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인사이트]복고를 새롭게 즐기자! 식품업계 ‘뉴트로’ 열풍 지속

식품업계, '뉴트로' 열풍에 복고 제품의 '화려한 부활'

지난해부터 식품·외식업계에 불기 시작한 ‘뉴트로’ 바람은 중장년층과 젊은층 등 세대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으며 그 인기는 올해에도 지속될 전망이다.

 

뉴트로는 ‘뉴’(new·새로움)와 ‘레트로’(retro·복고)의 합성어로, 젊은 세대가 익숙하지 않은 옛것을 새롭게 느끼면서 즐기는 경향을 말한다.

 

중장년층에는 과거 인기 제품의 재출시를 통해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한편, 요즘 밀레니얼 세대에게는 전혀 경험해 보지 못한 7080문화의 색다른 감성과 재미를 선사, 신선한 자극을 느끼게 해 지갑을 열게 하기 때문이다.

 

추억의 ‘따봉’, 단종된 8~90년대 제품 부활해 큰 인기

최근 식품업계에서는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의 추억을 소환시켜주는 제품이 지난해에 이어 올해에도 속속 출시되고 있다.

특히 90년대 ‘따봉 열풍’과 같이 당시 선풍적인 인기를 끌고 시간이 흘러 단종된 제품들이 새로이 출시되어 화제가 되고 있다.

롯데칠성음료는 편의점 CU와 손잡고 ‘따봉 제주감귤 340ml’ 제품을 지난해 5월 출시했는데, 이 제품은 출시 이후 9개월 만에 약 170만 캔이 판매됐다.

 

제품명인 ‘따봉(Esta bom)’은 1989년 델몬트 오렌지주스 TV광고를 통해 크게 화제된 포르투갈어로, ‘매우 좋다’란 뜻이다.

브라질 오렌지 농장을 배경으로 우수한 품질의 오렌지로 만든 주스임을 강조하기 위해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우는 제스처와 함께 ‘따봉’이란 광고는 당시 최고의 유행어로 사랑받았다.

 

이에 롯데칠성음료는 당시 제품 및 광고를 경험한 30~50대 소비자에게 인지도가 높은 ‘따봉’을 상품명으로 그대로 사용하고 패키지도 8090 복고 느낌을 그대로 재현했다.

 

자판기 우유맛 기억나니?

매일유업과 남양유업에서 선보인 자판기 우유 제품에 대한 반응이 뜨겁다.

남양유업과 홈플러스가 손잡고 지난해 12월 자판기 우유맛을 살린 ‘남양 3.4 우유맛 스틱’을 내놨다.

마스코트였던 코끼리 캐릭터와 색상, 글씨체 등 남양유업이 초창기에 선보였던 ‘남양 3.4 우유’의 패키지를 그대로 적용해 복고풍의 감성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매일유업 또한 2017년 12월 편의점 세븐일레븐과의 협업을 통해 ‘매일우유맛원컵’을 출시했다. 매일우유맛원컵은 당시 사흘 만에 품귀현상까지 빚어졌고 출시 1년 만에 누적 판매량 250만개를 돌파했다. 현재도 세븐일레븐 음료부문 ‘원컵 카테고리’ 매출 1위에 올라있다.

 

인기에 힘입어 최근에는 분말형 우유 ‘매일우유맛 오리지널 스틱’을 선보였다. 분말형 우유는 기존 우유에서 지방을 분리해 건조한 후 가루 형태로 만든 탈지 분유가 주원료다. 물을 부으면 다시 액체 상태의 우유가 된다.

 

분말형 우유가 인기를 끌자 남양유업과 홈플러스도 손잡고 지난해 12월 자판기 우유맛을 살린 ‘남양 3.4 우유맛 스틱’을 내놨다. 마스코트였던 코끼리 캐릭터와 색상, 글씨체 등 남양유업이 초창기에 선보였던 ‘남양 3.4 우유’의 패키지를 그대로 적용해 복고풍의 감성을 살렸다.

 

단종된 80년대 빵 재출시·추억의 도시락 등 선봬

SPC삼립은 1980년대에 출시했다가 단종된 ‘우카빵’과 ‘떡방아빵’을 재출시했다.

