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에서 한류와 함께 K-FOOD의 인기가 날로 치솟고 있다.
국제무역센터(ITC)에 따르면 한국 라면과 김치의 캄보디아 수출액은 2016년 이후로 급격히 증가했다. 라면의 수출액은 2016년 약 63만 달러에서 2018년 약 276만 달러로 4배 이상 증가했으며, 김치 수출액은 2015년 14,014 달러에서 2018년 26,964 달러로 약 1.9 배 증가했다.

면·절임 선호 문화에 한류·현지화 가세
캄보디아의 대표 식문화는 면과 절임 식품이다. 캄보디아인은 아침 식사로 노점상의 쌀국수를 자주 먹으며 단맛, 신맛, 매운맛을 선호해 이때 설탕, 볶음고추, 라임 등을 첨가한다. 또 채소, 과일을 소금물에 절여 고기, 생선에 곁들이는데, 김치나 장아찌와 닮은 Pickled Mustard Greens(Chrouk Spey) 라는 음식도 있다.
한국 드라마 ‘푸른 바다의 전설’이 현지에서 인기리에 방영되며 여주인공 전지현이 음식을 먹는 영상 조회 수는 200만에 육박한다. 나아가 한류 콘텐츠에 대한 관심이 실제 한식 체험과 소비로 이어진다. 캄보디아 유튜버 사이에서도 불닭볶음면 먹방은 단골 인기 영상이다.

우리나라 식품제조업체들은 현지화 전략을 통해 시장 진입에 나서고 있다. 동남아 제품처럼 소량이거나 현지 쌀국수와 유사한 맛의 라면과, 한인 식당 및 현지 제조업체를 중심으로 캄보디아인의 입맛을 고려한 단맛이 강하게 가미된 김치를 생산한다.
현지화로 시장 공략하는 한국 라면과 김치
현지 기호와 유사한 쇠고기나 해물육수 베이스로 맛을 내고 용량도 기존 한국 라면의 평균용량 120g~150g에서 태국·베트남 제품처럼 90g으로 줄였다. S사 B제품은 맛에 대한 문구만을 크메르어로 바꾸어 표기했으며, P사 M 제품은 크메르어로 한국 국수라는 뜻인 ‘미 꼬레’를 영문 표기했다.

주요 교통수단인 툭툭(Tuk Tuk)을 활용해 B2C 마케팅 중이며, SNS을 중심으로 현지 광고영상과 Spicy Noodle Challenge 영상이 빠르게 퍼지고 있다. 현지 한국 매운 라면 가게가 인기를 끌면서 라면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소비자 및 유통업자에 의하면, 특히 쇠고기나 해물 육수 제품을 선호하며 따로 토핑이나 소스를 첨가해서 먹는다. 캄보디아 사람들은 원래 음식에 매운 양념을 넣어 먹기 때문에 한식의 매운맛에 대한 거부감이 없다.
또한, 소비자는 태국, 베트남 라면과의 용량 차이에 비해 가격 차이가 크지 않아 한국 라면을 선호한다.
한국 김치 브랜드는 성분, 제조일, 유통기한을 영어나 한국어로 설명하며 100% 신선한 재료를 쓰고, 한국어 문구나 태극기나 태극문양을 넣어 제품의 신뢰도를 높였다는 것이 공통점이다. 현지인의 입맛을 고려한 제품으로 B사는 고수김치를, J사는 파파야 장아찌를, C사는 더 달고 덜 매운 볶음 김치를 개발했다.

현지에서 우리나라 라면은 다양한 맛과 타국 제품에 비해 용량 대비 가격 차이가 크지 않다는 장점으로 경쟁력을 가진다. 또한, 김치는 맛과 용량의 선택지가 넓고 현지 제조 김치에 비해 품질 우위를 가지고 시장을 개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