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장님 4명 중 3명 ‘설 연휴에도 안 쉬어요’

기업회원 180명 대상 조사…76.7% 설 연휴에 일한다, 절반은 연휴 내내 근무
사장님 10명 중 4명 설 연휴 매출 ‘평소보다 늘어날 것’ 긍정적 전망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기업회원 180명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76.7%가 올해 설 연휴에도 쉬지 않고 일할 것이라 답했다.

 

이번 설 연휴는 총 4일로, 전체 사장님 중 절반에 가까운 45.0%는 연휴 기간 동안 하루도 쉬지 않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1~3일 가량 운영할 계획이라 답한 사장님은 31.7%다.

 

연휴에도 쉬지 않고 매장 운영에 나서는 이유는 ‘수익 창출’이 가장 컸다. ▲조금이나마 수익을 창출하고자(45.7%, 복수응답) ▲업종 특성상 설 연휴가 대목이라서(34.1%) 라는 답변이 가장 많았고, ▲주말, 연중무휴 등 기존 영업일에 해당돼서(23.9%) ▲고향 방문, 여행 등 별다른 계획이 없어서(13.8%) ▲엔데믹 전환으로 손님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서(7.2%) 등의 응답도 뒤이었다.

 

설 연휴 기간 매출에 대해서는 많은 사장님들이 긍정적으로 내다봤다. 42.8%가 설 연휴 매출이 평소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했고 ‘평소와 비슷한 수준일 것’이란 답변은 32.6%, 평소보다 줄어들 것으로 예측하는 사장님들은 23.2%에 불과했다.

 

 

설 연휴 앞두고 알바생 고용 나선 사장님 55.1%

설날 알바 시급은 평균 11,275원 지급 예정

 

연휴 전 알바생 고용도 활발하다. 절반 이상(55.1%)의 사장님이 설 연휴 영업을 대비해 알바생을 이미 고용했거나 고용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설 연휴에 맞춰 알바생 고용에 나서는 이유는 기존 알바생들의 퇴사로 인해 충원이 필요한 사례(42.1%, 복수응답)를 제외하고 ▲연휴 시즌 손님이 늘어날 것 같아서(28.9%) ▲업종 특성상 명절이 성수기라서(21.1%) 등 일손 부족에 대비하기 위함이 가장 컸다. 이 밖에 ▲설 연휴를 시작으로 경기가 회복될 것으로 기대돼서(10.5%) ▲방학 시즌, 설 연휴 등으로 구직자가 늘어난 것 같아서(5.3%) 등의 응답도 뒤이었다.

 

고용 예정 혹은 이미 고용한 알바생들은 대부분(61.8%) 3개월 이내로 근무하는 단기 알바생으로 조사됐다. 특히, 설 연휴 시즌 일주일 이하로 근무하는 ‘초단기 알바생(22.4%)’과 설 연휴를 포함해 겨울방학까지 1개월 가량 근무하는 ‘단기 알바생(15.8%)’이 높은 비중을 기록했다.

 

알바생에게 지급 예정인 설날 알바 시급은 평균 11,275원으로, 2023년 법정 최저시급보다 1,655원 높은 것으로 집계됐다.

 

한편, 알바천국은 설 명절 단기 아르바이트를 찾는 구직자들을 위해 ‘설날 알바 채용관’을 운영 중이다. 3개월 이하 채용공고 중 설 명절 인기 아르바이트 일자리를 모아 한 데 제공하고 있으며, 채용관 상단 영역에 급여가 높고 복지 혜택을 갖춘 공고를 우선적으로 선별해 쉽고 빠른 아르바이트 구직을 지원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