1984년 출시된 ‘우카빵’은 빵 속에 우유 커스터드 크림을 넣은 제품으로, 이번에 출시한 제품은 내용물에 크림을 추가해 부드러움과 고소한 맛을 더욱 살렸다. ‘떡방아빵’은 1989년 출시됐던 제품으로 빵 안에 찹쌀떡을 통째로 넣어 쫀득한 식감이 특징이다. 이전보다 큰 찹쌀떡을 넣었다.

 

편의점 CU는 7080 감성을 입힌 도시락 2종을 출시했다. ‘CU 추억의 도시락’은 노란색 양은 도시락을 보자기에 싸서 다니던 7080세대의 도시락을 콘셉트로 기획된 상품으로, 분홍 햄과 문어 모양 비엔나소시지, 어묵볶음, 김치볶음 등 그 시절 인기 반찬을 담고 흰쌀 밥 위에 달걀 프라이를 얹어 푸짐함까지 챙겼다.

 

오는 21일 출시되는 ‘CU 추억의 경양식’은 접시 하나에 담겨 나오던 경양식집 함박스테이크를 도시락으로 재현한 상품이다. 두툼한 함박스테이크에 데미글라스 소스를 얹어 친숙한 맛을 냈다. 경양식 단골 사이드 메뉴인 마카로니 샐러드와 웨지감자, 깍두기도 한 켠에 담았다. 해당 상품들은 양은색 패키지로 복고 감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디자인됐다.

 

서울우유협동조합도 서울우유의 역사를 보여주고 밀레니얼 세대의 감성을 겨냥한 ‘서울우유 밀크홀 1937 레트로컵’ 3종을 출시했다. ‘1949년 특설 밀크홀컵’, ‘1965년 균질우유컵’, 1994년 앙팡컵’ 등이다. 이 제품들은 서울우유협동조합의 80여년 역사 중 상징적인 연도를 선정하고 그 해 제작된 프로모션 컵에 새로운 감성이 덧입혀 제작됐다.

 

업계 관계자는 “1980~1990년대 제품을 리뉴얼해 출시한 뉴트로 제품들은 1020대에게는 경험해보지 못한 ‘신선한 소재’로 다가가고 3040대에게는 ‘추억의 맛’을 소환하는 매개체가 된다”면서 “여러 소비계층을 아우를 수 있는 복고 감성이 올해도 이어질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경상북도 ‘저동커피’, ‘기안장’ 타고 울릉 바다 너머 넷플릭스까지
경북 로컬 크리에이터 기업 ‘저동커피’가 글로벌 OTT 넷플릭스의 화제 예능 프로그램 ‘대환장 기안장’의 촬영지로 등장했다. ‘대환장 기안장’은 울릉도 바다 위에 띄운 기상천외한 숙소를 설계자 기안84와 글로벌 톱스타 BTS 진, 예능 샛별 지예은이 함께 운영하는 신개념 민박 예능 프로그램으로 8일 첫 방영 이후 글로벌 TOP10 상위권에 오르는 등 전 세계 시청자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 특히 22일 공개된 마지막 회차에서는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을 통해 성장한 울릉 대표 로컬 브랜드인 ‘저동커피’가 촬영장으로 등장하며 시청자들의 관심을 모았다. 2023년 경북 로컬 체인지업 우수기업으로 선발된 ‘저동커피’는 특산물인 호박과 심층수 소금을 활용하여 캐러멜을 개발, 울릉도 대표 기념품이자 주요 관광코스로 자리 잡았다. 이외에도 저동커피는 ‘오징어 먹물 아이스크림’과 독도 굿즈 개발 등 지속적인 로컬 자원 발굴과 콘텐츠 기획으로 관광객의 호응을 얻으며 울릉도의 콘텐츠 사업을 선도하는 지역 리더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경북 로컬 체인지업 사업은 ‘지역다움’을 살린 콘텐츠를 발굴, 현대적인 브랜드로 재해석하는 동시에 지역 문제를 인식하고 지역 구성원과의 협업을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