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라이프] 가을엔 뭐 먹지? 순천의 가을 味(미)감만족

들에서 바다까지, 풍요로운 맛의 계절

말도 사람도 입맛이 ‘달달해지는’천고마비의 계절이 돌아왔다. 가을바람 따라 들녘에선 오곡이 무르익고, 해산물들 역시 사계절 중 가장 기름지고 맛있어지는 시기. 덕분에 맛의 도시 순천의 가을 밥상도 풍성하고 후해진다.

 

 

푸짐하고 다양한 순천의 가을 맛, 낙지

 

9월부터 이듬해 2월이 제철인 낙지는 가을 보양식의 최강자로 손꼽힌다. 특히 순천산 낙지는 세계유산에 이름을 올릴 정도 그 가치를 인정받은 순천 갯벌에서 자라 그 맛과 영양이 탁월하다.

 

세발낙지탕탕이. 다리가 가늘고 부드러워 ‘세발’이라 불리는 낙지들만 잘라 채 썬 오이와 다진 마늘 한 꼬집을 곁들인 후, 고소한 참기름 한 바퀴 휘 두르고 참깨 톡톡 뿌려내면 순천표 세발낙지탕탕이 완성된다. 여기서 좀 더 사치를(?) 부리고 싶다면 채 썬 한우를 곁들인 한우낙지탕탕이를 추천한다.

 

살짝 데쳐 야들야들해진 낙지와 데친 시금치 넣고 비법의 초고추장 양념으로 무친 새콤달콤 낙지초무침, 화끈하게 불맛 살린 낙지볶음, 아귀찜에 도전장을 내민 매콤한 낙지찜, 특제 육수에 불고기와 낙지로 궁합 맞춘 불낙전골, 나무 꼬챙이에 돌돌만 낙지에 수제 양념소스를 바른 후 약한 불에서 살살 구워낸 낙지호롱, 낙지 본연의 맛을 살려 시원하게 끓이는 낙지연포탕과 잘 삶은 갈비와 낙지 맛이 신박하게 조화를 이루는 갈낙탕까지. 낙지 하나만으로 3박4일 순천 식도락 가을 여행이 가능하다.

 

 

가을에도 맛있는 순천 주꾸미

 

주꾸미의 제철은 봄. 하지만 주꾸미는 찬바람 도는 9월부터 살이 오르기 시작한다. 전라도 말로 ‘먹작 것’이 있어지는 가을 주꾸미는 봄과는 또 다른 별미다. 타우린 함량에 있어 낙지와 쌍벽을 이루는 주꾸미는 다이어트에 최적의 식재료.

 

주꾸미를 주인공으로 차려지는 백반 한 상부터 제철 식재료가 총출동하는 주꾸미 샤브샤브, 삼겹살・새우 등과 합을 맞춰 볶아낸 K-후식 볶음밥으로 화룡점정을 찍는 주꾸미 퓨전식까지. 다양한 주꾸미의 세계를 맛볼 수 있다.

 

 

순천이라 가능한 귀한 맛, 대갱이

 

과거 어부들은 못생긴 생선이 그물에 걸려 올라오면 바로 버렸다고 한다.

그중 하나가 바로 순천 ‘대갱이’이다. 정식명칭인 ‘개소겡’이란 이름 대신 순천에선 ‘은지구’란 이름으로 더 친숙하다. 어부들의 밥상에서나 볼 수 있었던 서민음식으로 대갱이탕은 미꾸라지 대신 끓여 먹는 순천의 가정식 보양탕이었다. 잘 말린 대갱이를 살이 연해질 때까지 수십 번 몽둥이로 두들겨 구워낸 후, 매콤새콤하게 무쳐내면 씹을수록 감칠맛이 나는 대갱이무침이 완성된다. 더 잘게 부순 대갱이 가루를 중약불에서 덖다가 고추장 넣고 타지 않게 정성들여 오랜 시간 볶아내면 대갱이 고추장이 되죠.

 

정원의 도시 순천에서의 특별한 여행을 더 특별하게 만들고 싶다면 순천의 별미, 대갱이 요리 어떠세요?

 

순천만의 가을 쌍두마차, 새우와 전어

 

순천이 선사하는 또 하나의 가을 맛, 새우의 계절이 시작됐다. 딱 이 계절, 왕새우 직매장이라 이름 붙여진 새우 전문점들 역시 왕새우가 나오는 가을에만 문을 연다. 냄비에 굵은 소금을 깔고 익힌 왕새우소금구이는 어떠세요?

