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시, 소상공인 지원 및 지역경제 활성화 위해 팔 걷어붙여

휴게․일반음식점 등 포장 용기 지원 사업 시행

진주시가 ▲배달업체 포장용기 지원사업 ▲진주형 소상공인 소규모 경영환경 개선사업 ▲전국 최초 배달앱 전용 상품권 출시 등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추진해 소상공인과 시민들로부터 호평을 얻고 있다.

 

배달업체 포장용기 지원 사업

시는 휴게·일반음식점 등 관내 외식업체를 대상으로 ‘친환경 포장용기 지원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시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외식업체를 지원하기 위해 공공기관과 함께 행복도시락 사업을 전개함에 따라 포장 용기 지원을 결정하게 됐다.

 

지원 대상은 진주시 소재 일반음식점, 휴게음식점 등 식품배달이 가능한 업체로 배달에 필요한 포장 용기 구입에 대해 구입비의 50%, 최대 10만 원을 지원받을 수 있으며, 선착순에 따라 1,000개소에 지원된다.

 

다만, 1회용품 사용 증가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생분해성 용기 등 친환경제품 구입에 대한 지원으로 한정된다. 지원받고자 하는 영업주는 신청서와 사업자등록증 사본을 함께 관할 읍·면사무소 및 동 행정복지센터에 제출하면 된다.

 

선정 발표 후에 선정 대상자는 친환경 배달 용기를 개별 구입하고, 지원금 신청서 등 서식과 구매영수증, 구매 물품 사진, 통장 사본을 제출하면 구입비를 지원받을 수 있다.

 

진주형 소상공인 소규모 경영환경 개선사업 지원

시는 지난달 27일부터 3주간 진주시 소상공인연합회를 통해 ‘진주형 소상공인 소규모 경영환경 개선사업’ 지원 신청을 접수했다.

 

 

소상공인 점포를 대상으로 옥외 간판 교체, 실내외 인테리어 및 화장실 개선, 시설집기류 구매, 홍보 지원 등 500개 업소에 총 10억 원을 지원하게 되는 이번 사업에 900여개 업체가 신청하여 사업에 대한 소상공인들의 호응을 엿볼 수 있었다.

 

진주시는 도․시비 매칭을 통해 올해 100여개소를 지원한 데 이어, 더 많은 소상공인에게 혜택을 주기 위하여 「진주시 소상공인 보호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개정하고 자체 예산을 편성하여 이번 사업을 마련했다.

 

지원 조건은 관내 사업장으로서 사업자등록증상 6개월 이상 영업을 유지 중인 소상공인으로 한정되며, 5년 내 정부 및 지자체에서 시행하는 경영환경개선사업 등 유사 사업에 참여했던 사업장은 지원에서 제외된다.

 

지원 사업비는 업체별 공급가액의 80% 범위 내에서 최대 200만 원까지이며, 한도 초과분 및 부가세 등은 사업주가 부담하게 된다.

 

전국 최초 배달앱 전용 상품권 출시 및 이벤트 추진

시는 소상공인 지원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해 10월 5일 전국 최초로 배달앱 전용 상품권인 ‘진주형 배달앱 상품권’을 출시했다.

 

배달앱 전용 상품권은 진주형 배달앱인 ‘배달의 진주’와 ‘띵동’에서만 온라인 결제가 가능하며 10% 할인된 전용 상품권이다. 시는 한국간편결제원 및 앱 개발사와 협의해 준비를 완료하여, 10억 원 규모로 발행했다.

 

진주형 배달앱 상품권은 비플제로페이, 올원뱅크 등 제로페이 앱에서 구매할 수 있고, 1인당 구매 한도는 월 20만 원, 사용기한은 구매일로부터 1년이다.

 

시는 지난 4월 소상공인의 배달앱 중개수수료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민관협력 방식으로 진주형 배달앱을 출시하였으며, 그간 경남사랑상품권과 모바일 온누리상품권을 탑재하고 관련 기관과 협업을 통해 이벤트를 진행하는 등 홍보에 힘쓴 결과 1000여 개의 가맹점이 등록돼 1만 5000명 이상의 소비자가 진주형 배달앱을 이용하고 있다.

 

이번 진주형 배달앱 상품권 출시기념으로 10월 5일부터 31일까지 한 달간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과 연계한 캐시백 및 경품 이벤트가 진행된다.

 

기간 중 5000명을 대상으로 매주 2만원 이상 결제 건에 대해 선착순 1250명에게 그 다음주 수요일에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으로 캐시백을 제공한다. 또한, 기간중 2만원 이상 결제 건에 대해 추첨을 통해 다음달 초 100만 원 상당의 모바일 진주사랑상품권을 지급한다.

 

김병무 경제통상국장은 “배달업체 포장 용기 지원 사업과 진주형 소상공인 경영환경 개선사업은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소상공인에 대한 지원을 위하여 많은 방면으로 고심한 결과 시행한 사업”이라며 “본 사업을 통해 소상공인들이 다시 일어설 수 있는 발판이 되고 진주형 배달앱 전용상품권 출시와 소비촉진 이벤트로 지역경제가 활성화 되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