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일본 Z세대(17~24세)에서 뜨거운 인기를 끌고 있는 티백 제품이 있다. 주인공은 닛토홍차(日東紅茶)가 개발한 ‘우유가 녹아내는 티백' 시리즈. Kati 농식품수출정보에 따르면 작년 8월 발매된 후 트위터를 포함한 SNS에 꾸준히 인증샷이 올라오며 소위 말하는 핫한 제품에 등극했다. ‘우유가 녹아내는 티백' 시리즈는 찻잎과 크림 파우더가 들어간 티백을 뜨거운 물에 담그면 우유가 녹아 90초 만에 밀크티가 완성되는 상품이다. 주목할 점은 SNS 분석을 보면 해당 제품을 가장 지지하고 있는 것은 Z세대라는 것이다. 일반티백 홍차는 40~50대의 여성이 메인이었지만 해당 상품은 젊은 세대를 중심으로 인기를 끌고 있다. 2019년 회사 연구소 내에서 "홍차 티백에 분말 타입의 로얄밀크티를 섞으면 더욱 맛있다"는 의견을 시작으로 본격적으로 제품화를 검토했다. 과거 자료에 의하면 티백 홍차의 구매자 중 약 60%는 스트레이트(무당)이고, 나머지 약 40%는 설탕 등을 추가한다. 후자 중 밀크티 선호도가 약 50%, 밀크티에 당분 첨가와 당분 무첨가의 비율은 1:1이었다. 통계를 근거로 밀크티를 가정에서 간단히 만들고 싶은 수요가 존재한다고 판단해 무당(無糖)밀크
편의점은 젊은 층의 이용 비율이 높아 신제품 출시 전 식품외식기업의 테스트베드 역할을 해오고 있다. 일본 편의점 프랜차이즈 브랜드 ’로손‘이 7개 회사와 협업해 만든 테스트 제품을 선보였다. 10월 25일~11월 7일까지 투표를 거쳐 1~3위에 선정된 상품은 내년 정식 제품으로 출시된다. 이번에 공개한 신제품 테마는 ’있을 것 같지만 아직 없는 상품‘으로 소비자의 흥미를 유발시켰다. 이번에 테스트 제품 중 가장 SNS상 관심을 끈 상품은 칸로의 ’맛이 나지 않는 사탕(味のしない?飴)‘이었다. 단맛 때문에 사탕을 먹지 않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제품으로 무미(無味)를 추구한다. SNS상에 ”먹어봤는데 정말 아무맛이 안 난다“ 등 실구매 후기가 올라오며 젊은 세대의 궁금증을 불러일으켰다. 재밌는 컨셉과 별도로 건강 관리를 위한 저당 소비 트렌드도 상품 인기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로손 담당자는 “코로나19로 마스크 착용 시간이 길어지며 민트 등 향이 남는 사탕에 부담감을 느끼는 고객이 늘었다. 마스크를 쓰고도 먹기 부담 없는 사탕을 구상한 끝에 아무런 향도 맛도 나지 않는 제품이 탄생했다”고 전했다. 발매 다음날 바로 매진 되는 매장이 있을 정도로 인기를
코로나19 장기화로 해외 비즈니스 연수가 중단되고, 한국과 일본 외식기업들의 다양한 활동이 줄어든 가운데, 3년만의 갈증을 해소할 일본 외식전문 연수 프로그램이 진행된다. 식품·외식 기업인들을 위한 맞춤형 외식연수인 '제87차 일본 동경 외식산업 연수'가 그 주인공으로, 오는 12월 6(화)부터 9일(금)까지 4일간 일본 도쿄에서 진행된다. 87회차에 이르는 일본 외식연수는 전문가의 해외 네트워크를 활용해 단기간에 깊은 통찰을 얻을 수 있는 해외 연수 프로그램이다. 