 

왕새우찜은 맛이 깔끔하면서 담백한 게 특징이다. 왕새우튀김이야 두 말이 필요 없는 순삭 요리. 후식으로 먹는 칼국수와 라면에도 왕새우 몇 마리를 넣어주는 게 순천 왕새우 식당의 국룰이다. 테이블에 쌓인 왕새우 대가리는 원하는 분들에 한해 버터구이로. 버터의 짭짤 고소함과 새우 대가리의 바삭함이 입안에서 펑펑 터지는 그 맛까지. 왕새우로 즐기는 순천 가을 미식 여행, 절대 놓치지 마세요.

 

자, 이번엔 가을의 전설, 전어다. 특히 초가을 전어는 맛이 부드럽고 뼈가 억세지 않아 뼈째 먹기에 좋다. 전어를 뼈째 써는 뼈꼬시냐 뼈를 발라내고 부드러운 살만 먹을 것이냐. 이건 전어 식당 칼 잡은 사람 마음. 이번엔 새콤달콤한 전어 회무침으로 입맛을 돋을 차례. 그냥 먹어도 좋지만, 흰 쌀밥이 든 냉면 그릇에 전어 회무침 듬뿍 넣고 참기름 한 바퀴, 김 가루 살짝 넣어 싹싹 비벼 먹는 맛도 그만이죠.

 

다음 코스는 전어구이. ‘깨가 서 말’이라는 대가리부터 통째로 먹어야 전어의 고소함을 200% 즐길 수 있다. 집 나간 며느리를 불러들인다는 가을 전어로 여름 더위에 잃어버렸던 입맛을 단박에 불러들이세요.

 

 

오래된 노포의 맛, 곱창전골

 

조선시대 당시 순천 부읍성으로 불리며 중심 상권을 형성했던 순천 중앙동 중앙시장. 주머니 가벼운 사람들이 배 채우기 좋은 곱창집과 국밥집이 하나둘 터를 잡으면서, 70~80년대엔 곱창집이 무려 20여 곳에 이르렀다고 한다. 지금은 노포집 몇 곳이 그 명성을 이어가고 있다.

 

곱창에 진하게 우린 양념 육수 붓고, 부추나 시금치 등 제철 채소 아낌없이 올린 후 불린 당면을 포개준다. 칼칼한 국물 맛에 곱창의 쫄깃한 식감까지. 채소와 당면 그리고 육수는 리필도 가능하다. 곱창전골이 바닥을 드러낼 즈음 남은 국물에 김 가루 듬뿍 들어간 밥을 잘 볶아주면 곱창볶음밥 완성. 주룩주룩 비 오는 가을날, 우산을 들고 여유롭게 순천만 정원을 산책한 후 중앙동 곱창골목에서 소주 한 잔. 세상 부러울 게 없는 맛이다

 

 

순천 별량 개랭이마을이 전하는 건강한 맛, 고들빼기

 

떫고 쓴맛을 가졌으며 ‘천연 인슐린’이라 불릴 정도로 혈당 조절과 콜레스테롤 저하에 효능이 있는 식재료. 그 옛날 순천의 진상품이었다 전해지는 고들빼기다. 8월 말에서 9월 초를 시작으로 가을내 수확이 진행된다.

고들빼기의 핵심은 밭의 인삼이라 불리는 씁쓸한 맛과 향의 뿌리. 지역 특산품인 고들빼기김치는 순천의 어느 식당에 가도 쉽게 맛볼 수 있다. 김치뿐 아니라 생채나 전으로도 즐기고, 연한 고들빼기는 샐러드처럼 무쳐 삼겹살과 함께하세요.

 

몸을 살리는 순천의 음료, 순천 발표음료 ‘정원에 톡’

 

국보급 아티스트 BTS의 정국이 마신다고 해서 유명해진 음료. 주로 잎을 사용해 차나 분말 형태로 먹는 자연생약, 콤부차(Mitragyna speciosa)이다.

 

