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FOOD 비즈니스

[지금 일본은] ‘생(生)도넛’ 중심으로 시작된 '제3차 도넛 붐'

일본은 지금 부드럽고 폭신폭신한 식감의 생(生)도넛이 인기를 끌며 ‘제3차도넛’ 붐이 일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2006년(크리스피도넛 일본 진출), 2015년(편의점 커피&도넛)에 이어 제과점이나 카페에서 시작된 도덕 전문점에 사람이 모으며 도넛 붐이 다시금 불었다.

 

 

작년 12월 중순 문을 연 ‘아이엠 도넛?(I'm donut?)’ 도쿄 시부야점 앞에는 오전부터 도넛을 사기 위한 손님이 길게 줄 선 광경이 펼쳐졌다. 오픈 한 시간 전부터 늘어선 줄에 포기하고 돌아가는 이들도 있을 정도로 뜨거운 반응을 보였다.

 

 

‘아이엠도넛?’은 후쿠오카 제과점 아마므 다코탄(アマムダコタン)이 전개하는 도넛 전문점이다. 매장에서 판매하던 도넛의 인기가 올라가자, 도넛 전문점 ‘아이엠도넛?’을 작년 3월 도쿄 나카메구로(中目黒)에 오픈했다. 이후 시부야, 후쿠오카-톈진에도 매장을 열었다.

 

 

시부야점에서는 크림이나 다른 과일을 채운 80종류의 도넛을 판매하고 있고, 주력 상품인 생도넛은 호박을 넣어 만든 부드러운 반죽이 특징이다.

 

‘아이엠도넛?’ 이외에도 각지의 도넛 가게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도쿄 키타아오야마에 위치한 ‘라신스 도넛&아이스크림(ラシーヌ・ドーナツ&アイスクリーム)’ 아오야마점은 반죽부터 크림까지 선택할 수 있는 커스터마이징 도넛을 판매한다.

 

 

도쿄도의 다이토구(台東区)의 레트로한 분위기의 제과점 ‘치가야 베어커리(チガヤベーカリー) 구라마에점은 크림 위에 체리가 올라간 ‘크림 도넛’이 대표 상품이다.

 

관서 지방에 기반을 둔 한큐 베이커리(阪急ベーカリー)는 2022년 5월 크림이 들어간 생도넛 판매를 시작했다. 여름 한정으로 세토우치(瀬戸内) 레몬 맛을, 10월부터는 초콜릿 맛 도넛을 판매하는 등 다양한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11월 말까지 반년간의 누적 판매 수는 65만 개를 돌파했다.

 

한큐 베이커리는 쇼핑몰이나 마트에 주로 출점해 있으며, 1개 100엔 정도의 저렴한 가격대의 상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가격에 상관없이 생도넛은 판매액의 6%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앞으로 더 다양한 맛의 상품을 늘려나갈 것이라고 관계자는 전했다.

 

 

케이푸드의 발신지인 도쿄 신오쿠보(新大久保)에는 찹쌀 반죽을 꼬아서 튀긴 한국식 도넛 ‘꽈배기’가 인기를 얻고 있다. 작년 12월 오픈한 ‘스마일 카페’(スマイルカフェ)는 생크림, 딸기, 오레오 크림 등 8종류의 도넛을 판매한다. 한국의 꽈배기 프랜차이즈브랜드 ‘꽈페’와 유사하다.

 

하와이에서 온 둥근 도넛 ‘말라사다(マラサダ)’는 하와이 레스토랑을 중심으로 인지도를 쌓아왔으며, 전문점도 늘고 있다.

 

 

니가타시에서는 2022년 2월,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의 말라사다 전문점 ‘마사즈말라사다’(マサズマラサダ)의 자매점인 마마스 테이블 로고 스타일(ママズテーブル・ロコスタイル)이 오픈했다.하와이의 커피나 와인과 함께 10종류의 말라사다를 판매하고 있다. 니가타의 서양배나 딸기 등으로 만든 크림이 들어간 도넛도 인기를 얻고 있다.