코로나 이후 어려워진 외식환경과 격변하는 시장 속에서 새로운 성장동력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각광받고 있다. 글로벌 시장에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굴하고, 자신의 사업이 가진 시장성을 다른 관점에서 점검할 수 있는 기회이기 때문이다. 이번 동경 외식연수로 일본 외식산업의 정수를 전하다 알지엠컨설팅의 ‘일본외식산업연수’ 프로그램의 경우 33년간 한·일 외식산업 발전의 교두보 역할을 해오며 쌓아온 인프라, 특히 일본 현지 기업의 방문 섭외력이 높게 평가받고 있다. 대외적으로 현장을 공개하지 않는 일본 외식기업을 방문, 벤치마킹할 수 있다는 점에서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우리보다 앞서 최악의 고용환경과
라면, 국수 등 면요리는 밥보다 조리가 쉽고 빠른 대표적인 간편식 중 하나다. 일본에서는 코로나 기간 재택근무가 늘며 우동과 같은 면요리로 식사를 해결하는 직장인들이 많았다. 여기에 그치지 않고 아기 이유식으로 우동을 찾는 수요도 늘었다. 레시피 정보 사이트를 운영하는 쿡패드사가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우동과 함께 검색되는 키워드 랭킹 2위에 이유식이 자리했다. 우동은 조리가 쉽고 식감이 부드러워 밥보다 아이들이 먹기 편해 이유식으로도 사용빈도가 높다. 실제로 이유식용 우동 상품을 출시하는 식품회사들도 만들기 편안하다는 점을 주요 소구포인트로 잡았다. 와코도(和光堂)는 생후 5개월용 아기 소면(ベビーのそうめん) 이유식, 7개월용 아기 우동(ベビーのうどん) 3종류를 출시했다. 번거로운 준비과정 없이 매일 간단하게 이유식을 만들 수 있다는 점을 내세워 맞벌이를 하는 젊은 부부를 주타겟으로 한다. 냄비로 조리할 시 4~6분이면 완성할 수 있다. 숟가락으로 뜨기 쉽도록 면 길이를 짧게 하고, 소금을 첨가하지 않았다. 글리코 역시 1세 이상부터 섭취가 가능한 야채조림 우동(野菜煮込みうどん) 등 우동면을 사용한 이유식을 출시했다. 착색료, 보존료, 항료 등 화학조미료를
2020년부터 본격적으로 일어난 일본의 피스타치오 열풍이 식을 줄 모르고 있다. 일본 재무성 무역통계에 따르면, 2021년 껍데기가 없는 피스타치오 수입량은 1,062톤으로 전년 대비 2배 이상 상승했다. 주로 가공용으로 사용되며 디저트용 수요가 높다. 한국농수산수출정보에 의하면 피스타치오는 ‘견과류의 여왕’으로 불릴 정도로 영양가가 높고 비타민·미네랄과 양질의 지방이 함유돼 있다. 특히 장내 환경 개선, 피부, 모발의 건조함을 막는 효과가 있어 여성에게 인기다. 지난 몇 년간 피스타치오를 활용한 디저트 전문점도 그 수를 꾸준히 늘려 왔다. 도쿄역에 위치한 피스타앤도쿄(PISTA & TOKYO)는 피스타치오로 만든 샌드쿠키, 초콜릿, 케이트 등 다양한 디저트를 판매한다. 피스타치오를 반죽한 버터 크림을 쿠키로 끼워 주위를 둘러싸듯 피스타치오를 묻혀 구운 샌드 쿠키는 도쿄 기프트팔레트점에서 한정 판매하는 상품으로 진열과 동시에 완판되는 대표 인기 상품이다. 작년 12월 가나가와현 오다와라시에는 엄선한 이탈리아 시칠리아산 피스타치오만을 사용하는 전문점 피시타시칠리아(pistacchieria)가 오픈했다. 지중해 햇살의 영향을 받은 시칠리아산 피스타치오는
