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배달앱 딜리버루(Deliveroo)가 2021년 홍콩의 유망 식품트렌드를 발표했다. 2020년 한 해 동안 수집한 배달 판매 데이터, 설문조사 결과를 종합해 2021년도 지속할 식품트렌드를 선정했다. ▲건강을 위한 대체 식품 ▲유행 음식 쫓기 ▲해외 음식 체험 ▲바뀌는 식사 습관 등이 트렌드로 꼽혔다. 건강을 위한 대체 식품 설문조사에 응한 홍콩거주자 중 50%는 귀리 및 견과류 기반의 유제품 대안 식품을 선택할 계획이라 밝혔다. 식물성 대체 고기 제품을 소비하겠다고 답한 이는 48%를 차지했으며, 지난해 알코올 포함한 주류대신 무알코올 음료를 구매한 소비자는 30%에 달했다. 유행 음식 쫓기 코로나로 인해 홈쿡, 홈카페 문화를 체험하는 이들이 늘어나며, SNS에서 유행하는 음식을 따라하는 소비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20202년 한 해 동안 달고나커피, 수제 파스타, 사워도우빵 등 식품은 홍콩에서도 큰 유행을 모았다. 그중 달고나커피는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스타그램, 티톡 등 플랫폼에서 레시피나 제조 영상이 큰 인기를 끌었다. 네스카페는 자사 제품을 이용해 달고나커피 만드는 영상을 공유하기도 했다. 응답자 48%는 김치와 같은 발효식품 섭취를 늘려나
1인가구 증가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해마다 증가하며 관련 펫푸드 시장에선 프리미엄 제품이 각광을 받고 있다. 일본에서는 전문 펫푸디스트가 진단을 통해 반려동물에 적합한 사료를 제안해주는 서비스가 유망업종으로 떠올랐다. 펫푸디스트는 일본 동물 복지협회가 인정하는 민간 자격으로 개, 고양이 등 반려동물 음식 전문가이다. 일본의 반려동물 식품기업 그린 독(Green-dog)은 펫 푸디스트를 통해 고객이 키우는 반려동물에 적합한 건강 기능성, 고품질 사료를 엄선 후 정기 배송해주는 ‘사료의 창구(ごはんの窓口)’를 제공한다. 사료 견본과 시식 샘플을 배치해 둔 오프라인 매장도 함께 운영 중이다. 사료의 창구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해선 우선 전용 공간에서 20~30분간 펫 푸디스트의 상담을 실시한다. 평소 반려동물의 생활 패턴, 식습관 정보를 모아 취합해 적합한 사료를 선정하게 된다. 상담이 완료되면 샘플에 비치된 약 60종 중 펫 푸디스트가 제안한 3가지 정도 사료를 시식한 다음 고를 수 있다. 여기에 영양제 등 추가로 필요한 내용물을 조합해 맞춤식 프리미엄 사료를 만든다. 이후 정기 배송을 신청하면 집으로 매월 사료를 배송해준다. 가격은 한 달 5,000엔~15
맥도날드가 지난 1일 덴마크와 스웨덴에서 식물성고기 패티를 사용한 채식버거 ‘맥플렌트’를 출시했다. 버거킹에 이어 글로벌 기업 맥도날드가 대체고기 시장에 합류함으로써 패스트푸드 시장의 상품 개발 경쟁도 본격화될 전망이다. 작년 타이슨 푸즈 등 미국 내 육가공 업체들이 코로나19 확진자 발생으로 문을 닫으며 육고기 수급에 차질을 빚자 맥도날드측은 대체고기 버거 개발에 착수했다. 이번에 선보인 맥플렌트는 미국의 대표적인 대체고기 생산기업 ‘비욘드미트’와 협력해 탄생하게 됐다. 육고기대신 완두콩 단백질을 이용해 햄버거 패티를 만들었다. 올해 초 캐나나 일부 매장에서 식물성고기로 만든 제품을 시험적으로 선보이기도 했다. 스웨덴에서는 오는 3월 15일까지, 덴마크에선 4월 12일까지 식물성고기 제품을 판매한다. 시범 판매가 성공적으로 끝나면 향후 다른 시장까지 제품 출시를 확대할 예정이다. 영국의 글로벌 투자은행(IB) 바클레이스는 향후 10년 내 인공육이 전체 육류시장의 10% 이상을 차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시장조사업체 마케츠앤드마케츠에 따르면 세계 대체육시장은 2025년까지 279억달러(약 34조2000억원)로 확대될 전망이다. 코로나 이후 육고기 수급의
