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 일본, 저출산 현상에도 코로나 이후 뜨는 액상분유 시장

대표적인 저출산 국가인 일본의 영유아 시장이 코로나19 확산으로 육아 환경이 바꾸며 전환점을 맞았다. 외출을 자제하며 부모들의 재택 시간 증가는 액상분유나 베이비푸드 등 구매에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일본의 출생아 수는 1973년 209만 명을 기점으로 지속적으로 감소해왔다. 후생노동성에 따르면 2019년 일본 출생아 수는 86만 명으로 최저치를 기록했다. 이는 출생아 수 조사를 시작한 1899년 이래 가장 낮은 수치다.

 

 

또한, 여성이 가임기간에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 출산율도 4년 연속 감소세를 보였다. 2019년 합계 출산율은 1.36%으로 전년도 1.42 % 대비 0.06 포인트 하락, 일본 내 출생아 수 감소는 점점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코로나 영향으로 분유 소비·수출 모두 증가

2019년만 해도 일본 조제분유 생산량은 출생아 수 감소의 영향으로 전년대비 1.6% 줄은 2만 7,337톤이었다. 하지만 작년에는 코로나19로 일본 및 해외 수요가 증가하며 1~8월은 전년과 비교해 생산량이 10% 늘었다. 2019년 조제분유 수출량도 28.3% 증가한 7,389톤으로 8년 연속 증가 추세를 보였다.

 

또한, 일본 내 분유 소비는 2020년 들어 회복세에 들어섰다. 1~8월 일본 국내 소비용 조제분유 생산량은 1만 2,943톤으로 전년을 웃돌았고, 유아 1인당 소비량도 22.2㎏으로 일정 수준의 소비가 꾸준히 이뤄졌다.

 

이는 코로나19 유행초기 생필품 품귀현상이 조제분유 소비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일본은 자연재해 등 재난 상황이 발생하면 생필품 소비가 오르는 패턴을 반복했다. 2018년 7월 서일본 호우, 9월 홋카이도 지진 당시 조제분유 수요가 증가했다.

 

일본 정부의 긴급사태선언이 있던 작년 4~5월에도 쇼핑 등 외출 횟수를 줄이려는 조제분유 사재기 현상이 다시 벌어졌다. 구매 경로도 드럭스토어, 소규모 판매점보다 온라인 쇼핑을 활용하는 경우가 늘어나며 비대면 전환이 가속화됐다.

 

활용성 바탕으로 시장 점유율 높여가는 액상분유

분말 분유에 비해 액상분유를 찾는 부모들이 점점 늘고 있다. 액상 분유는 일정한 농도로 조유돼 판매하기 때문에 이용이 편리하고 균일한 영양공급을 할 수 있다는 장점이 높다. 일본에서는 판매를 시작한지 3년째에 접어들었으며 시장점유율은 5% 수준이다.

 

 

상온에서 장기 보관이 가능해 재해 대비 비축용이나 외출용 등 활용성이 높기 때문에 앞으로 계속 수요가 증가할 전망이다. 또한, 액상분유는 여성의 육아 부담 경감, 남성의 육아 참여 확대 등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한다.

 

일본에서는 1951년에 제정된 식품위생법에 따라 유아용 식품 규격이 ‘분유’로만 됐으나 2018년 8월 후생노동성이 ‘우유 및 유제품의 성분규격 등에 관한 후생성령’을 개정하며 액상분유 생산, 판매가 허용됐다.

 

일본에 출시된 액상분유로는 에자키 글리코-아이크레오 아기밀크, 메이지-호호에미 라쿠라쿠밀크, 유키지루시 빈스토크-액체밀크 스코야키 등이 있다.

 

 

아이크레오 아기밀크는 2019년 3월 출시되자마자 아마존에서 분유 베스트셀러 랭킹 1위에 올르며 액상분유에 대한 소비자의 높은 관심을 실감케 했다. 호호에미 라쿠라쿠밀크는 캔 타입의 액상분유 제품이다. 고온 살균 처리를 했으며 유통기한이 1년으로 장기간 비축이 가능하다.

 

 

해외기업의 액상분유 브랜드도 대거 일본 시장에 들어와 있다. 핀란드 최대유제품 기업 발리오(Valio), 미국기업 시밀락(Similac), 독일의 압타밀(Aptamil) 등 일본 시장에 진출한 상황이다.

 

특히 발리오의 경우 2016년 구마모토 지진당시 지원물자로 액상분유를 제공한 기업이다. 이를 계기로 액상분유의 사회적 필요성에 일본 낙농기업이 주목하며 본격적인 생산 착수에 들어갔다.

 

출생아 수의 지속적인 감소로 영유아 식품 시장의 전체 성장 속도는 더디나 젊은 부모세대를 중심으로 액상분유처럼 편의성을 강조한 제품은 성장 전망이 밝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식품오늘] 하림, 맛과 영양 다 잡은 고단백 식단 솔루션 인기
종합 식품 기업 하림이 본격적인 여름철 다이어트 시즌을 맞아 고단백은 기본, 맛까지 고려한 다양한 제품군으로 폭넓은 소비층의 호응을 얻고 있다. 하림은 다이어트를 하더라도 먹고 싶은 것을 무조건 참기보다는 맛있게 먹으며 관리하고자 하는 소비자 니즈에 주목해 한 끼 식사 재료부터 반찬, 디저트까지 다양한 카테고리로 고단백 제품군을 확대했다. 또한 조리 편의성, 맛, 영양 균형을 두루 고려한 제품 설계를 통해 완성도 높은 라인업을 갖추며 소비자들로부터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죄책감 필요 없는 달콤한 고단백 디저트, ‘오!늘단백 초코바’ 단백질바 특유의 텁텁함이나 인공적인 단맛에 실망했던 소비자들 사이에서도 하림 ‘오!늘단백 초코바’는 완성도 높은 맛과 영양 설계로 긍정적인 평가를 얻고 있다. 하림 ‘오!늘단백 초코바’는 하림의 독자 기술로 개발한 ICBP(분리 닭가슴살 단백질)를 주원료로 사용한 프리미엄 단백질 디저트다. 국내산 무항생제 닭가슴살에서 단백질만을 고순도로 정제해 높은 단백질 함량과 깔끔한 맛을 동시에 구현했다. 또한, 지방 함량은 낮추고 단백질 비중은 높여 간편식 디저트로서 영양 설계의 완성도를 높였다. 하림 ‘오!늘단백 초코바’는 ‘밀크초코 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