지역 고유의 특산물을 활용한 메뉴개발 사례가 늘고 있다.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한다는 공적 역할은 물론 새로운 식문화 경험을 원하는 젊은 세대에게 지역 특산물이 들어간 메뉴는 그 자체로 신선함과 즐거움을 주는 효과가 있다. 일본에서는 현지 농산물 소비를 늘리기 위해 기업 차원에서 꾸준히 여러 상품을 개발해 시장에 선보이고 있다. 편의점 체인을 운영하는 주식회사 로손은 발매 3개월 만에 누적 판매 1,000만 개를 기록한 히트상품 ‘생커스터드 슈크림’에 전국 8곳의 특산물을 결합한 상품을 지난 9월 선보였다. 북해도산 팥을 넣은 앙버터 생커스터드 슈크림, 동북지역 쌀가루로 만든 쫄깃한 식감의 슈크림, 토치기현산 딸기를 사용한 슈크림, 시즈오카현산 크라운 멜론 슈크림 등 총 8가지다. 당초 해당 상품들은 각 지역 내 점포에서만 판매했으나 소비자가 문의가 잇달아 전국 판매를 결정했다. 또한, 스타벅스 커피 재팬 주식회사는 작년에 화제가 됐던 47개 지모토(JIMOTO) 프라푸치노 중 호평을 받은 3개 지역의 프라푸치노를 기간 한정으로 재출시했다. 올해 재출시된 프라푸치노는 이시카와현(石川県)의 호지차를 사용한 프라푸치노, 야마나시현(山梨県)의 포도 화이트 초콜릿
젊은 세대에서 식물성 단백질을 찾는 수요가 올라가며 일본에서는 코로나 기간동안 두부가 인기를 끌었다. 작년 11월 도쿄 에비스역 근처에 두부전문점 ‘두부식당(豆富食堂)’이 새롭게 문을 열었다. 이곳은 단순 음식점이 아닌 두부 제조설비를 병설한 공방을 함께 운영한다. 매일 아침 미아갸현산 대두인 미야기시로메(ミヤギシロメ)를 사용해 만든 두부는 일반적인 두부보다 더 농후한 맛을 자랑한다. 공방에서 만들어진 두부를 활용해 아시아 각국의 식문화에서 영감을 얻는 두부요리를 선보인다. 건강함과 이색적인 경험을 동시에 선사하는 매력으로 손님을 불러 모았다. 가게 입구에서는 두유와 두부 등을 테이크아웃 상품으로도 판매한다. 두부식당을 기획한 건 야키토리 음식점 ‘토리구치’ 이탈리안 레스토랑 ‘LOVAT’ 등 8개 브랜드를 운영하는 외식기업 ‘JO’이다. JO의 오야마 대표는 “코로나로 강제로 영업을 쉬게 된 기간 음식점과 제조업을 관련시키는 업태를 구상했다. 그러다 두부에 관심을 갖게 됐고 직원들을 노포 두부점에 보내 훈련 시키며 두부식당을 준비해왔다”고 전했다. 전통 제법에 무게를 두면서 소포제 무첨가의 두부를 제조할 수 있는 최신 설비를 도입해 맛뿐만 아니라 고객이 원
외식업계의 인력난이 갈수록 심화되며 조리, 서빙로봇의 도입이 빨라지고 있다. 지난 8월 일본 도쿄 에비스역에 향신료 국수 전문점 ‘매직 누들 향미면방(Magic Noodle 香味麺房)’은 주방 시설 자동화를 이뤄 인력 문제에 대처했다. 자동 조리 로봇을 개발하는 ‘테크매직(TechMagic)’이 운영을 맡았다. 면 삶기, 볶기 등 일련의 조리 과정을 동사가 개발한 자동 요리 로봇 ‘P-Robo’가 담당한다. 15평 규모 매장으로 카운터 안쪽 유리창 너머로 조리 로봇이 분주히 움직이며 면요리를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있다. 테크매직 측 관계자는 “2018년에 창업해 조리의 자동화를 테마로 로봇 개발을 진행해 왔다. 