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농·창업]도시청년들의 시골 살이 3년의 기록, 곡성군에서 전시회 열려

12일부터 14일까지 청춘작당 끝맺음 전시회 개최

 

 

오는 12일부터 14일까지 전남 곡성군에서 도시 청년들의 시골 정착기가 전시된다.

 

곡성군은 지난 2019년부터 올해까지 3번의 청춘작당 프로그램을 진행했다.

'청춘작당'은 도시청년들이 일정 기간 곡성군에 거주하면서 지역민과 함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새로운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프로그램이다. 프로그램 참여 이후 정착을 희망하는 청년들에게는 일자리, 주거 등을 제공한다.

 

이번 전시회는 곡성읍 6070청춘공작소(곡성읍 낙동원로 8-1)에서 진행된다. 사진과 기록물들을 통해 지난 3년 간 청춘작당을 통해 곡성군을 거쳐갔거나 곡성군에 정착한 도시청년들의 시골살이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청년들이 지역 주민들과 함께 진행했던 프로젝트들의 성과물도 전시됐다. 청년들은 소상공인이나 공방과 협업해 제품을 기획하고 브랜드 이미지 등을 디자인하는 등 지역 사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었다.

 

한편 곡성군의 청춘작당 프로그램에는 2019년 1기와 2020년 2기에 총 60명이 참여해 그 중 22명이 곡성에 정착했다.

청년들은 사진관을 운영하거나 영상 제작 스튜디오를 여는 등 젊고 참신한 아이디어와 개성 넘치는 에너지를 발산하며 지역사회에서 활약하고 있다.

 

올 해 청춘작당 3기는 한 달 살기 프로그램으로 기획됐으며 총 37명이 참여 중이며 이 중 8명 정도가 곡성군에 정착할 예정이다.

 

곡성군은 청춘작당을 통해 농촌에 청년들이 돌아옴으로써 보다 젊고 건강한 인구구조로 회복할 수 있기를 기대하고 있다.

 

청춘작당 참여자 A씨는 “곡성에서 나와 내 삶에 대해 새롭게 생각하게 됐다. 무엇보다 내가 정말로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발견하고, 그것을 실현할 수 있다는 가능성과 희망을 발견한 것이 가장 큰 보람이다.”라고 밝혔다.

 

군 관계자는 “청춘작당은 청년들이 농촌사회에 안정적으로 정착할 수 있다는 모델이 되고 있다. 청년에게는 새로운 삶의 기회를, 지역에는 활기와 희망을 되찾는 계기로 작용할 것이다.”라며 청년들에 대한 응원과 끝맺음 전시회에 관심을 당부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