 

‘도넛 여행(ドーナツの旅)’의 저자 미조로기 작가는 제3차 도넛 붐은 부드러운 식감의 반죽에 크림을 채운 것이 특징이며, 이는 카페나 제과점의 인기와 합쳐진 것으로, 이 인기는 계속해서 이어질 것이라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로컬푸드] 고흥, 계절별미 ‘삼치회’ 고향사랑기부제 인기 답례품 부상
고흥군은 가을철을 맞아 ‘나로도 삼치회’가 고향사랑기부제 답례품으로 높은 인기를 얻고 있다고 밝혔다. 삼치회는 10월부터 제철을 맞아 살이 오르고 부드러운 식감이 일품인 고흥의 대표 별미로, 특히 청정 해역 나로도에서 당일 조업한 대삼치(3kg 이상, 70cm급)만 선별해 손질·포장하는 것이 특징이다. 현지 경매장에서 직접 선별된 삼치는 숙련된 요리사의 손을 거쳐 신선한 상태로 즉시 포장·배송된다. 답례품 구성은 삼치회 700g(2인분)과 함께 제공되는 특별한 수제 양념으로, 가정에서도 손쉽게 ‘회 한 상’을 바로 즐길 수 있도록 했다. 냉장 포장과 아이스팩을 동봉해 전국 어디서나 신선한 상태로 받아볼 수 있다. 군 행정과 관계자는 “삼치회는 단순한 회가 아니라, 청정 해역 고흥이 자랑하는 바다의 풍미를 그대로 담은 계절 한정 별미”라며 “고향사랑기부제를 통해 기부자분들이 고흥의 신선한 맛과 정성을 함께 느끼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한편, 군은 오는 10월 31일까지 10만 원 이상 기부자 중 525명을 무작위로 추첨해 썬밸리리조트 숙박권(5명), 투썸플레이스 모바일 쿠폰 2만 원권(20명), 다이소 모바일 쿠폰 1만 원권(500명)을 제공한다. 고흥군은 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제4회 K-FOOD 천안들깨페스티벌’ 성황리에 개최
천안시는 지난 18일 직산읍 삼은공원에서 ‘제4회 K-FOOD 천안들깨페스티벌’이 열려 천안들깨의 우수성과 들깨요리의 다양함을 선보였다고 밝혔다. 들깨추진위원회가 주최하고 천안시가 후원한 이번 축제는 들깨 소비 촉진사업의 일환으로 들깨를 활용한 다양한 지역문화 콘텐츠 개발과 지역 농산물의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 마련됐다. 축제는 다양한 요리 시식과 체험, 전국들깨요리경연대회, 들깨 가공품 홍보, 들깨 가요제, 들깨 김치 시연 및 나눔행사 등 풍성한 볼거리와 즐길거리로 방문객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특히 메인 행사인 전국들깨요리경연대회에서는 사전 심사를 거쳐 전국 각지에서 선정된 20개 팀이 치열한 경쟁을 펼쳤다. 참가자들은 ‘고소한 들깨! 건강한 급식!’이라는 행사 테마에 맞춰 학교급식에 활용할 수 있는 창의적인 들깨요리를 선보이며 들깨의 새로운 가능성과 건강 식재료로서의 가치를 널리 알렸다. 경연 결과 대상인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상에는 ‘K-급식왕 캔디(대구광역시 김혜림·박성희)’의 ‘K-들깨 헌터스’가 차지했다. 김석필 천안시장 권한대행 부시장은 “축제를 통해 들깨의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고 판로 확대로 지역경제와 농가에 활력을 불어넣고 있다”며 “천안 들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5회 창원맛스터요리학교‘마스터반 요리경연대회’개최
창원특례시는 지난 16일 마산대학교에서 제5회 창원맛스터(Master) 요리학교 ‘맛스터 쉐프 요리경연대회’를 성황리에 마쳤다고 밝혔다. 2021년에 개교한 창원맛스터요리학교는 올해로 5회째를 맞이하며, 관내 음식점 대표들이 참여해 ‘1인 1메뉴 개발’을 목표로 실습 중심 교육을 이어가고 있다. 수강생들은 그동안 갈고닦은 실력을 바탕으로 직접 개발한 메뉴를 이번 요리경연대회에서 선보였으며, 오는 10월 18~19일 개최되는 ‘2025 KOREA 월드푸드챔피언십’ 경연에도 참가해 교육 성과를 펼칠 예정이다. 이날 19명의 수강생들이 출품한 작품 중 대상, 최우수상, 우수상, 장려상 등 4개 작품이 선정됐다. 대상은 진해구 ‘은성’의 “숨겨진 참치 진미 5코스”, 최우수상은 성산구 ‘사계연화’의 “팔색돈 코스요리”, 우수상은 마산합포구 ‘태상굴장어구이’의 “무지개 전복한상”, 장려상은 마산회원구 ‘코오롱횟집’의 “비단두른 도미찜”이 각각 수상의 영예를 안았다. 시상은 오는 11월 20일 열리는 졸업식에서 상장과 상금을 수여할 예정이며, 19개 출품작은 11월 8일 개최되는 제11회 창원음식문화축제 현장에 전시돼 방문객들에게 다채로운 볼거리를 제공할 예정이다. 최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