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드 인사이트]특명! 색(色)을 입혀라

블랙카레, 노란색 설렁탕, 주황색 우유까지…이색상품 열전

 

고객 눈길을 사로잡기 위한 식품·외식업계 발길이 분주하다. 먹고 마시는 식·음료에서부터 일상 생활용품까지 온통 알록달록한 컬러로 뒤덮이고 있다.

마케팅에서 오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오감의 영향에 따른 구매효과는 시각이 87%, 청각 7%, 촉각 3%, 후각 2%, 미각 1%라고 한다. 이쯤되면 일반 상품은 물론 미각이 가장 중요한 식품·외식업계에서 조차 ‘눈’으로 모든 구매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어느 사업에서든 먼저 '색(色)'을 잡아야 성공하는 이유다.

 

특히나 최근엔 2030대를 중심으로 SNS에 음식 사진을 올리는 것이 하나의 놀이문화, 일상으로 자릴 잡은 가운데, 음식에 있어 맛은 기본 '시각적인 요소'의 비중이 더욱 커지고 있다. 

가령 일본의 글로벌 카레전문점 ‘코코이찌방야’의 경우 4월 14일 일명 ‘블랙데이’라는 이벤트 데이에 맞춰 한 달간 지금까지 보지 못했던 ‘블랙카레’를 선보여 소셜네트워크에서 화제가 되기도 했다. 오징어 먹물을 활용한 이색(色)카레로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었다.

 

'색(色)'으로 브랜드의 개성을 입혀라

업계에서는 고정관념을 타파하는 이색적인 색상의 메뉴로 소비자 눈길 사로잡기에 나서고 있다.

숙성 된장의 감칠맛을 담은 황색 설렁탕부터 귤을 담아 주황빛을 띄는 우유까지 특별한 맛과 색을 더해 고객의 눈과 입을 모두 만족시키는 이색 메뉴 열전이다.

 

먼저 뽀얀 흰색 국물로 대표되는 설렁탕이 색을 입었다.

본아이에프가 운영하는 설렁탕 프랜차이즈 ‘본설’은 순백의 육수인 ‘백설’ 외에도 고객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다양한 색상의 설렁탕을 선보이고 있다.

 

 

청양고추와 본설의 특제 양념을 담아 매콤한 맛을 강조한 붉은색의 ‘홍설’, 3가지 숙성 된장을 담아 깊은 감칠맛을 구현한 노란색의 ‘황설’까지 총 3가지 육수를 제공한다.

 

고객들은 3가지 육수를 바탕으로 호남평야에서 생산된 ‘신동진 쌀’을 사용해 지은 밥을 곁들이는 기본 메뉴인 ‘설(백설, 홍설, 황설)’, 쫄깃함 식감이 매력적인 구운 밀면을 활용한 ‘설면(백설면, 홍설면, 황설면)’, 설렁탕과 만두를 함께 즐길 수 있는 ‘설만(백설만, 홍설만, 황설만)’을 만나볼 수 있다.

 

하얀 핫초코? 귤색 우유? 세상에 없던 이색 상품 화제

하얀색 핫초코도 있다. 동서식품은 ‘핫초코는 어두운 색’이라는 고정관념을 깨고 화이트 초콜릿을 활용한 ‘미떼 화이트 초코’를 출시했다.

 

화이트 초콜릿의 부드러운 맛과 풍미를 담아낸 제품이다. 동서식품은 신제품 출시와 함께 하얀색 핫초코에 놀라는 할아버지에게 “하얀색도 있지~”라며 의기양양하게 답하는 귀여운 손녀가 함께 등장하는 광고를 공개한 바 있다.

 

우유도 색이 점점 다양해지고 있다. 빙그레는 ‘세상에 없던 우유’를 콘셉트로 주황색의 ‘귤맛우유’를 선보인다.

 

겨울철 대표 과일인 귤의 상큼함을 구현한 제품으로, 이색적인 비주얼과 호기심을 자극하는 맛으로 소비자 사이에서 화제를 모으고 있다.

빙그레는 작년 2월 세상에 없던 우유의 첫 번째 제품으로 베리류의 상큼한 맛을 담은 보랏빛의 ‘오디맛우유’를 선보인 바 있다.

 

 

찐빵도 속 재료는 물론 겉옷까지 갈아입으며 변신에 나섰다. 신세계푸드는 노란색 피가 돋보이는 ‘올반 바나나찐빵’을 선보인다.

 

바나나라는 이름에 걸맞는 노란색 겉모습이 이색적인 제품으로, 속에는 생 바나나를 채워 넣었다. 겨울철 디저트 수요를 겨냥한 이색 찐빵으로, 호기심을 자아내는 비주얼과 달콤한 맛으로 소비자의 눈과 입을 모두 사로잡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전수창업] '메밀막국수·물막국수' 메뉴개발 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30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30일, 살얼음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막국수 고명 ▲상차림 등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이다. 국내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지금 일본은] 전류 통해 '짠맛' 더해주는 숟가락 등장 화제
소금을 적게 넣은 저염식도 일반식과 같은 짠맛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숟가락이 등장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에 따르면 주류 업체인 기린홀딩스가 지난 20일 기자간담회를 열고 인체에 영향이 없는 미세한 전류를 활용해 짠맛을 증폭하는 이른바 '전자 소금 숟가락'을 출시했다고 밝혔다. 기린홀딩스가 지난 2019년부터 일본 명문대인 메이지대학과 공동으로 진행한 연구를 기초로 개발한 이 숟가락은 전류의 세기로 짠맛의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제품이다. 식품이나 타액에 포함된 나트륨 이온을 혀에 있는 미각의 수용체에 모아 짠맛을 강하게 느끼게 하는 원리다. 숟가락 손잡이 부분에는 배터리가 들어가며 전류 세기는 4단계로 조절할 수 있으며, 이 숟가락을 사용하면 평소보다 30%가량 소금을 줄인 간으로도 사용자가 만족감을 얻을 수 있다고 설명했다. 사용자가 숟가락을 사용하는 순간 인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미세 전류가 입으로 전달돼 짠맛의 근원인 나트륨 이온을 강화해주는 것이 핵심기술이다. 이 숟가락을 입에 대는 순간 짠맛이 1.5배 강화되는 만큼 저염식을 하는 사람들도 음식을 맛있게 섭취할 수 있다고. 기린홀딩스는 우선 전용사이트를 통해 이 숟가락을 200개만 추첨 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