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한류 레시피, 현재를 만들고 내일을 빚다’ 제14차 한류나우 정기세미나 개최

한국의 어두운 근대사와 무속을 엮은 ‘파묘’, 요리사 100명의 경연을 담은 ‘흑백요리사’. 더 이상 새로울 게 없을 것 같았던 한류 콘텐츠는 더 나은 상상력으로 또 하나의 진전을 보여줬다. 2024년 각각 다른 방식으로 화제와 성공을 거둔 두 작품을 통해 한류 콘텐츠의 진화를 탐구하는 자리가 마련됐다.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가 후원하고 한국국제문화교류진흥원(원장 박창식, 이하 진흥원)이 주관하는 ‘제14차 한류NOW 정기 세미나’가 ‘2024 한류 레시피, 현재를 만들고 내일을 빚다’라는 주제 아래 오는 12월 18일 낮 1시부터 서울 여의도 콘래드서울 스튜디오 1, 2, 3에서 열린다.

 

먼저, 세미나의 대주제에 등장한 ‘레시피’라는 단어에서 짐작할 수 있듯 ‘흑백요리사’의 디테일한 속내를 듣는 3부를 주목할 만하다. ‘흑백요리사, 세계를 향한 예능 레시피’라는 제목의 3부에서는 문정훈 서울대 푸드비즈랩 교수가 좌장을 맡았다.

 

‘먹고 마시고 노는 산업’이 바로 ‘인간을 행복하게 만드는 산업’이라 주장하는 문정훈 교수의 진행 하에 방송 이후 미방영분으로 더 큰 주목을 받은 조은주 셰프가 나서 요리와 예능의 만남을 경험적으로 풀어낸다. 또 ‘흑백요리사’를 제작한 김은지 스튜디오슬램 PD가 제작 디테일을 공개할 예정이다. ‘요리’와 ‘경쟁’이라는 익숙한 포맷을 어떻게 비틀어 새로운 상상력을 더했는지, 본편과 미방영분, 유튜브 활용 등에 이르기까지 글로벌 시청자를 고려한 추가적인 전략은 무엇이었는지, ‘흑백요리사’의 글로벌 타깃 전략과 성공을 사후적으로 분석한다.

 

1부와 2부는 진흥원을 비롯한 다방면의 한류 연구자들이 한류 콘텐츠의 성장과 당면 과제를 진단하는 자리로 마련됐다. 1부 ‘OTT와 한류 빅데이터: 글로벌 한류 데이터는 어떻게 발굴하는가?’에서는 조영신 SK브로드밴드 경영전략그룹장이 좌장을 맡았다.

 

첫 번째 발표자인 김기주 한국리서치 상무는 글로벌 한류 정보의 체계적 수집과 활용방안에 대해 논한다. 한류가 전 세계적으로 확산될수록 한국 콘텐츠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유통되는지를 일일이 추적하기 어려워졌다는 점에서다.

이에 한류 확산 경로와 성과를 확인할 수 있는 데이터의 발굴과 통합 제공 방법을 모색한다. 이어 김한밀 아르스프락시아 팀장이 AI를 활용한 드라마, 케이팝, 영화 3대 한류 콘텐츠의 소셜미디어 빅데이터 대시보드를 소개한다. 이를 통해 국내외 한류 연구자, 글로벌 콘텐츠 제작자가 참고할 만한 키워드를 공유할 계획이다.

 

‘해외 한류 수용자들이 한류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가’는 어쩌면 한류 콘텐츠 생산자들이 가장 필요로 하는 정보다. 장민지 경남대학교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조교수가 좌장을 맡은 2부 세션의 주제는 ‘해외 한류 수용 진단, 그리고 ‘파묘’’다. 진흥원 이현지 선임연구원의 ‘2025 해외한류실태조사’ 결과발표를 시작으로, 김아영 조사연구팀장의 동남아 최대 한류 수용국인 인도네시아 한류 수용연구 중간발표를 통해 한류 팬덤의 현재 활동과 반한류 위기 조짐을 들여다본다.

 

이 두 발표는 글로벌 차원에서, 또 일국 차원에서 한류의 수용 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소중한 기회가 될 것이다. 2부의 마지막 발표는 ‘파묘’의 김영민 제작자가 나선다. 한국에서 천만 관객을 돌파한 영화 ‘파묘’가 동남아, 일본 등 여러 나라에서 선풍적인 반향을 얻은 이유를 김영민의 생생한 경험을 통해 들여다본다.

 

진흥원 박창식 원장은 이번 세미나에서 “한류에 대한 높은 관심이 전 세계에 걸쳐 지속되는 만큼 2024년 말 한류 성장과 발전을 위한 전방위적인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문화와 산업을 넘나들며 경계를 확장하는 한류의 면면을 발굴 공유한다는 점에서 한류에 관심 있는 모든 사람에게 의미 있는 자리가 될 것이다.

