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장 리포트]한·일 청년이 뭉쳐 만든 선술집을 가다

일본 도쿄 니혼바시 무로마치에 한국과 일본의 청년들이 힘을 모아 만든 선술집 ‘밀크바’가 지난 8월 문을 열었다.

 

 

가게 이름인 ‘밀크바’(Milk bar)는 호주 등 영국권 나라의 골목에서 흔히들 볼수 있는 카페, 스낵 바를 뜻하는 말로, 청년들은 오픈 초기부터 가게 컨셉과 이름을 '밀크바'로 정했다. 

 

호주에 매장을 내겠다는 포부를 가진 세 청년은 아침부터 영업 준비를 위해 분주히 움직인다.

 

 

호주로 워킹홀리데이 갔다 외식업 창업 꿈꿔

밀크바는 이치무라 카즈히토 CEO를 중심으로 이치무라 카즈키, 조대연 2명의 COO 총 3명이 운영을 맡았다. ‘무로혼에리어’에 있는 좁은 골목 끝에 위치했으며 초롱과 새끼줄이 걸려있는 모습이 술집의 정서가 물씬 난다.

 

카즈히토 대표가 음식점 개업을 꿈꾸기 시작한 것은 지금부터 6년 전인 30살 때 호주로 워킹홀리데이로 떠났을 때이다.

 

“멜버른에서 중국인이 경영하는 일식당이 있었는데, 그곳이 굉장히 붐비는 것을 보고 도전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들었다. 해외에서 많이 볼 수 있는 어설픈 일식이 아닌 일본에서 제대로 일식을 배워서 언젠가는 호주에서 실력을 펼쳐봐야겠다고 결심했다.”

 

 

음악 활동을 해오던 터라 카즈히토 대표는 외식업에 대한 지식이 전무한 상태였다.

귀국 후 고향인 오사카에서 본격적으로 외식업 공부를 시작했다. 우선 친척이 운영하는 프랜차이즈 닭고기 구이집 ‘킷쵸’에 취직했다. ‘킷쵸’는 단가 2000엔 정도의 캐쥬얼한 컨셉의 브랜드이다.

 

다른 곳에서도 근무경험을 쌓아보고 싶어 오사카 키타신치에 있는 ‘야키토리YAMATO’(단가 8000엔 정도)에서 1년 정도 일했다. 그리고 쌍둥이 동생과 한국인 친구를 설득해 개업을 준비했다.

 

“최종 목표는 호주에 가게를 내는 것이지만, 우선은 일본에서 기반을 다지고 싶었다. 익숙한 오사카가 아닌 시장이 큰 도쿄에서 가게를 내기로 검토했다. 가게 이미지로 그린 모습은 샐러리맨이 퇴근길에 ‘가볍게 1잔만’이라는 생각으로 주 3~4회 부담 없이 들릴 수 있는 가게였다.”

 

 

컨셉과 타겟층에 맞는 신바시, 칸다, 아카사카 등 사무실이 많은 곳에서 가게를 찾아봤고, 결정한 곳이 미츠코시 백화점 앞이었다. 무로혼에리어의 좁은 골목 끝에 있는 2층 건물에 위치했다.

 

동생인 카즈키 COO는 선술집 등의 음식업 경험이 길기 때문에 메뉴 만들기를 담당하고, 한국인 조대연 COO는 영업을 맡아 경영계획서를 작성하며 오픈을 준비했다. 선술집이지만 오피스상권에 위치한 만큼 점심도 먹으러 올 수 있는 선술집에 초점을 맞췄다.

 

합리적인 메뉴를 준비해 매일 오고 싶은 가게

‘밀크바’의 주메뉴는 닭고기구이, 오뎅, 일품요리이다. 닭고기구이는 당일 아침에 받은 다이센도리(닭의 종류)를 가지고 요리한 ‘허벅다리 숯불구이’, ‘가슴살 숯불구이’(각 480엔)부터 간, 목살(각 2개 240엔) 등이 있다. 혼자 오는 손님의 경우 1개씩도 주문이 가능하다.

 

오뎅은 무, 한펜(일본 어묵 종류 중 하나)이 함께 나오며 회, 튀김, 식사메뉴까지 충실하게 준비되어 있다. 모든 메뉴가 300~500엔 정도로 부담 가지 않는 합리적인 가격으로 설정했다.