배달·테이크아웃 시장의 성장으로 인해 증가한 플라스틱 쓰레기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할 지가 식품외식업계의 새로운 문제로 대두됐다. 일본에서는 친환경 소재인 사탕수수 찌거기를 사용해 만든 샐러드 용기를 만든 업체가 등장했다. 또한, 세븐일레븐의 경우 매장 앞에 페트병 자동회수기를 설치해 완전순환형 체계를 만들어 가고 있다. 100% 토양에서 분해되는 용기 도입한 샐러드 브랜드 ‘하이파이브’ 일본의 샐러드전문점 ‘하이파이브 샐러드(HIGH FIVE SALAD)’를 운영하는 주식회사 하이파이브가 지난 1월 27일 업계 최초로 100% 식물 유래의 친환경 용기를 도입했다. 사탕수수 찌꺼기로 만든 용기, 커틀러리를 사용함으로써 배출하는 플라스틱 사용량을 70%까지 줄여나갈 계획이다. 하이파이브가 새롭게 사용하는 샐러드 용기는 사탕수수의 찌꺼기와 대나무를 혼합한 소재로 만들어졌다. 사용 후 100% 토양에 분해 가능한 친환경 용기이다. 사탕수수는 목재를 대체해 종이 등 제작이 가능해 지구온난화를 막아주는 원료로 주목받고 있다. 대나무 90%, 사탕수수 10%로 구성됐다. 전자레인지에도 사용이 가능하다. 하이파이브측 관계자는 “배달, 테이크아웃 이용 고객의 증가로 외식업계
식물성고기에 대한 수요가 점점 증가하며 갈수록 다양한 제품들이 세계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중국의 식품기업 PFI Foods는 전자레인지에 돌려서 어디서든 간편하게 식물성고기를 먹을 수 있는 파니니 ‘植爱’를 28일 선보였다. PFI Foods는 싱가포르 차이나 풀쉐어 홀딩스와 아메리칸 푸루이 컴퍼니가 공동출자해 2015년 설립한 식품기업으로 즉석 식품, 케이터링 서비스 등을 제공하며, 식물성고기 제품을 지속적으로 시장에 출시하고 있다. 120초면 간편하게 즐기는 원핸드밀 식물성고기 식물성 고기 파니니 제품 ‘植爱’는 GMO(유전자 변형 농산물)가 아닌 고품질 대두를 선별해 재료로 사용했다. 압출 공정을 통해 대두 단백질을 추출한 다음 식물성 고기 섬유를 분류하는 과정을 거쳤다. 재조합 기술을 사용해 높은 단백질, 저콜레스테롤 및 낮은 포화 지방으로 이뤄져 건강 관리, 체중 조절에 도움을 준다. 식물성 고기를 감싸는 파니니빵도 유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만든 비건용 제품을 선택했다. ‘植爱’은 20~30대 젊은 직장인을 대상으로 만든 제품인 만큼 조리과정을 단순화하고 간편히 먹을 수 있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전자레인지에 120초만 돌리면 바로 먹을 수 있다.
유럽의 고급식품(Fine Food Grocery) 시장이 성장하는 가운데 흑마늘, 김치 등 K-푸드가 당당히 자리 잡고 있어 눈길을 끈다. 고급식품 시장은 국내에서는 생소한 개념으로 소규모 독립 식료품점(Delicatessen)을 중심으로 시장이 발달했다. 유럽 내 이민자들을 대상으로 자국 식품을 판매하던 것에서 시작한 만큼 전 세계 다양한 식료품을 찾아볼 수 있다. 여기에 지역 특산품, 고급 식재료, 전통 음식, 에스닉 푸드, 윤리적 식품(Ethical foods), 유기농 식품 등이 추가되며 현재의 고급 식료품점의 형태를 갖췄다. 英·佛 고급식품시장 동향 시장조사기관 제르피(Xerfi) 추산 약 70~90억 유로 (9.3~12.5조 원) 규모로 프랑스는 유럽 내 가장 큰 고급식품시장을 보유하고 있다. 약 5,300개 이상인 전체 고급식품 시장에서 65%를 독립 상점이 점유했다. 특히 민텔 자료에 따르면 2018년 기준 밀레니얼 세대(1980년~1990년대 출생) 중 84%가 고급 식료품점을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이는 X세대(1960~1980년생) 75%, 베이비붐세대(1943~1960년생) 68% 이용률과 비교해 월등히 높은 수치다. 이전 세대보다 자
글로벌 패스트푸드기업 맥도날드(McDonald)와 KFC가 2021년 새해를 맞아 중국에서 연달아 중국 전통요리를 모티브한 메뉴를 공개했다. 지난 1월 13일 맥도날드는 중국 산시성의 정통음식인 러우자모를 신년한정 메뉴로 공개했다. 러우자모는 빵 사이에 다진 고기를 넣어서 먹는 음식으로 햄버거와 모습이 닮아 중국식 햄버거라고 불린다. 2021년 소의 해를 기념하고자 소고기를 사용해 러우자모를 만들었으며, 고수를 제외하고는 거의 야채를 사용하지 않고 고기 위주로 빵 속을 채워 넣었다. 러우자모가 들어간 메뉴는 오전 10시까지만 구입이 가능하다. 또한, KFC는 18일 아침 한정 메뉴로 매운 비빔면을 선보였다. 매운 소스가 올려진 건면과 해시브라운, 커피가 세트로 구성돼 있다. 고객 편의를 위해 처음으로 젓가락을 함께 제공한다. 