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개발 세미나]日 ‘정통 수타 소바’ 현지 기술 전수한다

 

일본의 소울푸드라 불리는 ‘소바’를 제대로 배울 수 있는 기술전수 세미나가 오는 20일(목)에 열린다. 

 

‘소바’ 는 여름철 단일 메뉴로는 물론 돈카츠와 궁합이 잘 맞아 국내에서도 대중화된 음식으로 수요층이 탄탄하다. 특히 소바는 면 요리 중에서도 원가가 낮아 확실한 레시피만 보유하면 매장 수익 창출에 1등 공신이 될 수 있다.

 

알지엠컨설팅의 기술전수창업 교육 프로그램인 ‘일본 정통 소바 비법 전수과정’은 ㈜알지엠컨설팅(대표 강태봉)과 일본의 수타 소바 명인과 공동기획한 메뉴개발·기술전수 교육 과정이다.

 

 

도쿄 아라이야쿠시 쇼센 근무, 수타 메밀전문점 ‘오비야’를 운영 중인 와카코·이정학 쉐프가 한·일 양국에서 수십년간 ‘소바’ 전문가로 일하며 쌓아온 노하우와 레시피를 전수한다. 

 

 

오는 8월 20일, 5시간 투자하면, 일본 정통 소바 레시피 전수받을 수 있어

 

두 명인의 지도에 따라 메밀가루 배합에 따른 수제면 반죽 레시피(쥬와리소바/니하치소바)등 가장 기본이 되는 수타기술부터, 소스제조, 냉·온소바/소바쯔유/텐프라(튀김)/소바마끼 등 수타 소바의 전 조리 과정을 체계적으로 교육, 바로 장사에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일본 정통식 소바 기술전수 교육과정은 오는 8월 20일(목), 1일간 진행되며, 교육의 완성도를 위해 100% 사전 예약제로 최대인원 10명으로 한정해 기술을 전수한다. 

 

교육비는 1일간 식사 비용을 포함해 65만원(부가세 별도)이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전화(02-3444-7339)를 통해 문의 가능하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피플인사이트] 전통 육포의 세계를 확장하다
전통에 질문을 던지면 새로운 전통이 탄생한다. 홍두깨살 외에 다른 부위로 만들면? 간장 외에 다른 장에 재우면? 오랜 지혜와 관습을 존중하면서 도전을 두려워하지 않아야 한다. 전통적으로 육포는 혼례, 환갑 등 잔칫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었다. 신라시대부터 폐백 음식에 포함됐다고 전해지며, 고려시대 문헌 「고려도경」에는 귀한 손님에게 대접하는 술상에 육포를 올렸다는 기록이 남아 있다. 최근 결혼 문화의 간소화로 폐백 문화가 없어지면서 육포도 점차 사라 지고 있다. 김지윤 정육포 대표가 폐백 · 이바지 음식 전문가 어머니의 육포를 지키기 위해 현대화를 꾀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정육포의 시작은 어머니 김정자 여사의 ‘손맛’이었다. 서촌에서 대대로 살아 온 집안에서 태어나 친정어머니의 서울식 음식을 먹고 자란 김정자 여사는 타 고난 손맛이 좋았다. 어머니의 음식을 떠올리며 남편의 손님을 위해 준비한 상차림은 이내 입소문을 탔고, 그중에는 친정어머니의 전통 방식으로 만든 육포도 있었다. 1990년대 초반, 대물림한 외가의 음식을 체계적으로 정리하 고자 조선왕조 궁중음식 기능 보유자였던 고 황혜성 선생의 궁중음식 강좌를 이수하던 중 지인들의 부탁으로 선물했던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