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품오늘] 일본에서 인기 급상승한 케이푸드 ‘김밥’

한류 붐을 타면서 일본에서는 김밥이 슈퍼나 편의점, 음식점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이 됐다. 과거 인지도가 낮았을 때는 일본식 김밥을 뜻하는 ‘노리마키(海苔巻き:김말이라는 의미로 일본 김밥을 가르킴)’가 그대로 사용됐다.

 

 

aT 도쿄지사에 따르면 한식에 대한 인지도가 올라가며 패키지에 ‘김밥’ 그대로 표기되거나 ‘긴파(キンパ:김밥의 일본식 발음)‘로 표기돼 일본식 김밥과 구분돼 판매가 이뤄지고 있다.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 대형 슈퍼마켓 체인점 ‘이토요카도’는 반찬코너에서 다양한 종류의 김밥을 판매 중이다. 이전에는 일본어로 노리마키라 표시했으나 지금인 한국식 김밥을 찾는 소비자 늘어나며 김밥으로 표기를 변경했다.

 

 

일본에서는 현재 냉동식품 시장이 커지고 있다. 김밥이 냉동식품으로 등장하면서 간편함과 한국붐이 더해져 큰 인기를 끌고 있다. 무인양품은 점포와 온라인을 통해 냉동김밥을 상품을 판매중인데 매번 매진될 정도로 인기가 많다.

 

 

지난 여름부터 칼디에서 온라인 판매를 시작은 냉동김밥 역시 저렴하면서도 고퀄리티인 맛으로 매진이 이어질 만큼 반응이 좋다. 타나카식품의 ’간단 김밥 맛 후리카케‘는 밥에 비비기만하면 한국식 김밥 맛이 나는 후리카케이다. 김밥의 특징인 참기름의 풍미와 고추의 매운맛이 특징이다.

 

반찬이 없을 때, 간단하게 반찬대용으로 식사가 가능한 후리카케는 일본의 대표적인 식품 중 하나이다. 이번 김밥 후리카케의 발매는 김밥이 일본 소비자의 일상식으로 정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코로나 기간동안 집에 머누는 시간이 길어지며 김밥을 쉽게 만들 수 있게 변형한 '접어 먹는 기밥(오리타타미 김밥)'이 집밥 메뉴로 인기를 끌기도 했다. 말지 않고 재료를 밥 위에 올린다음 접는 간편한 방식으로 한식을 좋아하는 소비자들의 인증이 이어졌다.

 

 

최근 일본에서는 한국식품이 한류 붐과 함께 큰 인기를 끌며 일상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음식이 됐다. 과거에는 일본 패키지, 일본식 이름으로 진출하던 식품업계에서도, 이제는 한국식 명칭, 한국식 디자인 등을 활용해 한국 음식임을 강조해 판매하고 있다.

 

젊은 층은 한국에 대한 거부감이 없고, 넷플릭스 등 플랫폼을 통해 다양한 한류 드라마를 접하면서 한국 식품에 대한 관심도 자연스럽게 높아졌다. 일본의 유통업체, 외식업체 등에서도 냉동 김밥에 대한 문의가 오고 있다. 일본 내에서도 한국 식품의 수요를 실감한 메이커들이 앞다투어 제품 개발 및 출시를 진행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