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사업 리포트]러시아 모스크바서 로봇 직원이 일하는 카페 화제

모스크바 북서부에 위치한 쇼핑몰에서 지난 5월에 오픈한 커피숍 ‘MONTY CAFE’가 운영 중이다. 원형 구조의 통안에 있는 로봇 직원 혼자서 손님을 응대하는 모습이 이목을 끈다.

 

 

지치지 않는 만능 로봇 직원

앞에 있는 터치패널로 주문하면 로봇 직원이 몸통보다 굵은 팔을 천천히 움직여 컵을 들고 등 뒤에 있는 커피머신에서 나오는 커피나 카푸치노를 받는다. 커피 외에도 주문하는 메뉴라면 모두 수행이 가능하다.

 

‘MONTY CAFE’는 파베르 지다노프 대표(36세)가 개발해 프랜차이즈 체인(FC) 방식으로 카페 시장에 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스크바에서 3곳에 설치했고, 추가로 5곳에서도 오픈할 예정이다.

 

 

‘MONTY CAFE’ 1호점에서 판매하는 커피는 1잔에 60루블(약 1,000원)으로 부담없이 즐길 수 있는 가격이다. 로봇 바리스타가 인스타그램 등에서 화제를 모아 하루에 약 150잔을 판매하고 있다.

 

손님이 다가오면 파란 눈을 깜박거리며 “주문은 무엇으로 하시겠습니까?”하고 묻는다. 손님이 없을 때도 양손을 흔들면서 춤을 선보이는 등 쇼핑몰 이용객들에게 즐거움을 선사한다.

 

파베르 지다노프 대표는 “외관을 귀엽게 만드는 것이 제일 어려웠다. 커피를 서빙하는 로봇은 미국에도 있지만, 손님들이 친숙하게 느끼는 매력적인 겉모습을 만드는데 시간이 걸렸다”고 전했다.

 

 

로봇 직원은 평균 1시간당 커피 80잔까지 제공이 가능하다. ‘MONTY CAFE’ 측은 공항과 역 등 사람의 왕래가 많은 곳에 설치하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있다. 로봇 한대 당 가격은 100만~150만루블(약 1,800만원~2,800만원)이다.

 

현재 8대가 러시아내의 대형 이벤트 등을 순회하고 있다. 미국 샌프란시스코나 두바이에서도 이용하고 있으며, 스페인과 중국 등에서도 문의가 들어오고 있다. 전용 앱과 연동이 가능하며 라떼 아트에 얼굴 사진을 넣는 기능도 도입할 예정이다.

 

 

자다노프 대표는 러시아 중서부에 있는 보로네시주에서 생맥주를 파는 로봇도 선보일 예정이다. 감자튀김을 튀겨주는 조리 로봇도 함께 개발 중이다. 외식업에서 로봇이 사람을 대처할 날이 머지 않았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GS25-정다현 작가-소상공인, 3자 협업으로 전국 김밥 맛집 IP 상품 선보인다
GS리테일이 운영하는 편의점 GS25가 김밥 큐레이터 정다현 작가 및 전국 김밥 맛집들과 손잡고 ‘전국 김밥 일주’ 상품을 시리즈로 선보인다. ‘전국 김밥 일주’는 전국 700여 김밥 맛집을 직접 다녀온 정다현 작가가 추천한 메뉴를 GS25가 상품화하는 프로젝트다. 첫 번째 상품은 오는 4월 23일(수)부터 출시되는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이다. ‘롤앤롤 김밥’은 서울 마포구에 위치한 김밥 맛집으로 정다현 작가가 본인 저서 ‘전국김밥일주 2권’에서 소개한 곳이다. 이번에 출시하는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은 이곳 대표 메뉴인 ‘서강김밥’을 구현한 상품으로 매콤짭짤한 풍미가 일품인 잡채를 듬뿍 담고 어묵볶음, 시금치 베이컨 무침, 당근채, 단무지, 계란구이 등을 속 재료로 넣어 식감을 살린 것이 특징이다. 정다현 작가는 첫 상품으로 ‘롤앤롤 매운 잡채 김밥’을 제안한 이유에 대해 “김밥에 잡채가 어울린다는 점이 독특하고 신기해서 많은 분들께 소개하고 싶었다”고 설명했다. ‘전국 김밥 일주’ 시리즈는 GS25가 생산과 판매를 맡고, 정다현 작가가 맛집 메뉴를 제안하며, 해당 김밥을 판매하는 맛집 사장이 출시될 상품의 맛과 품질을 평가하는 3자 협업으로 완성됐다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광명시,‘업사이클 푸드’교육으로 저탄소 식문화 확산
광명시 업사이클아트센터가 오는 30일까지 기후위기 대응과 저탄소 식문화 확산을 위한 ‘업사이클 푸드’ 교육 프로그램을 참여자를 모집한다. ‘업사이클 푸드’는 식품 부산물이나 못난이 채소·과일을 활용해 만든 친환경 음식으로, 탄소 배출을 줄이고 식량 자원을 절약하는 지속가능한 미래 먹거리로 주목받고 있다. 이번 교육은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공유주방에서 5월 한 달간 매주 금요일 진행한다. 참가자는 쌀누룩, 못난이 멸치, 집에서 사용하지 않는 된장 등을 활용한 조미료를 직접 만들며, 이를 일상 요리에 접목하는 방법도 배운다. 교육 대상은 저탄소 식문화와 기후 미식에 관심 있는 만 19세 이상 시민 20명으로, 광명업사이클아트센터 누리집(upcycle.gm.go.kr)에서 신청하면 된다. 김봉섭 자원순환과장은 “이번 교육이 지속가능한 식생활 실천의 출발점이 되길 바란다”며 “시민들이 일상에서 업사이클 푸드를 쉽고 즐겁게 접할 수 있도록 다양한 프로그램을 마련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한편, 광명시는 이번 프로그램을 시작으로 ‘업사이클 푸드’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또 아트센터 공유주방은 공간 대관, 공모전, 협업 프로젝트 등 기업과 시민이 함께 업사이클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