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한 식사는 국적, 연령을 불문하고 언제나 모두의 화두다. 최근에는 건강의 범위가 인간을 넘어 자연, 지구에까지 확장되고 있다. 비건과 지속가능성에 대한 목소리가 커진 요즘, 건강하고 간편한 식사로 수요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그래놀라에 대해 알아보자. 그래놀라는 곡류를 기본으로 하여 견과류, 건과일 등을 설탕이나 꿀, 메이플시럽, 오일 등과 섞어 오븐에 구운 음식을 말한다. 그래놀라의 기본 구성 요소인 곡류는 어떤 것이든 가능하지만,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재료는 귀리를 납작하게 눌러 만든 오트밀이다. 통곡물의 형태를 유지해 건강함을 배가하는 그래놀라는 언제부터 섭취하기 시작했을까. 오늘은 그래놀라의 시작과 그 흐름에 대해 알아보자. 그래눌라? 그래놀라? 그래놀라는 뉴욕의 내과 의사이자 영양학자였던 제임스 케일럽 잭슨 Dr. James Caleb Jackson에 의해 ‘그래눌라 granula’라는 이름으로 세상에 등장했다. 이는 곡식의 작은 낟알을 의미하는 ‘그래뉼스granules에서 따온 것이다. 요양원을 운영하던 그는 껍질까지 분쇄한 통밀가루를 반죽해 굽고 잘게 부순 후 다시 구워냈고, 이를 환자들의 아침 식사에 제공했다. 식이요법을 중시하는 채식주의자였
초록의 계절이자 캠핑의 계절인 6월이 왔다. 캠핑에서 빠지면 섭섭할 음식은 돼지고기 바비큐다. 바비큐의 사전적 의미는 육류나 해산물, 채소를 야외에서 직화로 굽거나 이동식 조리기구를 활용해 구워 먹는 행위, 음식을 말한다. 나라별로 각기 다른 형태의 재료와 소스, 조리법으로 발전해왔는데, 국내에서 흔히 즐겨먹는 돼지 바비큐 요리를 와인과 매칭해봤다. 삼겹살, 목살에는 이태리 토스카나 끼안띠 캠핑용으로 흔히 떠올리는 돼지고기 바비큐는 아마도 별도의 양념 없이 소금으로 간을 해 구워 먹는 삼겹살, 목살 구이일 것이다. 최근에는 소고기 토마호크를 본 따 돼지 갈비살과 등심 부위를 갈비뼈를 따라 정형한 '돈마호크'도 인기를 얻고 있다. 이처럼 육류의 표면을 고열에 노출시켜 강하고 매혹적인 육향을 만들어 내는 구이 요리에 잘 어울리는 와인을 무엇일까? 바로 이탈리아 중부 토스카나 지방에서 산지오베제 품종으로 만든 끼안띠(CHIANTI)이다. 토스카나에서는 이 와인을 '비스테카 피오렌티나(BISTECCA FIORENTINA)'와 함께 즐기곤 한다. 고기를 올려 놓는 잠깐의 순간에도 손을 델 정도로 뜨거운 불에서 구워야 제 맛이 난다는 스테이크다. 물론 이 요리는 소고기
봄을 맞은 서울 미식 신에서 ‘명품 브랜드 다이닝’이 하나의 문화 현상으로 떠오르고 있다. 스타트는 일찍이 에르메스가 끊었다. 2006년 신라호텔과 협업해 청담동에 <카페 마당>을 열었고, 2015년에는 디올이 <카페 디올>을 선보였다. 간간이 이어지던 양상은 최근 부쩍 잦아졌고, 또 적극적이다. 메뉴보다는 공간에 집중하던 ‘카페’ 형태를 넘어 유명 셰프와 손잡고 미식의 영역으로 들어서고 있는 것. 더욱이 해외 여느 도시보다 서울이 우선적으로 선택되고 있다. 패션 하우스의 외식 공간은 부티크의 문턱을 낮추는 동시에, SNS에 공유할 만한 팬시한 경험을 제공하면서 소비자의 충성도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한국의 경우 팬데믹 이후 MZ세대를 중심으로 적극적인 오프라인 명품 소비가 이뤄지며 글로벌 브랜드의 타깃으로 떠올랐다. 전통을 유지하면서도 혁신을 이어가야 하는 명품가의 새로운 선택, 브랜디드 다이닝은 어떤 경험을 담고 있을까. 구찌의 세계 4번째 레스토랑인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과 루이 비통이 약 한 달간 피에르 상 보이에 셰프를 초대해 선보인 팝업 레스토랑 등 럭셔리 브랜디드 다이닝 5곳을 모았다. 최근 오픈한 곳일수록 ‘로
