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UP]면역력 강화 돕는 ‘건강기능식품’, 매출 579% 급증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에 건강 상품을 찾는 소비자들이 크게 늘었다.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2015년 2조9468억 원이었던 건강기능식품 시장 규모가 2016년 3조5563억 원, 2017년 4조1728억 원 등으로 매년 꾸준히 증가하며 지난해 4조5821억 원을 기록했다.

주 구매층 또한 과거 40, 50대 이상 소비자에서 1980년대 초반∼2000년대 초반 출생한 밀레니얼 세대가 핵심 고객층으로 떠오르며 연령층이 확 낮아졌다.

 

A형 독감,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등 각종 질병 유행에 면역력 증진 필요성 높아져

12일 롯데쇼핑에 따르면 1월27일부터 2월11일까지 '롭스' 온라인몰 건강기능식품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579% 신장했다.

건강기능식품 중 면역력 증진에 도움이 되는 비타민 상품류는 2077%, 프로바이오틱스 상품류는 730% 증가하는 등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롭스는 스스로 치료한다는 뜻의 `셀프메디케이션(self-medication)`이 유행하면서 건강에 대한 관심도가 커진 것으로 분석했다.

‘셀프메디케이션’이란 원래 스스로 치료한다는 뜻이지만, 국내에서는 '건강에 좋은 식품을 먹는 행위'를 통칭한다.

 

특히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는 개인위생과 면역력이 취약한 사람일수록 감염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마스크, 손세정제 등과 더불어 건강식품군의 매출이 대폭 증가한 것으로 해석된다. 건강기능식품군 중에서는 휴대와 섭취가 간편한 상품이 인기를 얻고 있다.

 

휴대와 섭취가 간편한 상품 인기

이들 건강식품군 중 휴대와 섭취가 간편한 상품들이 인기를 얻고 있다. '위클리랩', '홍싸 젤리스틱', '면역부스터' 등 휴대가 간편하도록 1포씩 포장되어 있다.

 

 

최근 SNS 상에서 '컨디션에 맞는 건강 솔루션'으로 화제가 되고 있는 '위클리랩'은 한 박스에 일주일 용 7개 파우치로 각각 나눠 포장되어 있어 휴대가 간편한 데다 바쁜 일상에서 필요한 영양소를 한 번에 섭취할 수 있다. 비타민, 유산균, 콜라겐 등의 영양소를 일주일 단위로 선택해서 구성할 수 있는 것이 특징이다. 롭스에서는 2월 29일까지 '위클리랩' 일주일 패키지 제품을 각 8900원 특가에 판매한다.

 

 

‘홍싸 젤리스틱’은 홍삼액을 젤리 타입으로 만들어 씹는 식감이 풍부한 제품이다. ‘면역부스터’는 주성분이 알로에겔로, 면역세포 활성 증가와 장 건강에 도움을 준다.

 

롯데e커머스가 운영하는 롯데닷컴에서도 같은 기간(1월27일~2월11일) 비타민C 제품군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123.6% 증가했다.

고려은단 비타민C 매출은 220%까지 신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2월3일 주문 폭주로 일시 품절 상태에 들어갔던 고려은단 비타민C 1000(600정) 상품은 11일 오전, 재고 수급으로 판매가 재개됐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2일간 매출 4,700만 원 달성... 푸드트래블, 금정구청과 푸드트럭 창업지원 1차 현장 실습 성료
푸드엔터테인먼트 컴퍼니 (주)푸드트래블이 부산 금정구청과 함께 진행하는 ‘제3회 푸드트럭 창업지원 프로그램’의 1차 현장 실습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 이번 프로그램은 단순한 이론 중심의 교육을 넘어, 실제 현장에서 판매와 운영을 경험할 수 있도록 구성된 실습 중심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어 창업 준비 단계에 있는 참가자들에게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지난 10월 22일에는 ‘푸드트럭 시장 이해 및 메뉴 교육’이 진행되어, 푸드트럭 창업에 필요한 기본적인 이론부터 메뉴 개발, 위생 관리, 운영 전략 등 실무 중심의 강의가 진행되었다. 이어 10월 25일부터 26일까지는 ‘2025 상생영수증 콘서트 in 부산’ 현장에서 1차 실습이 이루어져, 참가자들이 직접 푸드트럭을 운영하며 실제 고객을 응대하고 판매 데이터를 분석하는 등 실질적인 경험을 쌓을 수 있었다. 특히 푸드트래블은 1차 현장 실습 프로그램에서 실습 중심의 운영과 더불어, 메뉴 개발에 어려움을 겪는 예비 창업자들을 위해 예능 프로그램 ‘흑백요리사’ 등에 출연한 셰프들의 레시피를 기반으로 한 메뉴 개발 지원을 함께 진행했다. 이를 통해 참가자들은 트렌디하면서도 현장에서 경쟁력 있는 메뉴를 직접 선보이는 기회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