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높은 성장세 보이는 식물성 식품 시장

서양 국가와 비교해 중국은 채식주의자 비중이 적고 식물성 제품에 대한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하지만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중국의 식물성 제품 산업은 2019년부터 급성장하고 있다. 중국에서 식물성 제품은 주로 식물성 식품 및 식물성 음료로 구성된다.

 

 

신사계(新思界)에서 발표한 연구 보고서를 보면 2019년 이후 중국은 전 세계 식물성 대체육 산업 발전의 영향, 돼지고기 공급 부족으로 인해 지난 2년간 식물성 대체육 산업이 25% 이상 증가하며 빠른 성장세를 보였다.

 

리서치앤마켓(Research and Markets)은 중국의 식물성 대체육 시장이 2021~2026년 연간 13.9%의 복합성장률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했으며, 유로모니터(Euromonitor)는 2023년 중국 식물성 대체육 시장 규모는 130억 달러로 세계 시장의 절반을 차지할 것이라 예측했다.

 

 

식물성 식품이 주목을 받으면서 식물성 식품 전문 브랜드는 초기에 패티, 치킨너겟, 다짐육 정도의 제품군에서 점차 훙사오러우(红烧肉), 샤오쑤러우(小酥肉), 루로우판(卤肉饭), 샤오롱바오(小笼包) 등 다양한 라인업을 선보였다.

 

네슬레는중국 소비자들을 겨냥하기 위해 고수분 단백질 압출 기술(HME)을 통해 레시피를 개선한 소시지, 완자, 만두 등 각양각색의 신제품 출시에 주력하고 있다.

 

한편 식물성 유제품 시장은 2020년부터 주목받기 시작한 꾸준한 매출 성장을 기록했다. 중국에서 유당불내증이 있는 사람은 거의 80%에 달해 식물성 음료에 대한 관심이 높은 편이다. 인기가 많은 식물성 음료는 두유, 아몬드 음료, 귀리음료, 호두음료, 코코넛 음료 등이다.

 

 

중국의 국민 식물성 음료인 야수(椰树) 코코넛 음료는 최근 루이싱커피(瑞幸咖啡)와 협업해 신제품 야운 라떼(椰云拿铁)를 출시했다. 출시 당일 66만 컵이라는 놀라운 판매 기록을 세웠다.

 

 

또한, 스웨덴의 오트밀 우유 브랜드 오틀리(OATLY)는 차 브랜드 수이사오셴차오(书亦烧仙草)와 함께 식물성 차 음료를 선보이기도 했다. 차에 오트밀 우유를 더해 풍부한 우유 향과 함께 차향을 느낄 수 있는 메뉴로 좋은 반응을 얻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