생기 넘치는 풍경만큼 눈길을 끄는 공간들이 돋보이는 6월. 프리미엄 한우 갈비 전문점과 광둥 요리 명장의 중식 레스토랑부터 홍콩의 무드를 재현한 바비큐 전문점, 해산물 요리의 변주를 선보이는 다이닝, 그리고 접근성 높은 플레이팅 디저트 숍까지. 색다른 매력으로 미각을 깨울 뉴 플레이스 5곳을 소개한다. 해산물의 모든 것, 필레터(FILLETER) 메뉴의 처음부터 끝까지 오직 생선과 해산물로 무장한 시푸드 다이닝 <필레터>가 올해 4월 문을 열었다. 여전히 육류 선호도가 높은 다이닝 신에서 정세욱 셰프가 이런 도전을 펼친 이유는 조리법이나 조합에 따라 맛의 변주가 좀 더 다채로워 요리사로서 가장 재미를 느끼는 재료이기 때문이라고. 프렌치 다이닝 <루이쌍끄>, 일식 다이닝 <고료리켄>을 거치며 동서양의 조리법을 체득한 만큼, 국적이나 조리법의 한계 없이 각각의 재료에 가장 알맞은 방법을 찾는다. 노량진 수산시장, 산지에서 수급한 생선들은 필요에 따라 3-5일 정도 짧게 드라이 에이징을 거치는데, 이 과정에서 생선 껍질은 더욱 바삭해지고 살점의 맛이 응축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날그날 준비를 마친 재료는 쇼케이스에 전시되어 작
생기 넘치는 풍경만큼 눈길을 끄는 공간들이 돋보이는 6월. 프리미엄 한우 갈비 전문점과 광둥 요리 명장의 중식 레스토랑부터 홍콩의 무드를 재현한 바비큐 전문점, 해산물 요리의 변주를 선보이는 다이닝, 그리고 접근성 높은 플레이팅 디저트 숍까지. 색다른 매력으로 미각을 깨울 뉴 플레이스 5곳을 소개한다. K-BBQ의 가치를 전하다! 벽제갈비 더청담 36년 역사의 <벽제갈비>가 그간 조명되지 않았던 K-BBQ의 숨겨진 면모를 보여주기 위해 올해 4월 <벽제갈비 더 청담>을 오픈했다. 전 세계 어느 나라보다 소고기 부위를 세분화해서 먹어온 전통, 그것이 가능하도록 연마해온 장인 기술자들을 전면에 내세운 것. 특히 ‘꽃뼈생갈비’를 주문하면 벽제의 역사를 함께해온 30여 년 경력의 육가공 장인들이 테이블에서 직접 갈비를 해체하며 부위별로 설명하고 구워주는 서비스를 선보인다. 디너 타임에는 별도의 룸에서 한우와 생선, 해산물이 매끄럽게 교차되는 한식 오마카세도 즐길 수 있다. 최고급 한우를 추구해온 본사의 집념을 수산물로 확장시켜 ‘운정수산’을 설립하고, 매일 제주에서 재료를 공수받는다고. 제주산 생선은 일품요리로도, 솥밥 등의 간단한 점심 반상으
음식물 쓰레기를 줄이는 발효 다이닝 MELBOURNE 호주 호주 멜버른에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는 발효 전문 다이닝 바가 문을 열었다. 말레이시아 출신의 데니스 용 셰프가 주방을 이끄는 <팍스PARCS>가 그곳이다. 셰프는 록다운 기간 동안 버려지는 농산물을 발효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고, 노하우를 집약해 지난 4월 바를 오픈하기에 이르렀다. 이곳의 메뉴는셰프에게 익숙한 아시아의 발효 식품을 활용한 퓨전 요리로 구성된다. 스파게티 대신 호키엔 면을 쓰고 호밀빵을 숙성시켜 만든 된장으로 맛을 낸 ‘우마미에 페페(UMAMI E PEPE)’, 졸인 배를 곁들인 브리오슈 된장 아이스크림 등이 대표 메뉴다. 또한 식재료를 손질하고 남은 부분이나 못난이 농산물을 요리에 활용해 음식물쓰레기를 최소화하고자 한다. 부르고뉴의 새로운 랜드마크 DIJON 프랑스 부르고뉴의 중심 도시 디종에 프랑스의 미식과 와인을 총망라한 박물관이 문을 열었다. 10년간의 준비 기간끝에 5월 6일 오픈한 ‘국제 미식과 와인 도시(CITÉ INTERNATIONALE DE LA GASTRONOMIE & DU VIN)’는 주요 와이너리가 밀집된 ‘루트 드 그랑 크뤼’ 근처에 자리 잡았다.
