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리포트] 거리두기 해제에 영화·외식앱 사용자 급증…배달앱, 마트앱은 부진

 

코로나19가 소강상태에 접어들며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됨에 따라 지난달 영화·외식·여행 앱 사용량은 늘고 배달 앱 사용량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아이지에이웍스가 자사의 데이터 분석 솔루션 ‘모바일인덱스’로 진행한 ‘거리두기 해제’ 앱 시장 현황 분석에 다따르면, 올해 3월 대비 5월 영화 카테고리 앱 사용자 수(MAU) 증감률은 약 86.2%였으며, 외식·음식점 관련 앱은 사용자가 69.2%가량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5월 넷플릭스와 주요 영화 앱 △CGV △롯데시네마 △메가박스의 MAU 기준 중복 사용자 수는 3월 대비 2배가량으로 증가했다. 또 주요 영화 앱 합산 일간 사용자 수(DAU)는 ‘닥터스트레인지’, ‘범죄도시’ 시리즈 등 5월 신작 개봉일 전후로 상승하는 양상을 보였다.

 

외식 관련 앱 △테이블링 △캐치테이블의 5월 넷째 주 WAU는 14만1742명과 13만7780명으로, 3월 첫째 주 대비 각각 61.7%, 26.6%가량 증가했습니다.

 

항공사·항공권, 해외숙박 업종은 사용자 수 상승세를 보였다. 항공사·항공권 카테고리 앱의 5월 사용자 수(MAU)는 207만7980명으로, 지난해 12월보다 약 52.8% 늘었고, 같은 기간 해외숙박 업종 앱 사용자 수는 약 5.2% 증가했다.

 

5월 에버랜드 앱 사용자 수(MAU)는 57만2304명으로 코로나19 유행 첫해인 2020년 5월보다 2.8배 늘었다. 롯데월드 앱 또한 지난달 MAU 25만779명을 기록하며 2020년 5월 대비 사용자 수가 3.6배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주요 배달 앱인 △배달의민족 △요기요 △쿠팡이츠의 3월 첫째 주 대비 5월 넷째 주 사용자 수(WAU) 증감률은 각각 -8.2%, -17.2%, -25.2%로 나타났다.

 

가장 큰 하락폭을 보인 것은 비대면 진료 등 기타병의원 업종 앱으로, 3월 대비 5월 사용자 수 증감률이 약 -32%로 분석됐다.

 

아이지에이웍스는 데이터분석 솔루션인 모바일인덱스를 통해 2020년 5월 1일부터 올해 5월 31일까지 기간 동안 일평균 4000만 모바일 기기의 20억건에 이르는 데이터를 AI 알고리즘에 기반해 분석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한가위는 하동에서 茶와 함께‘치유 여행 茶소풍’
1200년 역사와 전통을 자랑하는 우리나라 차(茶) 시배지이자 세계중요농업유산인 하동 화개면 일원에는 세상에서 하나밖에 없는 아름다운 다원길이 조성돼 있다. 아름다운 야생차밭을 걸으며 차 생산 농가와 다원의 연계 프로그램을 체험할 수 있는 ‘천년다향길’은 두 개의 코스로 준비돼 있어 가족․친구․연인 등과 부담 없이 걸을 수 있다. 제1코스는 차시배지∼쌍계초등학교∼목압마을∼조태연가∼모암마을∼만수제다 전통차밭∼관아다원 전통차밭, 제2코스는 정금마을 차밭∼도심마을∼신촌마을∼혜림농원∼차시배지 각각 4㎞로 1시간 가량 소요된다. 코스를 걷다보면 야외 찻자리, 벤치 등 편의 시설이 조성돼 있어 야생차밭을 배경으로 야외 찻자리를 즐길 수 있어 하동에서만 즐길 수 있는 눈과 입이 즐거운 경험을 선사한다. 또한 걷기 여행과 결합해 아름다운 차밭 18개소를 선정해 스마트태그(QR)를 설치했으며 휴대폰으로 QR코드를 찍으면 차밭 소개, 다원, 다실 안내와 차 판매기능 등의 서비스를 제공한다. 아울러 화개면 운수리 664에 위치한 하동야생차박물관에서는 추석 당일을 제외한 연휴 기간 세계차 체험, 윷놀이, 투호놀이, 야외 찻자리 등 차와 함께 힐링 공간을 마련한다. 차는 사람과 사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