결과, 참여기업 20개소의 평균 매출액이 전년 대비 42% 증가하는 등 뚜렷한 성과가 나타났다. 특히 농업회사법인 그래도팜㈜은 충남대학교 농업대학과 연계하여 실습생 등을 받는 등 인력확보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투자유치 컨설팅을 통해 7억원의 민간투자를 유치했으며, ㈜부자진 농업회사법인은 관세 교육 및 해외 시장조사, 박람회 참가 지원을 통해 싱가포르에 첫 수출을 시작했다. 올해 선정된 농촌융복합산업 액셀러레이터 2개사는 오는 4월 28일까지 유선 및 이메일을 통해 프로그램 참여를 희망하는 사업자를 모집하는 한편, 4월 15일 온라인 합동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