다이어트에 좋기로 소문난 이 콤부차를 순천에선 ‘발표음료’라는 보다 대중적인 마실거리로 언제든 손쉽고 편하게 즐길 수 있다. 2023 로컬 콘텐츠 페스타에서 첫선을 보인 순천표 콤부발효음료 ‘정원에 톡’. 비정제 원당으로 칼로리는 낮추고, 원당에 포함된 다양한 미네랄을 섭취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고 있다. 순천산 야생차인 녹차와 홍차, 순천의 농산물로 만든 콤부발효원액을 넣어 건강하게, 순천의 계절 색과 맛을 담은 복숭아와 배, 매실 세 가지 맛으로 골라 먹는 재미까지. 순천의 풍성한 가을 음식으로 꽉 채운 속을 가볍게 하는 천연 소화제로도 딱이다. 저칼로리의 청량한 건강 음료 ‘정원의 톡’으로 정원 도시 순천의 톡 쏘는 매력을 직접 확인하길 바란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푸드&라이프] 산림청, 꽃송이버섯 추출물 지방 축적 약 70% 억제 효과 입증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은 신품종으로 출원한 ‘썸머퀸’ 꽃송이버섯에서 체지방 축적을 억제하고, 지방 분해와 열 발생을 유도하는 항비만 효능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국립산림과학원과 국립경국대학교 산림과학과 정진부 교수 연구팀이 3T3-L1 지방세포에 꽃송이버섯 추출물(SL30E)을 다양한 농도로 투여한 결과, 중성지방 축적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특히 현재 시중에서 다이어트 보조제로 활용되고 있는 시서스 추출물(CQR-300)과 비교했을 때,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동일 농도(100μg/ml)에서도 지방 축적을 약 70% 억제해 3배 이상 높은 효과를 나타냈다. 또한 꽃송이버섯 추출물은 지방세포 분화를 촉진하는 주요 전사인자의 발현을 억제해 지방세포 생성을 차단했다. 이 과정은 β-카테닌 단백질을 매개로 이루어지며, β-카테닌이 제거되면 지방 억제 효과가 사라지는 것으로 확인돼 해당 경로가 핵심 작용경로임이 입증됐다. 그리고 꽃송이버섯 추출물이 지방분해 관련 단백질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세포 내 지방 저장 및 분해를 조절하는 perilipin-1의 발현을 감소시키는 효과가 확인됐다. 이번 연구 결과는 지방 생성 차단, 지방 분해 촉진, 열 발생 촉진의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오는 11일 '메밀막국수·들기름막국수' 전수과정 열려
메밀막국수 제면부터 비법 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전수교육>이 오는 8월 11일(월)에 진행된다. '막국수'는 전 연령층을 아우르는 외식아이템이다. 건강식을 선호하는 추세에 따라 막국수에 대한 인기는 높아졌다. 메밀을 재료로 한 막국수와 소바(일본식 메밀국수)전문점 창업도 늘고 있다. 소자본창업이 가능하고, 운영에 관한 리스크가 적고 먹는 속도가 빨라 테이블 회전률이 높다는 장점이 있다. 오는 8월 11일, 육수부터 메밀반죽 비법양념장까지 장사에 바로 사용할 수 있는 막국수 레시피 전수 이번 ‘메밀막국수 비법전수’ 진행을 맡은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이번 전수교육에서는 ▲메밀가루를 사용한 면 반죽▲막국수의 맛을 결정짓는 ‘육수’▲막국수 양념장▲'비빔막국수'부터 '들기름막국수'까지 전 조리 과정과 막국수 브랜드 운영 노하우를 전한다. 김종우 원장은 “봉평메밀막국수는 엄선한 과일, 야채 등 식재료를 사용해 수제로 만든 비법 양념장과 국산 메밀가루로 만든 면 반죽이 핵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사장님 비책전수
‘우동 중의 우동’이라 불리는 일본 ‘사누키우동’의 조리비법을 전수 받는 ‘사누키우동 마스터 과정’이 오는 7월 3주차에 진행된다. ‘사누키우동’은 일본 가가와현을 상징하는 음식으로 특유의 물, 밀가루 배합방식으로 탄력이 살아있는 쫄깃한 면발의 식감이 특징이다. 국내에도 폭넓은 수요층을 보유했고, 우동은 수익성이 높아 선호하는 외식사업 아이템 중 하나로 꼽힌다. 정통 ‘사누키우동’ 유명 맛집 오너셰프인 최원영 오너셰프가 맡아 현장감 높은 교육으로 이루어진다. ‘미토요’는 <사누키우동>을 전문으로 하는 정통 일식점으로, 2017년 남부터미널 인근에서 10평 매장으로 시작, 현재 50평 규모로 확장이전 성업중인 맛집이다. 최원영 오너셰프는 사누키우동의 탄생지인 일본 가가와현 미토요시에 머물며 직접 우동 제조 기술을 습득했으며, 국내에서 수타우동 전문점으로 높은 유명세를 떨친 용인의 일식당 ‘오사야’의 레시피를 전수 받아 다년간 매장을 운영 중이다. 미토요의 ‘사누키우동’은 물과 소금만을 사용한 반죽, 두 차례 숙성 과정으로 특유의 쫄깃한 식감이 특징이다. 깊고 개운한 우동 국물은 가다랑어포, 국내산 다시마 등 첨가물 없이 천연 재료만을 사용해 육수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