 

 

음료도 가볍게 즐길 수 있는 라인업으로 갖췄다. JIM BEAM HIGH BALL(320엔), 카미아와 THE PREMIUM MALT’S(298엔), 수제 레몬 사워(sour)(320엔) 등 저렴하게 제공하고 있다. 정종은 항상 10가지 정도를 준비해놓고 가격대는 380~780엔이다. 한국 출신의 조대연 COO와 의논해 막걸리 칵테일인 ‘벌꿀 유자’, ‘칼피스’(각 380엔)도 준비했다.

 

편한 분위기에 여성 고객이 더 찾아

‘밀크바’는 오픈하고 나서 약 2개월이 지나며 입소문을 타고 방문 손님 수가 순조롭게 늘고 있다. 처음 기획을 할 때는 남성 샐러리맨을 메인 타겟으로 했으나 상상 이상으로 여성 고객이 더 많이 찾았다.

 

“원래는 고객이 오면 1시간 정도 머물면서 1500엔 정도를 쓸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었다. 실제로는 손님들이 편안한 가게 분위기에 만족스러워하며 머무르는 시간이 2~3시간으로 늘어났다. 자연스레 객단가가 2000엔 이상으로 올라가며 매출이 늘었다.”

 

 

카즈히토 대표는 앞으로 1년 이내에 가까운 곳에 이미 다른 점포의 운영을 검토 중이다.

그 후에도 1년에 1점포씩 매장을 늘려나갈 생각이다. 끝으로 그는 “고향인 오사카에 가게를 내거나 한국에서도 닭고기 구이집을 내는 것을 구상 중이다. 회사를 안정시키고 큰 위험부담을 떨쳐낼 수 있을 정도로 기반을 닦은 후에 언젠가는 목표이자 꿈인 호주에 가게를 내는 것을 도전하고 싶다.”고 의지를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이런맛남] 멤피스 인 메이 공식주 고래소주와 홍성 솥뚜껑 삼겹살 콜라보 '눈길'
홍성군에 따르면 미국의 3대 축제 중 하나인 멤피스 인 메이(Memphis in May)의 2025년 명예국가로 대한민국이 선정된 가운데 대한민국 샐러리맨의 최애 회식메뉴 삼겹살에 소주가 미국 멤피스에서 인기몰이를 하고있다. K-BBQ의 성지 홍성군에서 야심 차게 준비한 솥뚜껑 삽겹살 시식존 옆에는 공교롭게도 제주에서 생산된 고래소주 부스가 있어 대한민국 삽겹살에 소주라는 공식을 외국인들이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며 상호 시너지 효과를 발휘해 미국인들의 입맛을 사로잡고 있다. 버지니아주에서 고래소주 미국 총판을 맡고 있는 이동훈 대표는 멤피스 인 메이에서 홍성군과의 콜라보가 너무 좋았고 소중한 인연이 된것 같다면서 미국에서 대한민국이 2025년 명예국가라는 이름에 걸맞는 코리아 바비큐를 선보인 홍성군에 감사를 표했다. 특히, 대한민국 국민이 가장 좋아하는 대표 음식인 삼겹살과 대한민국 최고의 생수인 삼다수와 같은 물로 만들어낸 고래소주가 글로벌 시장에서 함께 사랑받는 시간이었다면서 홍성글로벌바비큐페스티벌과 고래소주의 동반성장을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멤피스 정원탁 한인회장은 홍성에서 준비한 솥뚜껑 삽겹살과 고래소주의 하모니가 뛰어나다면서 코리아 포크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농심 신라면 툼바, 일본 초도물량 100만 개 완판 화제
농심이 일본 시장에 선보인 ‘신라면 툼바’가 출시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초도물량 약 100만 개를 2주 만에 모두 완판되는 등 현지 반응이 뜨겁다. 이에 농심은 추가 물량 공급 등을 준비 중이다. 농심은 지난 4월 일본 CVS 1위 유통업체 ‘세븐일레븐’에 신라면 툼바 용기면을 출시했다.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던 신라면 툼바는,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에 따르면 신라면 툼바는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고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은 추가 공급과 물량 확대를 위해 일본 세븐일레븐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농심 관계자는 “신라면 툼바는 일본 라면 시장에서 드문 차별화된 맛과 전자레인지 조리로 구현한 파스타 스타일의 면과 소스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 “진한 크림 풍미에 매운맛이 어우러져 매력적이다” “색다른 전자레인지 조리법과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드는 스탠다드한 조리법 모두 가능한 것이 재미있다” “부드럽고 매운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