벼룩시장 조사, 자영업자 52.9% ‘올해 경영환경, 지난해보다 비관적’

‘지난해보다 좋아질 것 같다’ 10% 미만
자영업자 50.9% ‘신규 채용 계획 전혀 없어’… 정규직 채용 예정 사업장은 5.5%에 불과

 

한국은행이 올해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1.9%에서 1.5%로 하향 조정한 가운데, 자영업자들이 예상하는 올해 경영환경 역시 비관적인 전망이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 대표 일자리 앱 벼룩시장이 자영업자 731명을 대상으로 ‘2025년 경영환경 전망’을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절반이 넘는 52.9%가 ‘지난해보다 나빠질 것 같다’고 답했다. 37.9%는 ‘지난해와 비슷할 것 같다’고 답했으며, ‘지난해보다 좋아질 것 같다’는 답변은 9.2%에 그쳤다.

 

경영환경이 언제쯤 호전될 것으로 예상하느냐는 질문에도 자영업자의 대다수가 올해는 어려울 것 같다는 답변을 내놨다. 응답자의 61.0%가 경영환경 회복 시기로 ‘2026년’을 꼽았으며, ‘2027년 이후에나 회복이 가능할 것 같다’는 답변도 32.7%로 집계됐다. ‘2025년 경기 회복을 기대한다’는 답변은 6.3%에 불과했다.

 

올해 운영 계획에 대해서는 ‘사업 축소 예정’이라는 답변이 36.8%로 가장 많았으며 △변동 없을 것 같다(35.3%) △휴·폐업 고려 중(12.2%) △확장 고려 중(12.0%) △업종 전환 고려 중(3.7%) 순으로 이어졌다.

 

신규 채용 계획 역시 ‘전혀 없다’는 답변이 50.9%로 가장 많았다. ‘기존 인력을 줄일 계획(18.6%)’이라는 답변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으며 △정해진 것이 없다(14.6%) △비정규직 위주로 채용 예정이다(10.4%) 순으로 이어졌다. 정규직 채용 예정이라는 자영업자는 5.5%였다.

 

사업장 규모별로 살펴보면 1인 자영업자의 70.1%, 10인 미만 소규모 사업장의 47.1%가 ‘채용 계획이 전혀 없다’고 답했으며, 10인 이상 사업장의 경우 ‘기존 인력을 줄일 계획(43.2%)’이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다.

 

경영상 가장 큰 부담 요소로는 절반에 가까운 41.7%가 ‘소비심리 위축으로 인한 매출 감소’를 꼽았다. △임차료, 공공요금 등 고정비용(22.8%) △인건비 상승(14.2%)이 부담된다는 의견도 많았으며 △불투명한 경기회복 전망(8.9%) △원자재비, 재료비 상승(7.7%) △고금리로 인한 대출 상환 부담(3.4%) 순으로 이어졌다.

 

다음으로 경영 위기 극복을 위한 자구책이 있는지 물었다. 응답자의 27.6%가 ‘특별한 대안이 없다’고 답했으며 △메뉴·서비스 가격 인상(24.2%) △종업원 축소(19.7%)로 비용을 아끼고 있다는 답변도 높은 응답률을 보였다. 이밖에 △영업시간·일수 변경(15.0%) △휴·폐업 고려(6.8%) △사업장 축소(5.9%) 등의 답변도 있었다.

 

한편 자영업자 10명 중 6명은 부업을 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응답자의 64.2%가 ‘최근 1년 내 주된 일 외에 부업을 한 경험이 있다’고 답했으며, 특히 이들 중 36.9%는 현재도 부업을 하고 있다고 답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 ‘외식업’ 경기 일부 지역 결과 발표
KCA한국소비자평가는 경기 일부 지역에 대한 ‘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외식업’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평가는 대한소비자협의회가 주최하고 한국소비자평가가 주관하는 것으로, 경기도 양주, 양평, 여주, 오산, 의왕, 의정부, 이천, 용인시 외식업을 대상으로 했다. 2025 KCIA 한국소비자산업평가 ‘외식업’은 국내 외식 산업의 변화에 맞추어 소비자들에게 양질의 외식 서비스를 제공하고 실제 방문객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은 우수 업체를 선정해 대중에 소개하기 위해 실시됐다. 이번 평가를 위해 지난 1월~2월 중 포털사이트 리뷰 수 등을 기반으로 전국을 지역별로 나누어 사전조사를 실시했으며 사전 조사에서 상위 33.4% 이내의 평가를 받아 후보군을 선발했다. 이어 후보군에게 후보자 안내를 실시했으며 최종 수도권(서울, 경기, 인천) 지역 상위 0.11% 이내의 우수 업체가 다음과 같은 평가 기준을 통해 선정됐다고 KCA한국소비자평가는설명했다. KCA한국소비자평가는 해당 외식 업체를 방문 이용한 소비자들의 실제 경험을 바탕으로 최종 평가했으며 △음식 만족도 △시설 만족도 △직원의 친절도 △가격의 적정성 △접근성 △전반적 평가의 총 6가지 최종 평가 기준에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