올해의 음식 사진 WORLD 전 세계 영국의 식품 어워드 전문업체 ‘더 푸드 어워드 컴퍼니’가 2011년부터 매년 개최하는 ‘핑크 레이디 음식 사진공모전(PINK LADY FOOD PKOTOGRAPHER)’의 우승자가 4월 27일 공개됐다. 전 세계 60여 개국에서 출품한 수천 작품 가운데 38개 작품이 수상의 영예를 안았는데, 올해의 대상은 인도 출신 포토그래퍼 데브닷타 ‘차크라보르티’가 거머쥐었다. 인도 카슈미르 스리나가르의 한 노점 상인이 자욱한 연기 속에서 케밥을 굽는 모습을 인상적으로 담았다. 공모전 설립자인 캐롤라인 케년(CAROLINE KENYON)은 이 작품에 대해 “연기와 함께 황금색 불꽃 속에서 케밥을 굽는 상인의 표정이 아름답게 포착됐다”라고 평했다. 그 밖에도 중국 푸젠성의 작은 농가에서 붉은 옷을 입고 축제를 준비하는 모습, 영국 리츠 런던 호텔에서 화려한 불꽃의 게리동 서비스를 펼치는 이미지에도 눈길이 간다. 식물성 밀키트 정기 구독 개시 NEW YORK 미국 전 메뉴를 식물성 재료로 선보이는 뉴욕의 파인 다이닝 <일레븐 매디슨 파크>가식물성 밀키트 정기 구독 서비스를 4월 출시했다. 매주 한 번 배송되는 ‘일레븐 매디슨
잘 숙성된 네타와 적당한 찰기를 지닌 샤리가 어우러져 혀에 착 감긴다. 씹을수록 달콤한 감칠맛이 배어 나오며 사르르 녹는다. 셰프의 섬세한 손길로 빚은 스시가 주는 한 입의 행복. 최근 서울 종로의 <스시 메르>가 남다퀄른리 티로 국내 스시 오마카세의 치열한 경쟁 속에서 새로운 다크호스로 떠오르고 있다. 셰프의 섬세함으로 빚은 우아한 스시 최근 몇 년간 스시 오마카세가 유례 없는 성황을 누리고 있다. 예전엔 특급 호텔 일식당에서 일부 미식가들만 즐겼다면, 이제는 동네 곳곳에 오마카세를 선보이는 미들급 스시야가 생겨날 만큼 대중적인 장르로 거듭났다. 예약이 대학 수강 신청보다 치열하다며 ‘스강신청’이라는 신조어가 생길 정도. 하지만 입소문만 못한 퀄리티로 아쉬움을 주는 경우도 그만큼 늘고 있다. 스시 마니아들은 셰프의 장인정신과 따뜻한 환대가 담긴 오마카세의 본질을 경험할 수 있는 곳으로 발길을 돌린다. 이런 가운데 오픈한 지 1년이 채 되지 않았음에도, 퀄리티 좋은 스시와 남다른 코스 구성, 합리적인 가격대로 마니아들의 재방문율이 높은 하이엔드급 스시야가 있다. 바로 해비치 호텔앤드리조트가 운영하는 <스시 메르>다. 도예가가 빚은 흙벽과
해양수산부는 지난 5월 24일부터 25일까지 화상회의로 진행된 ‘제28회 대일(對日) 한국 김 수출 입찰‧상담회’에서 전년 대비 11% 증가한 650억 원 규모의 수출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전 세계적인 소비위축에도 불구하고 김은 농수산물중 수출액 1위 효자품목으로서 매년 수출 규모를 키워오고 있다. 일본은 우리나라 김의 주요 수입국으로서, 우리 수출업체들은 전통적 수출품목인 마른김 외에 조미김·김자반과 같은 다양한 제품으로 일본내 수출시장을 넓혀가고 있다. 