한편 작년 10월에는 닭고기를 재료로 만든 매운 국수 요리인 ‘KFC-KAIFENGCAI’ 시리즈를 출시하기도 했다. 닭을 주재료로 사용해 육수를 우려냈고, 닭 가슴살 고명을 국수 위에 얹었다. 그동안 KFC와 맥도날드는 패스트푸드 브랜드가 가진 틀을 깨고 중국 현지화를 위한 아침 메뉴를 꾸준히 선보여 왔다. 중국인들이 아침에 즐겨먹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중국 소비자들의 식음료 구매패턴 및 트렌드에 많은 변화가 있었다. 무엇보다 1995년에서 1999년 사이에 출생한 95허우(95后)의 소비 선호도가 식품 기업의 신제품 출시에 큰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다. 세계 최대 온라인 B2B 플랫폼 알리바바의 전 CEO 웨이저는 "95허우 세대를 이해하지 못하는 기업에게는 미래가 없다"고 말할 정도로 소비시장에서 영향력이 커졌다. 지난 한 해 중국에서 인기를 끌었던 상품을 중심으로 '2020 식품트렌드'를 정리해본다. 제로 칼로리 내세운 탄산수 제품 인기 2020년은 코로나로 인해 면역력 강화,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어느때보다 높아졌던 해였다. 체중 조절에 도움을 주는 저당, 저칼로리, 저지방 제품이 소비자의 선택을 받았다. 그 중 제로칼로리면서 다양한 과일 향을 첨가해 맛을 낸 탄산수 제품이 인기를 끌었다. 음료 기업 원가삼림은 ‘무설탕· 제로칼로리·무지방’을 표방하는 건강한 탄산수를 컨셉으로 최근 3년간 40억 위안(약 6890억 원)까지 시장 가치를 키워 주목받았다. 작년에 유산균맛, 귤생강맛, 화이트베리 코코넛맛 등 다양한 탄산수 제품을 출시했다. 또한, 와하하, 네슬레, 펩시, 농부산천 등
2020년 홍콩에서는 코로나19가 확산되며 식사와 간식의 경계가 희미해지는 ‘식사의 스낵화(Snackification)’가 주요 식품트렌드를 차지했다. 그 중 간편하게 식사대용으로 먹으며 건강관리까지 가능한 요구르트 제품의 성장이 두드러졌다. 식사 대신 무첨가 요구르트 찾는 소비자 늘어 유로모니터에 따르면, 홍콩의 요구르트 소매 시장 규모는 전년대비 8.5% 증가, 건강한 간식 수요 상승에 따라 향후 5년간 약 8%의 연평균 성장할 전망이다. 2025년 매출액은 약 11억 홍콩달러(한화 약 1,628억)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한해 재택근무와 온라인 수업으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며 체중 조절을 위해 식사량을 줄이고 간식으로 끼니를 대체하는 이들이 늘었다. 특히 20~40대 여성 소비자들은 식사대용으로 떠먹는 요구르트와 같은 유제품을 선호했다. 시장에서는 이러한 추세에 맞춰 인공 첨가물 없이 고단백질에 높은 포만감을 주는 그릭 요구르트와 같은 상품이 인기를 끌고 있다. 트라피스트(Trappist)는 푸딩처럼 떠먹을 수 있는 ‘스푸나 요거트(Spoona yogurt)’와 빨대를 꽂아 마시는 ‘시파 요거트(Sippa yogurt)’ 출시했다. 트라피스
베트남 배달앱 시장 점유율 1위 기업 ‘그랩푸드(Grabfood)’가 작년 말부터 전통시장 장보기를 지원하는 서비스 를 추가 도입하고 베타테스트에 들어갔다. 장보기 카테고리인 ‘그랩마트’ 내에 전통시장 상인이 온라인 상점을 개설해 판매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그랩푸드는 코로나19의 영향으로 전통시장을 찾는 손님들이 급격히 줄어들며 어려움을 호소하는 상인들과 상생을 이루고자 서비스를 신설했다. 전통시장 자체적으로 디지털 전환을 이루기에는 경험이나 기술적인 어려움이 크다. 정보조사기업 닐슨에 의하면 베트남에는 약 140만개의 소규모 식료품점과 더불어 9천여개의 전통시장이 있다. 전체 유통채널 규모 중 85% 이상의 시장점유율을 차지한다. 전통 유통채널의 연간 매출액은 100억 달러(약 11조원)에 달한다. 현재 그랩마트 서비스를 이용 가능한 지역은 호치민, 하노이, 다낭 3개 지역이다. 전통시장 장보기가 가능해지며 작년 12월 그랩마트의 일평균 주문량은 전월 대비 2배가량 증가하는 긍정적인 성과를 거뒀다. 위 3개 도시위 위치한 100개의 전통 유통채널과 연계하여 서비스를 확대해 나갈 계획이며, 2021년 말까지 참여하는 소규모, 전통시장 상인 수를 10배 이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