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리포트]日 차세대 스마트팩토리 ‘닛신 식품 간사이 공장’을 가다

마치 무인공장과도 같은 생산라인 위를 막 완성된 컵라면이 나란히 흘러가는 모습은 마치 가까운 미래를 그린 영화의 한 장면 같다.

 

 

일본 닛신 식품이 올해 3월부터 제2기 가동을 개시한 간사이 공장(시가현 릿토시 시모마가리 21-1)은 동사 그룹의 연구 시설 ‘the WAVE’(도쿄도 하치오지시)에서 자체 개발한 최신설비 도입과 IoT기술의 활용 등에 의한 자동화와 효율화를 이뤘다.

 

이를 통해 제품 안전성과 가격 경쟁력을 실현시켜 식품 업계에서 주목하고 있는 차세대형 스마트 팩토리이다. 닛신 식품은 공장 직원을 기존의 절반으로 줄이는 것이 목표다.

 

 

새로운 기술을 최대한 받아들이고, 이때까지 사람의 손으로 거쳤던 확인, 검사, 원자재 용기 등의 이동을 자동화했다. 사람의 힘이 필요하지 않은 작업공정을 확립함으로써 인위적인 리스크를 줄이고 있다.

 

스마트 팩토리를 도입 후 이전과 비교했을 때 불량품 발생률은 1개/100만개 이하를 실현하고 있다. 이는 우주로켓의 안전기준보다 높은 안전성이라고 한다.

 

일본 최대 규모 연간 최대 10억개 제조

총 사업비 약 655억엔(제3기 공사 완료시)을 투입하고 정비를 추진하는 동공장은 부지면적 9만 9천 865㎡, 총면적 11만 8천 108㎡으로 일본 최대 규모의 식품 공장이다.

 

제3기 가동 시의 생산 능력은 하루 400만개(연간 최대 10억개)이다. 지난해 10월에 제1기, 올해 3월부터 제2기 가동이 개시되어 현재 6라인이 가동 중이다. 올해 12월에 제3기 공사가 완료되면 컵라면, 봉지라면 모두 합쳐서 10라인이 가동될 예정이다.

 

 

주요 생산 품목으로는 컵라면 제품인 ‘컵누들’, ‘컵누들 미니’, ‘닛신노돈베이’, ‘닛신야키소바U.F.O’, 봉지라면으로는 ‘치킨라멘’, ‘데마에잇쵸’ 등이 있다.

 

식품 안정성을 최우선으로 한 스마트팩토리

닛신 스마트팩토리의 혁신 포인트는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 관리 시스템 ‘NASA실’, ▲자동화, 무인화로 식품 안전성 강화, ▲3곳의 지역을 구분하여 철저한 위생 관리 3가지이다.

 

품질관리 시스템의 심장부로 자리를 잡는 것이 NASA(Nissin Automated Surveillance Administration)실이라 불리는 집중 감시·관리실이다.

 

 

설비, 품질 관리 카메라, 전기, 수도, 사람 등 공장 내의 모든 정보를 화면상으로 일괄 관리함으로써 라인 내에 사람이 투입되지 않아도 모든 기계의 가동 상황, 제조 공정을 영상과 수치 데이터로 파악하여 관리하는 것을 가능하게 했다.

 

제품 관리 데이터를 제조 후에도 서버 내에 장기간 보존하여 문제가 발생했을 경우에 바로 추적할 수 있는 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또, 로봇 기술을 활용해 지금까지 사람의 손으로 행하던 확인, 검사, 원재료나 용기 등의 이동을 자동화했다. 공장에 입하된 자재는 자동반송대차(AGV)로 지정된 장소로 반송되는 구조이다.

 

NASA실의 지시로 출하된 재료가 들어있는 상자는 로봇이 운반해 자동 선별·검사 장치를 거쳐 재료만 자동반송대차로 운반해 생산라인으로 보낸다. 한번 검사를 거친 재료는 밀폐된 스텐인리스 탱크에 넣는다. 사람의 손으로 하던 컵 충전도 완전 자동화해 안정성을 확보했다.

 

 

위생 관리 면에서는 공장 내부를 ‘고도청결구역’, ‘청결구역’, ‘준청결구역’ 3가지 지역으로 구분함으로써 외부로부터 들어오는 이물질 리스크를 줄였다.

 

외부에서 준청결구역으로 반입된 자재는 먼저 청결구역으로 운반되어 개봉, 구분, 검사를 거쳐 스테인리스 탱크에 반입 후 밀봉되어 생산지역인 고도청결구역으로 이송된다.

 

준청결구역과 고도청결구역을 가까이 두지 않고 완전히 나눔으로써 외부로부터의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정밀도가 높은 위생관리를 실현시켰다. 이 밖에도 에너지의 효율적인 활용을 통해 환경부하 저감도 이루고 있다.

 

‘보여주는’ 공장을 실현

스마트팩토리의 디자인 감수는 사토 카시와 아트 디렉터가 담당했다. 엔트런스 홀, 닛신의 코퍼레이트 컬러로 통일된 약 180m의 관람객 통로, 세계에서 하나뿐인 오리지널 컵라면을 만들 수 있는 ‘마이 컵누들 팩토리’ 등으로 즉석 면의 제조 공정을 즐겁게 배울 수 있도록 고안해 볼거리가 있는 공장이다.

 

 

제조 공정을 견학할 수 있는 일직선으로 되어있는 견학자 통로에는 생산라인에서 발생하는 기계음을 샘플링하여 리믹스한 BGM이 흘러나오고, 최소한의 인력으로 돌아가는 생산라인과 합쳐져서 청각과 시각 면에서 새로운 재미를 준다. 현재는 인근 초등학교를 사회견학을 위한 식품 브랜드 공장 견학 장소로도 활용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슈UP] 스마트농업의 미래, 청년의 손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의 2025년 신규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 교육은 농업에 관심있는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거나 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운영하는 현장실습 중심의 장기 전문교육으로 이번에 모집하는 교육생은 8기에 해당한다. 교육 신청 자격은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으로, 전공에 관계없이 스마트팜 영농기술을 배우고자 하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농식품부가 교육비 전액을 지원한다. 올해 교육생 선발인원은 208명(보육센터별 52명)으로 오는 5월 29일 15시까지 모집하며, 이후 지원자를 대상으로 적격심사,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7월 중 최종 교육생을 선발한다. 선발된 교육생은 올해 9월부터 20개월 동안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은 ‘입문교육’ 2개월, ‘교육형실습’ 6개월, ‘경영형실습’ 12개월로 구성된다. 교육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교육 수행실적이 우수한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최대 3년 이내) 입주 자격이 주어지며, 스마트팜 종합자금 신청 자격과 청년농업인영농정착지원 사업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