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분투 초콜릿, 발렌타인데이 맞이 해피빈 펀딩 진행중

발달장애인 초콜릿메이커가 만드는 우분투 초콜릿이 발렌타인데이를 맞아 해피빈 펀딩을 진행한다.

 

우분투 초콜릿은 동안제일복지센터가 장애인직업재활시설 최초로 발달장애인 초콜릿메이커라는 직무를 개발해 제조기술을 훈련시키면서 운영하고 있는 수제초콜릿 브랜드이다.

 

동안제일복지센터는 2020년 1월부터 ‘발달장애인의 홀로서기를 꿈꾸다’라는 미션을 가지고 활동하는 연세대학교 인액터스 소속 프로젝트 Colors와 협업하며 다양한 초콜릿을 선보이고 있다.

 

이번 펀딩은 동안제일복지센터와 Colors가 선보이는 세번째 프로젝트로, 발렌타인데이를 맞아 사랑하는 이들에게 선물할 수 있는 살라미 초콜릿 등 리워드 4종을 만나볼 수 있다. 펀딩 오픈 일주일 만에 목표금액의 250%를 달성했을 정도로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

 

펀딩의 수익금은 발달장애인 초콜릿메이커와 함께 하는 장애인식개선 키트 개발을 위해 사용된다.

 

동안제일복지센터 박경호 원장은 “장애인식개선 키트 개발을 통해 장애와 비장애는 차이일 뿐, 차별의 이유가 될 수 없다는 사실을 알리고자 한다”며 “이번 프로젝트가 성공적으로 마무리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이번 펀딩은 네이버 해피빈에서 올해 2월 20일까지 진행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쌀과 콩으로 만든 전통 유과
부모님이 배운 한과 제조 방식은 할머니로부터 온전히 전수받은 것이었다. 한과의 본질적인 맛과 집안 고유의 제조 방식이 고스란히 전해졌다. 강릉 사천면에는 130년 역사를 지닌 한과마을이 있다. 갈대가 많아 ‘갈골’이라 불리던 이 마을에 한과를 만들어온 집안들이 모여 산다. 노동리 한과마을길에 들어서면 도로 폭이 점차 좁아지면서 너른 농촌 마을이 펼쳐진다. 한과 집 간판이 하나 나타나면 그 옆에 또 다른 한과 집이 이어진다. 우리 나라에 한과 만드는 곳이 여기에 다 있나 싶다. ‘한과’ 마을이라고는 하지만, 기름에 튀기는 유과 제조가 주를 이룬다. 한 입 베어 물면 느껴지는 폭신한 식감 때문에 고려시대 몽골인이 “구름을 먹는 것 같다”고 말했다던 유과. 그 모양과 고물에 따라 이름이 달라지는 것도 재미있다. 평평한 직사각형으로 큼직하게 만든 것은 ‘산자’, 손가락 형태로 썰어 튀긴 것은 ‘강정’, 콩알만 한 찹쌀가루 반죽을 튀겨 엿으로 뭉친 후 각지게 썬 것은 ‘빙사과’라 부른다. 기본적인 유과 제조 방식은 모든 집이 동일하다. 발효한 찹쌀로 반죽을 만든 후 얇게 펴 건조하고, 기름에 튀겨 부풀린다. 이후 조청에 버무리고 그 위로 튀 밥, 깨 등의 고물을 입힌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주목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5월 15일(목)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5월 15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심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