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2021년 호주 시장 트렌드 결산

식품외식시장은 2020년부터 이어진 코로나에 적응하고자 여러 가지 변화를 겪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2021년 호주의 식품외식 시장 트렌드를 정리하면 ▲집쿡, ▲로컬소비, ▲채식주의, ▲온라인 소비 등 4가지 키워드로 압축할 수 있다. 이러한 소비 경향은 2022년에도 이어질 전망이다.

 

 

 

집쿡 인구 증가로 밀키트 인기 상승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지면서 다양한 메뉴를 집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할 수 있는 ‘밀키트’의 인기가 상승했다. 건강한 가정간편식으로 인식되는 밀키트의 주요 소비층은 요리에 번거로움을 느끼는 젊은 층이다.

 

 

호주의 밀키트 ‘21년 시장규모는 3억 달러(한화 약 3,405억 원) 이상으로 추정되며 전년 대비 40% 성장했다. 코로나19로 해외여행이 제한되자, 일부 소비자는 해외의 다양한 요리를 집에서 간편하게 조리하여 섭취하고자 이색 밀키트 구매가 이어졌다.

 

Hello Fresh사는 해외 요리를 포함한 이색 밀키트를 비롯한 총 45종의 메뉴를 판매하며, 다양한 메뉴를 맛보고 싶어 하는 소비자에게 인기를 끌었다.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로컬 소비 확대

Roy Morgan의 설문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 대유행 이후 호주인의 절반 이상이 호주산 제품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높은 생산 단가와 인건비로 제조업이 쇠퇴한 호주는 작년 대유행 기간 식품, 소비재 등에 대한 심각한 공급 부족 현상을 겪으면서 소비자는 제품 원산지 및 기업에 대한 정보를 확인하고 주로 로컬 식품을 소비하는 추세이다.

 

 

‘20년 초 발생한 최악의 산불 및 코로나19 재난으로 인해 호주 소비자들이 호주 로컬 제품 소비를 통해 호주인들을 스스로 지원하자는 분위기 형성됐다.

 

2021년 3월 호주 소비자들은 소상공인을 지원하고자 온라인 마켓 플레이스 Buy Aussie Now를 만들었다. 입점한 중소기업들은 제품 판매가의 8%의 결제 수수료 및 3%의 처리비를 제외하고 웹사이트 및 마케팅 콘텐츠 이용, 소셜미디어 홍보 등이 가능하다.

 

채식주의자 250만 명 시대, 빠른 속도로 성장하는 비건 시장

호주 비건 식품 시장규모는 2020년 기준 2억 15백만 달러로 지난 5년간 연평균 성장률 10%를 기록했다. 구글에서 비건에 대한 검색을 가장 많이 한 국가는 호주이며, 아랍에미리트와 중국에 이어 세계에서 3번째로 비건 산업이 빠르게 성장 중이다.

 

 

호주 전체 인구의 12%에 해당하는 250만 명이 채식주의자이며 이중 비건 인구는 40만 명으로 추산된다. 세계 최대 규모의 축산국가이나 육류 섭취량은 감소하고 있으며, 비건 식품의 수요가 급속도로 증가하여 식품 업계 지형도를 변화시키고 있다.

 

글로벌 대체 고기 생산업체 미국의 Beyond Meat에서도 호주 비건 시장을 주목하여 2018년 12월 주요 슈퍼마켓 체인에 입점했다.

 

온라인 시장의 급성장

`19년 호주 온라인 시장규모는 286억불을 기록하였으며, ‘21년에는 352억 달러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호주 이커머스 시장은 현재 수익면에서 세계 10위이며, 지속적 확대 추세를 보인다.

 

Statista에 따르면 2021년까지 이커머스 시장 보급률은 85.2%에 달할 것으로 예측되며, 온라인으로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수는 22백만명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결제 시스템의 편이성은 지속적으로 개선되고 있으나 넓은 국토로 인해 도시간 거리가 멀어 유통비용이 높은 문제가 있다.

 

온라인 쇼핑 이용자 중 절반 이상이 배송지연, 배송오류의 문제를 경험한 적이 있어, Click & Collect로 온라인으로 주문 후 직접 매장을 방문하여 픽업하는 옵션이 인기를 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슈UP] 스마트농업의 미래, 청년의 손으로!
농림축산식품부가 스마트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스마트팜 청년창업 보육센터'의 2025년 신규 교육생을 모집한다. 이 교육은 농업에 관심있는 청년들이 스마트팜을 활용해 창업하거나 관련 분야에 진출할 수 있도록 2018년부터 스마트팜 혁신밸리에서 운영하는 현장실습 중심의 장기 전문교육으로 이번에 모집하는 교육생은 8기에 해당한다. 교육 신청 자격은 18세 이상 39세 이하의 청년으로, 전공에 관계없이 스마트팜 영농기술을 배우고자 하는 누구나 지원할 수 있다. 농식품부가 교육비 전액을 지원한다. 올해 교육생 선발인원은 208명(보육센터별 52명)으로 오는 5월 29일 15시까지 모집하며, 이후 지원자를 대상으로 적격심사, 서류 및 면접 심사를 거쳐 7월 중 최종 교육생을 선발한다. 선발된 교육생은 올해 9월부터 20개월 동안 교육을 받게 되며, 교육은 ‘입문교육’ 2개월, ‘교육형실습’ 6개월, ‘경영형실습’ 12개월로 구성된다. 교육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창업을 위한 다양한 혜택이 제공된다. 교육 수행실적이 우수한 수료생에게는 스마트팜 혁신밸리 내 임대형 스마트팜(최대 3년 이내) 입주 자격이 주어지며, 스마트팜 종합자금 신청 자격과 청년농업인영농정착지원 사업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