 

제14차 한류NOW 세미나는 ‘이벤터스’ 온라인 사전등록(https://event-us.kr/m/95497/27098)을 통해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슈퍼푸드 ‘아이스플랜트’ 이렇게 드셔보세요!
충남도 농업기술원이 새로운 슈퍼푸드로 주목받고 있는 ‘아이스플랜트’의 활용법을 안내했다. 아이스플랜트는 잎 표면에 반짝이는 결정 구조(블러더 세포)를 지닌 독특한 외형을 가진 식물로, 남아프리카와 지중해 지역이 원산지이다. 신선한 맛과 독특한 식감을 자랑하는 아이스플랜트는 염분이 높은 환경에서도 생육할 수 있는 내염성 작물로 최근 기후 변화와 토양 염분 문제를 극복할 대안 작물로도 주목받고 있다. 주요 특징은 비타민 C와 미네랄이 풍부하고, 피토케미컬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강력한 항산화 작용을 돕는다. 미오이노시톨(myo-inositol) 성분은 인슐린 작용을 촉진해 혈당 조절에 도움을 주며, 당뇨 예방과 관리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체내 나트륨 배출을 돕는 칼륨도 풍부해 혈압 조절과 혈관 건강 유지에 기여하며, 항염 및 면역력 강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아이스플랜트는 수분 함량이 높아 아삭한 식감과 약간의 짭짤한 맛을 지니고 있어 다양한 요리에 활용하기 좋다. 그대로 섭취하면 특유의 식감을 즐길 수 있으며, 샐러드에 넣어 신선한 맛을 더할 수 있다. 삼겹살과 함께 쌈채소로 활용하면 풍미가 극대화되며, 볶음 요리나 샌드위치 재료로도 적합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경기도농수산진흥원, '2025 경기귀농귀촌대학 교육 운영' 용역 기관 모집
경기도와 경기도농수산진흥원이 운영하는 경기도귀농귀촌지원센터가 오는 4월 2일까지 ‘2025 경기귀농귀촌대학 교육 운영’ 용역 기관 3곳을 공개 모집한다. 경기귀농귀촌대학은 경기도 귀농·귀촌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에게 농지법, 귀농귀촌 정책의 이해, 현장실습, 선진지 견학 등 120시간 이상의 교육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이다. 교육 운영에 선정된 기관은 ▲밭작물 및 특용작물 (110명) ▲약용약초 작물(65명) ▲발효 등 식품 가공(25명) 등의 특화 과정을 개설할 수 있으며, 교육 인원당 70만 원을 지원받는다. 지원 자격은 평생교육법 제2조에 의해 설립된 대학부설 평생교육 기관으로, 과정별로 이론과 현장실습이 가능한 1곳씩 총 3곳을 선발한다. 이번 공고를 통해 선정되는 교육기관은 농림축산식품부 농업교육포털에 등록될 예정이다. 신청을 희망하는 교육기관은 나라장터 공고 게시판 또는 경기도귀농귀촌지원센터 누리집에서 신청 양식을 내려받아 작성한 후 4월 2일 오후 2시까지 방문 접수하면 된다. 최창수 경기도농수산진흥원장은 “경기귀농귀촌대학을 운영함으로써 귀농·귀촌에 대한 올바른 교육서비스를 제공하고 신규 농업 인력의 유도와 성공적인 농촌정착에 기여하고자 한다”며 “올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열려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3월 27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27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이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전통의 손길, 오늘의 만남’ 개최…한국 전통문화를 도쿄에서 만나요
문화체육관광부(장관 유인촌, 이하 문체부)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원장 장동광, 이하 공진원), 주일한국문화원(원장 공형식)과 함께 ‘한일 국교 정상화 60주년’을 맞이해 오는 4월 2일(수)까지 일본 도쿄의 주일한국문화원에서 한일 전통문화 교류 행사 ‘전통의 손길, 오늘의 만남’을 개최한다. 한일 양국의 전통문화를 아우르며 화합의 장을 마련하기 위해 기획한 이번 행사는 네 가지 주요 프로그램으로 구성했다. △양국의 전통 종이인 ‘한지(韓紙)’와 ‘와시(和紙)’를 활용한 공예 및 대표작품 교류 전시와 전통 종이의 현대적 활용에 대한 국제교류 세미나 ‘종이, 문화를 잇다’ △‘다른 듯 닮은, 한국과 일본의 식문화’를 주제로 양국의 상차림, 절기음식, 전통 과자를 비교 전시하고,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에 등재된 한국의 장문화 전시, 잔치 음식 시식 체험행사를 운영하는 ‘한식, 온기를 잇다’ △한복 전시와 한복 입어보기 체험, 사진 찍기(포토존) 등 다양한 참여 행사를 진행하는 ‘한복, 시간을 잇다’ △제기차기, 공기놀이, 팽이치기 등 전통 놀이와 연날리기 가상현실(VR) 체험 등 세대를 아우르는 ‘놀이, 세대를 잇다’를 마련했다. 3월 19일(수)에는 개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