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트 코로나시대, '아시아 미식여행' 키워드는?!

아시아 대표 맥주 타이거, 포스트 코로나 아시아 미식 여행 관련 설문조사 결과 발표

아시아 대표 프리미엄 라거 ‘타이거 맥주’가 모바일 리서치 기관 오픈서베이를 통해 최근 3년 사이 아시아 여행을 다녀온 전국 20~39세 5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아시아 미식 여행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가장 가고 싶은 아시아 여행지는 ‘베트남’

먹고 싶은 아시아 현지 음식은 ‘크랩요리’

코로나 팬데믹으로 여름휴가철 해외여행이 사실상 불가능한 가운데 2030세대가 코로나19 종식 후 가장 떠나고 싶은 아시아 여행지는 베트남, 먹고 싶은 음식은 크랩요리, 이와 잘 어울리는 주류로 맥주를 꼽았다.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들은 코로나19가 종식되면 가장 떠나고 싶은 아시아 여행지로 베트남(16.6%)을 꼽았고 태국(16.2%), 일본(11.6%), 대만(11.2%), 싱가포르(11.0%)가 뒤를 이었고 가장 먹고 싶은 아시아 현지 음식으로는 크랩요리(19.7%), 쌀국수(11.2%), 팟타이(8.0%)를 꼽았다.

 

크랩요리는 칠리크랩과 블랙페퍼를 포함한 싱가포르 대표 요리로 이국적인 풍미를 자랑해 아시아 여행객들의 필수 식도락 코스로도 인기가 높다.

 

 

아시아 음식과 어울리는 주류는 10명중 7명이 ‘맥주’… 기름진 음식과 잘 어울려

`여행지에서 가장 기억에 남는 아시아 음식’에 대해서는 쌀국수(10.2%), 스시(9.8%), 크랩요리(9.2%), 라멘(8.8%), 분짜(7.8%)등이 상위를 차지했으며 전체 응답자 10명 중 7명은 이 음식들을 한국에 돌아와서도 찾아 먹어본 경험이 있다고 대답해 음식이 아시아 여행에서 중요한 요소이자 2030대가 여행의 여운을 즐기는 방법 중 하나로 나타났다.

 

아시아 음식과 페어링하면 가장 잘 어울리는 주류로는 과반 이상인 77.4%가 ‘맥주’를 꼽았으며 아시아 음식과 맥주가 궁합이 좋다고 생각하는 이유(복수 응답)로는 ‘기름진 음식과 잘 어울려서(60.5%)’, ‘동남아시아의 더운 날씨와 잘 어울려서(54.8%)’, ‘부담 없이 마실 수 있어서(42.9%)’라고 답했다.

 

타이거 맥주 브랜드 담당자 탁민혜 차장은 “맛과 향이 강하고 풍미가 풍부한 아시아 음식을 먹을 때 맥주는 특유의 청량함으로 음식과 최상의 궁합을 선사해준다”며 “설문 결과 아시안 라거인 타이거 맥주가 싱가포르 음식인 크랩요리나 사테 외에도 아시아 각국의 여러 음식들과 궁합이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이어 "해외여행이 어려운 요즘 소비자들이 지난 아시아 여행을 추억하며 국내에서도 타이거 맥주 및 다양한 아시아 음식과 함께 현지의 맛을 즐겨보길 바란다”고 전했다.

 

 

한편, 1932년 싱가포르에서 탄생한 타이거 맥주는 브랜드만의 ‘트로피컬 라거링’ 양조 기술을 통해 청량하면서도 묵직한 바디감으로 맥주 본연의 풍부한 맛을 유지하는 것이 특징으로 2018년 글로벌 데이터 기준 아시아 맥주 중 수출량 1위를 달성하며 아시아를 대표하는 맥주이자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다.

 

타이거 맥주는 병과 캔 제품 외에 집에서도 더욱 청량하고 신선한 맛의 타이거 생맥주를 즐길 수 있도록 최근 5리터의 대용량 케그 제품을 선보이는 등 브랜드 포트폴리오를 확대해 나가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롯데웰푸드, ‘백년’ 노하우 담은 간편식 개발 나선다!
롯데웰푸드(옛 롯데제과)가 중소벤처기업부(이하 중기부) 지원 하에 소상공인시장진흥공단(이하 소진공), 백년가게협동조합연합회와 진행하는 ‘2025 백년가게·백년소공인X롯데웰푸드 상생 프로젝트’ 참여 업체를 오는 23일까지 모집한다. 지난 3월 체결한 ‘백년소상공인 브랜드화 및 판로지원을 위한 상생협약’의 본격적인 출발을 알린 것이다. ‘2025 백년가게·백년소공인X롯데웰푸드 상생 프로젝트’는 백년가게·소공인의 오랜 경험과 노하우에 롯데웰푸드의 식품 제조 기술력을 접목시켜, 공동 브랜드 및 상품 개발을 진행하는 프로젝트다. 롯데웰푸드는 올해 처음으로 시작되는 프로젝트인 만큼 백년소상공인의 브랜드 경쟁력 강화 및 지속가능한 성장 지원을 위해 모든 역량을 집중할 계획이다. 모집 대상은 백년가게(음식점업을 하는 업력 30년 이상의 우수 소상인), 백년소공인(식품 제조업에서 15년 이상 업력을 가진 숙련된 소공인)이다. ▲가정간편식(HMR), 즉석섭취식품, 밀키트 등 공동 제품 개발을 위한 레시피 제공, ▲원재료 등의 안정적인 수급을 위한 식자재 납품 제안 등 롯데웰푸드의 사업 영역에서 시너지를 낼 수 있는 업체라면 모두 지원 가능하다. 참여 신청을 위한 자세한 정보는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농심 신라면 툼바, 일본 초도물량 100만 개 완판 화제
농심이 일본 시장에 선보인 ‘신라면 툼바’가 출시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초도물량 약 100만 개를 2주 만에 모두 완판되는 등 현지 반응이 뜨겁다. 이에 농심은 추가 물량 공급 등을 준비 중이다. 농심은 지난 4월 일본 CVS 1위 유통업체 ‘세븐일레븐’에 신라면 툼바 용기면을 출시했다.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던 신라면 툼바는,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에 따르면 신라면 툼바는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고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은 추가 공급과 물량 확대를 위해 일본 세븐일레븐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농심 관계자는 “신라면 툼바는 일본 라면 시장에서 드문 차별화된 맛과 전자레인지 조리로 구현한 파스타 스타일의 면과 소스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 “진한 크림 풍미에 매운맛이 어우러져 매력적이다” “색다른 전자레인지 조리법과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드는 스탠다드한 조리법 모두 가능한 것이 재미있다” “부드럽고 매운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