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베트남 외식 트렌드 이끄는 '채식 레스토랑'

베트남의 전통 속담 중에 ‘야채 없는 식사는 약 없이 고통 받는 것과 같다’라는 말이 있다.

 

 

불교의 영향으로 채식 문화가 익숙한 베트남에서 건강, 동물복지 이슈가 겹치며 채식 레스토랑이 인기를 끌고 있다. 베트남 대도시 중심으로 퍼지고 있는 채식 레스토랑 트렌드에 대해 알아 본다.

 

무르익어가는 베트남 채식문화  

2019년도 Statista에서 발표한 '베트남 소비자 채식 선호도 조사'에 따르면, 설문조사 응답 대상자 2,585명 중 약 28.9%의 응답자가 일주일에 3회~6회 정도 채식을 즐긴다고 답했다.

 

채식을 즐긴다고 답한 응답자의 대부분(64%)은 건강을 위해 채소 위주의 식단을 선호했으며, 이외에도 동물보호(41%), 채식주의자(38%) 등의 이유로 채식을 자주 먹는다고 답했다.(복수응답 가능)

 

 

베트남인들은 과거부터 식사 시 채식을 즐기는 풍습이 있었다. 중년 및 노인들은 현재도 전통적인 식사법에 따라 채식을 유지하는 이들이 많다. 베트남 통계청의 2019 종교 인구조사를 보면 전체 인구 중 460만 명이 불교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베트남은 전통적으로 조상숭배 신앙이 강해 가정집과 사업장에 작은 제단을 만들어 제사를 지내는 관례가 있다. 매달 음력 1일과 14일(혹은 15일) 또는 음력 7월 15일(백중날 : 조상의 혼을 위로하는 날)에 약식 제사를 지내고 채식을 한다.

 

 

젊은 세대들은 ‘건강에 대한 관심’, ‘동물 보호’ 등의 이유로 채식 식단을 선호한다. 반려동물을 가족의 일원으로 생각하는 ‘펫 휴머니제이션(Pet Humanization)’ 등의 트렌드의 확산으로 채식주의자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베트남 소비자의 소득 수준이 개선됨에 따라 ‘건강’, ‘유기농’. ‘식품 안전’ 등의 키워드가 중요하게 인식되면서, 최근 베트남 대도시를 중심으로 채식 레스토랑이 눈에 띄게 늘었다.

 

하노이 및 호치민시 주요 채식 레스토랑

KOTRA 베트남 하노이무역관에 따르면 현지 언론 및 유명 푸드 블로거의 의견을 종합했을 때 하노이에는 110개, 호치민시에는 약 120개의 채식 레스토랑이 운영 중인 것으로 파악됐다.

 

 

하노이와 호치민시가 소득 수준이 가장 높고, 외국인 유동인구가 많은 점, 도시를 중심으로 ‘웰빙’, ‘다이어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대도시를 중심으로 한 채식 레스토랑은 꾸준히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소규모 식당이 주를 이루었던 과거와는 달리, 고풍스러운 느낌의 채식 레스토랑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채식 전문 프랜차이즈 매장도 등장했다.

 

 

하노이에서 영업 중인 채식 레스토랑으로는 베트남 전통식 위주의 채식 음식을 파는 ‘우담채’, 불교식으로 꾸민 공간에서 뷔페식으로 채식을 즐기는 ‘사드후’, 야외 정원에 불상을 배치하는 등 종교적인 느낌이 강한 ‘비 라이’ 등이 있다.

 

 

호치민시에는 베트남에서 가장 큰 규모의 채식 레스토랑 프랜차이즈 ‘훔 베지테리안’, 두부 요리 및 채식 전골과 각종 퓨전음식이 특징인 ‘도아센방’, 저렴하게 커리, 두부 및 버섯요리를 선보이는 ‘라우 베지테리안’ 등이 현지인과 관광객이 즐겨 찾는 채식 레스토랑이다.

 

전통 음식부터 두리안 피자까지 다양화된 채식 메뉴

베트남 채식 레스토랑의 경우 전통적인 베트남 음식이 많으며, 고기 대신 버섯과 두부를 곁들인 음식이 대표적이다. 콩, 연꽃씨, 각종 견과류 등을 곁들인 다양한 메뉴도 찾아볼 수 있다.

 

고기대신 버섯을 으깨 만든 채식 쌀국수, 두부 및 야채로 요리한 채식 페이스트, 라이스페이퍼에 각종 야채를 말아 만든 스프링롤 등 레스토랑마다 차별화된 메뉴를 선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호치민과 하노이시를 중심으로 외국인의 유입이 증가하면서 고기를 넣지 않은 멕시칸 타코, 두리안 피자, 버섯 샤브샤브 등이 인기를 얻고 있다.

 

 

하노이의 채식 레스토랑에서 근무하는 한 직원은 “건강한 메뉴를 찾는 손님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환경 문제에 관심 있는 고객을 위해 유기농 채소 및 친환경 포장재 사용, 플라스틱 빨대 대신 대나무 빨대를 사용하는 등 운영 환경을 개선했다”고 밝혔다.

 

채식을 단순한 식사가 아닌 라이프 스타일로 추구하고 있는 만큼 호치민, 하노이, 다낭시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채식 레스토랑의 인기는 꾸준히 높아질 것으로 예측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슈UP] 스마트농업의 미래, 청년의 손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의 2025년 신규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 교육은 농업에 관심있는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거나 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운영하는 현장실습 중심의 장기 전문교육으로 이번에 모집하는 교육생은 8기에 해당한다. 교육 신청 자격은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으로, 전공에 관계없이 스마트팜 영농기술을 배우고자 하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농식품부가 교육비 전액을 지원한다. 올해 교육생 선발인원은 208명(보육센터별 52명)으로 오는 5월 29일 15시까지 모집하며, 이후 지원자를 대상으로 적격심사,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7월 중 최종 교육생을 선발한다. 선발된 교육생은 올해 9월부터 20개월 동안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은 ‘입문교육’ 2개월, ‘교육형실습’ 6개월, ‘경영형실습’ 12개월로 구성된다. 교육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교육 수행실적이 우수한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최대 3년 이내) 입주 자격이 주어지며, 스마트팜 종합자금 신청 자격과 청년농업인영농정착지원 사업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