음식점에 실제 어떤 점이 필요한지 파악하고 사업을 확장시키기 위해 이번 면 전문 매장 출점을 결정했다”고 밝혔다. ‘소바가 세계를 여행하면’을 컨셉으로 다양한 향신료를 첨가한 면 요리를 선보인다. 메밀가루, 세몰리나(밀가루의 일종)을 배합한 독자적인 면을 사용하며, 세계 각국에서 수집한 향신료를 더해 완성한다. 대표 메뉴로는 ‘마늘&차슈 국수’, ‘마늘&산초 마라국수’, ‘돼지고기&코코넛 밀크국수’ 등으로 강한 향신료를 내세운 것
반려동물을 키우는 가구가 증가하며 펫푸드 시장도 호조를 보이고 있다. 일본의 반려동물 시장은 연간 매년 성장하고 있으며,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2년도 반려동물 관련 시장 규모는 약 1.7조 엔(한화 약 16조 5천억원)에 육박할 전망이다. 반려동물이 가족의 개념으로 포함되며 펫푸드 역시 먹이, 사료가 아닌 식사로서 접근하는 추세다. 이미 미국, 유럽을 중심으로는 고선도·고품질·안전안심을 강조한 냉동타입의 반려동물 식품이 급성장 해왔다. 최근 일본에서도 냉동 펫푸드가 출시되며 시장이 확대될 조짐을 보이고 있다. 가공식품 및 수산물을 취급하는 일본수산주식회사는 지난 8월 1일부터 소형견용 냉동 반려동물 식품인 ‘ 포우삼 델리(PAWSOME DELI)’ 공개해 선행 판매에 나섰다. 소형견 주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자체 조사한 결과를 토대로 기존 제품에 대해 느끼는 불편 사항을 정리해 해소하는 방향으로 상품을 기획했다. 일본수산은 고품질 안전안심 펫푸드라는 점을 강조하고자 사람이 먹는 식품과 같은 원재료를 사용해 동등한 품질 기준에 따라 식품 공장에서 생산하고 ‘사람 등급(Human Grade)’이라 표기하고 있다. 특징으로는 ▲반려동물 식품 개발 경험이 풍부
일본 도쿄·간다역에서 걸어서 8분 거리에는 고풍스런 분위기의 이자카야 ‘미마스야(みますや)’가 있다. 이곳은 1905년 문을 열어 창업한 지 약 120년이 된 도쿄에서 가장 오랜 역사를 지닌 이자카야다. 창업 당시 건물은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소실되어 그 뒤로 5년 후 다시 지은 건물에서 현재까지 영업 중이다. 근대 일본가옥의 모습을 간직한 이곳에서 술 한잔을 기울이려면 월요일 저녁에도 줄 서는 것을 감수해야 할 정도로 찾는 이들이 많다. 이곳을 상징하는 메뉴는 미꾸라지를 손질하지 않고 통째로 끓여낸 ‘도제마루니’다. 에도시대의 조리법을 사용한 도쿄의 전통 향토 요리로 머리부터 꼬리까지 통 미꾸라지탕을 접시 한 가득 담아준다. 달콤한 맛이 미꾸라지 안까지 깊게 스며들어 있어 흙냄새가 전혀 나지 않고, 진한 식감 속에 씹히는 작은 뼈의 식감이 이색적이다. 여기에 데운 술을 마리아주해서 먹으면 훌륭한 술자리를 즐길 수 있다. 여기에 소고기 육회를 회처럼 얇게 썰어서 주는 ‘사쿠라 사시미 아카미’는 이곳의 또 하나의 명물이다. 종이처럼 얇은 소고기를 마늘과 함께 입에 넣고 씹으면 고기의 단맛과 마늘향이 기분좋게 느껴진다. 창업 이후 줄곧 미마스야의 메뉴 자리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