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슈UP]치매 노인을 위한 일본 스타벅스의 'D카페'

스타벅스 재팬은 고령화사회에 맞춰 매장 8곳을 치매 카페(Dementia 카페)로 운영하고 있다.

 

 

'D카페'는 치매 환자에게 친화적인 도시로 조성된 도쿄 마치다시에 위치했다. 도쿄 남부 외곽에 있는 마을인 마치다시는 인구 42만 명의 큰 규모의 도시이다.

 

2015년부터 마치다시는 치매환자가 살기 좋은 동네를 만들기 위한 기반을 다지는데 힘을 쏟고 있다. 치매 카페나 치매 환자의 이해를 돕기 위한 서점이 운영 중이거나 설치를 준비하고 있다.

 

현재 일본은 세계적으로 고령화 사회가 가장 빨리 진행되는 나라다.  고령 인구가 많아지며 치매 질환의 수 또한 증가하고 있다. 일본후생노동성은 2025년이 되면 65세 이상 인구 5명 중에 1명이 치매 환자가 될 것이라고 예측했다.

 

 

이에 일본은 2015년 1월 후생노동성을 중심으로 신오렌지 플랜이라고 불리우는 치매시책추진종합전략을 내놓았다. 신오렌지 플랜은 ‘치매 환자의 의사가 존중되고, 오랫동안 살아 정든 지역에서 자신답게 살 수 있는 사회의 실현’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치매에 대한 이해를 높이기 위한 활동을 비롯한 7개의 큰 카테고리를 만들고 시책을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이 중 하나가 치매카페인 것이다.

 

D카페에서 ‘D’는 dementia(치매), diversity(다양성), dear(친밀감)라는 의미로 당사자나 가족, 지역주민이 교류하는 장소이다.

 

 

치매 카페는 치매 환자가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장소 만들기를 목적으로 운영된다. 일본 전국에 지자체에서 만든 약 700개의 치매카페가 있지만 주민들의 호응도는 낮은 편이다.

 

마치다 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시내의 스타벅스 총 8점포를 한 달에 한 번씩 D카페로 변신시켰다.

 

스타벅스커피 재팬은 CRS(기업의 사회적책임) 일환으로 ‘커뮤니티 공헌’을 위해 각 점포가 자주적으로 지역사회활동을 할 수 있도록 권장하고 있다.

 

D카페 역시 마치다시의 고령자 지원센터 관계자와 스타벅스 마치다 카나모리점 점장이 만나 논의한 끝에 지역 사회에 공헌하자는 뜻이 일치해 열게 됐다.

 

마치다시의 D카페는 ‘특별한 장소에서 일상의 장소로’라는 컨셉을 가지고 있다. 치매환자도 스타벅스에서 커피를 마시길 원하고, 일반인들도 치매에 대해 친근하고 익숙하게 받아들이도록 하기 위해서다.

 

 

치매를 앓고 있는 환자들 중에는 자신이 치매라는 것을 알리고 싶어 하지 않는 사람들이 많다. 치매에 대한 인식이 아직 성숙되지 않은 탓이다. 또한,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과 치매는 관련이 없을거라고 생각하며 살아간다.

 

스타벅스처럼 일상적이며 개방된 장소는 치매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줄이기에 최적의 장소다. D카페는 ‘부담 없이 마음 편하게 들어갈 수 있는 곳’이라는 이미지를 주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현재 마치다시의 D카페는 시내의 스타벅스 카페에서 매달 정기적으로 열리며, 별도 예약 없이 방문하면 된다.

 

우리나라 역시 2025년이면 고령화율(전체인구에서 65세 이상 인구 비율) 20~21%이상의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된다. 일본의 D카페와 같이 곧 다가올 초고령화 사회를 대비하는 자세가 필요한 시기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슈UP] 스마트농업의 미래, 청년의 손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의 2025년 신규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 교육은 농업에 관심있는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거나 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운영하는 현장실습 중심의 장기 전문교육으로 이번에 모집하는 교육생은 8기에 해당한다. 교육 신청 자격은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으로, 전공에 관계없이 스마트팜 영농기술을 배우고자 하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농식품부가 교육비 전액을 지원한다. 올해 교육생 선발인원은 208명(보육센터별 52명)으로 오는 5월 29일 15시까지 모집하며, 이후 지원자를 대상으로 적격심사,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7월 중 최종 교육생을 선발한다. 선발된 교육생은 올해 9월부터 20개월 동안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은 ‘입문교육’ 2개월, ‘교육형실습’ 6개월, ‘경영형실습’ 12개월로 구성된다. 교육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교육 수행실적이 우수한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최대 3년 이내) 입주 자격이 주어지며, 스마트팜 종합자금 신청 자격과 청년농업인영농정착지원 사업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