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일본은]日서 대인기인 아몬드 가공품...아이스크림까지 출시

일본에서 국내 기업이 만든 아몬드 가공품에 대한 인기가 뜨겁다. 일본 관세청에 따르면 2018년을 기점으로 일본 아몬드 가공품 시장 점유율에 한국이 높아지더니 다음해에는 56.1%까지 치솟았다.

 

 

과거에는 일본사람에게 한국 식품선물 1위로 김이 꼽혔으나 요즘에는 아몬드 가공품으로 세대교체가 이뤄진 모양세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집에서 혼술을 하며 가벼운 안주로 아몬드가공품을 찾는 이들도 늘어났다.

 

국내서 아몬드가공품을 생산하는 대표적인 업체는 길림양행, 머거본, 나라통상 등을 꼽을 수 있다. 허니버터 외에도 와사비, 군옥수수, 마늘, 제주말차와 같은 다양한 아이디어 제품을 출시해 인기를 끌고 있다.

 

 

실제로 롯데마트가 집계한 2018~2019년 간식 상품군의 외국인 매출 동향을 보면 2년 연속 ‘허니버터아몬드’가 차지했으며, 길림양행이 명동에 열은 HABF 프래그십 스토어의 경우 코로나 이전 외국관광객이 몰리며 월 매출 15억 원까지 올렸다. 현재는 운영을 멈춤 상태다.

 

아몬드가공품이 인기를 끌며 일본의 잡화점 돈키호테나 온라인몰 아마존, 라쿠텐을 들어가면 수많은 유사제품을 찾아볼 수 있다. 케이팝, 드라마 등 콘텐츠의 영향으로 겉포장에 한국어가 적여 있는 제품에 대한 관심이 크다.

 

 

허니버터아몬드가 크게 인기를 끌자 일본 베스킨라스빈에서는 지난 3월 4일 기간한정으로 신제품 ‘해피버터아몬드(ハッピーバターアーモンド)’를 출시했다. 가격은 싱글레률러 사이즈가 390엔(약 4,000원)이다

 

한편 국내 기업의 아몬드 가공품은 일본 뿐만 아니라 중국, 베트남 등 아시아 권역으로 인기를 넓혀 가고 있다. 특히 중국은 사드사태가 수그러들자 건강 식품에 관심이 높은 현지 소비자들이 한국의 아몬드 가공품을 대량으로 구입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