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토종 프랜차이즈 '5년 버티기 힘드네', 생존율 대폭감소

등록 정보공개서 실태 분석, 2년 새 절반 가까이 떨어져

 

인천지역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생존율이 해마다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시는 인천에 가맹본부를 둔 프랜차이즈 브랜드 263개를 조사한 결과, 평균 영업 기간이 4년 4개월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15일 밝혔다.  2년 만에 생존율이 절반 가까이 떨어졌다.

 

초기적응 실패… 평균 '4년 4개월'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론칭한 이후 5년까지는 초기 적응 단계로 본다. 인천 지역 프랜차이즈 브랜드 대부분이 이 기간을 버티지 못하고 문을 닫는 셈이다.

 

 

설립한 지 5년이 지나지 않은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154개(58.6%)로 집계됐다. 5년이 지났지만, 영업지표가 정체된 브랜드는 21개(8%)로 조사됐다.

 

점포 수 또는 매출액 등이 늘고 있는 브랜드는 42개였고, 21개는 영업지표가 줄어든 것으로 확인됐다. 프랜차이즈 브랜드 6개는 현재 사업을 정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2012년 등록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5년 이상 생존율은 46.2%(39개 중 18개)다. 2014년 설립한 프랜차이즈 브랜드 생존율은 이보다 25.2%p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4년 설립 브랜드 57개 중 12개(21%)만 5년 이상 사업을 유지했다.

 

인천시는 인천 지역 프랜차이즈 브랜드가 5년 이상 운영되지 못하는 이유를 '10개 중 8개가 외식업에 집중됐기 때문'으로 분석하고 있다.

 

업종별 브랜드 비율을 살펴보면 외식업의 경우 전국이 75.5%인데 반해 인천은 82.5%로 집중도가 심했다.

반면 서비스업의 비중은 전국이 19.1%에 비해 인천이 12.9%로 낮은 것으로 집계됐다. 시에 등록된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평균 사업기간은 4년4개월로 조사됐다. 전국 평균으로 나타난 4년11개월의 88.1%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인천시는 올해 처음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업무를 이관받아 인천 지역 프랜차이즈 브랜드를 조사했다. 인천시는 매년 프랜차이즈 브랜드 실태 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병태 소상공인정책과장은 “인천 소재 가맹본부에 대한 정보를 신규 등록 시부터 브랜드 소멸 시까지 다양한 지표의 추이를 지속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라며 “프랜차이즈 산업의 건강한 발전과 가맹점 피해 최소화를 위해 계속 노력하겠다”고 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경상북도 ‘저동커피’, ‘기안장’ 타고 울릉 바다 너머 넷플릭스까지
경북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 ‘저동커피’가 글로벌 OTT 넷플릭스의 화제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의 촬영지로 등장했다. ‘대환장 기안장’은 울릉도 바다 위에 띄운 기상천외한 숙소를 설계자 기안84와 글로벌 톱스타 BTS 진, 예능 샛별 지예은이 함께 운영하는 신개념 민박 예능 프로그램으로 8일 첫 방영 이후 글로벌 TOP10 상위권에 오르는 등 전 세계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22일 공개된 마지막 회차에서는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을 통해 성장한 울릉 대표 로컬 브랜드인 ‘저동커피’가 촬영장으로 등장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2023년 경북 로컬 체인지업 우수기업으로 선발된 ‘저동커피’는 특산물인 호박과 심층수 소금을 활용하여 캐러멜을 개발, 울릉도 대표 기념품이자 주요 관광코스로 자리 잡았다. 이외에도 저동커피는 ‘오징어 먹물 아이스크림’과 독도 굿즈 개발 등 지속적인 로컬 자원 발굴과 콘텐츠 기획으로 관광객의 호응을 얻으며 울릉도의 콘텐츠 사업을 선도하는 지역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지역다움’을 살린 콘텐츠를 발굴, 현대적인 브랜드로 재해석하는 동시에 지역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구성원과의 협업을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