주목할 만한 점은 전체 김의 수출량은 870만 속으로 작년대비 5.6% 증가한데 비하여 수출금액은 650억원으로 11% 가까이 증가했다. 이는 김제품의 고부가치화를 통하여 수출시장을 확대하려는 노력의 성과라 여겨진다. 실제 이번 입찰·상담회에서도 부가가치가 높은 조미김과 김 조제품의 인기가 높아 조미김과 김 조제품은 각 216억 원과 207억 원의 계약을 체결하여 모두 전년 계약액인 156억 원과 170억 원을 넘어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해양수산부는 매년 개최되는 한·일 수산물 무역과장회의를 통해 일본 내 인기가 높은 조미김 등의 대일 수출 쿼터를 늘리는 등 김 수출이 원
요즘 젊은 세대는 어디로 놀러 갈까? 신사동 가로수길, 성수동 카페거리, 연트럴파크 일대, 한남동 카페거리 등의 번화가만 떠올린다면 오산이다. 이제 점차 전통시장으로 향하는 발길이 늘고 있다. 옛것에서 새로운 매력을 느끼는 ‘뉴트로’ 열풍이 몇 년 전부터 꾸준히 부는 덕분이기도 하지만, 전통시장 주변에서도 변화의 움직임이 꿈틀대고 있다. 맛깔스러운 길거리 음식과 멋스러운 구제 옷, 조금 더 얹어 주는 ‘덤’ 문화 등 기존 요소들이 매력으로 다가오면서도, 시장의 신선한 재료들로 독특한 메뉴를 개발하며 상인들과의 상생을 추구하는 다이닝 플레이스도 곳곳에 등장했다. 시장 토박이가 만든 루프톱 와인 바부터 시장에서 사온 고기를 품격 있게 구워주는 비스트로, 상인들과 함께 칵테일을 개발하는 바, 시장 음식을 내추럴 와인과 함께 즐길 수 있는 공간까지…. 이런 다양한 시도 덕분에 전통시장은 신구의 조화가 있는 ‘힙’한 곳으로 변모 중이다. 거리두기가 해제되어 더욱 나들이를 떠나고 싶은 5월, 전통시장과 상생하는 핫 플레이스를 돌아봤다. 광장시장은 1905년부터 이어온 우리나라 최초의 상설 시장이다. 육회, 빈대떡을 먼저 떠올리게 되는 이곳에 젊은이들의 발길을 이끄는 이
요즘 젊은 세대는 어디로 놀러 갈까? 신사동 가로수길, 성수동 카페거리, 연트럴파크 일대, 한남동 카페거리 등의 번화가만 떠올린다면 오산이다. 이제 점차 전통시장으로 향하는 발길이 늘고 있다. 옛것에서 새로운 매력을 느끼는 ‘뉴트로’ 열풍이 몇 년 전부터 꾸준히 부는 덕분이기도 하지만, 전통시장 주변에서도 변화의 움직임이 꿈틀대고 있다. 맛깔스러운 길거리 음식과 멋스러운 구제 옷, 조금 더 얹어 주는 ‘덤’ 문화 등 기존 요소들이 매력으로 다가오면서도, 시장의 신선한 재료들로 독특한 메뉴를 개발하며 상인들과의 상생을 추구하는 다이닝 플레이스도 곳곳에 등장했다. 마장축산물시장은 수도권 축산물 유통의 약 70%를 차지하는 곳이다. 시장에서 산 고기를 드럼통에 구워 먹는 풍경이 익숙하던 이곳에 정갈한 분위기의 비스트로 겸 와인 숍이 들어섰다. 시장 북문 아파트 상가에 위치한 <마장동 호랑이>다. 학원과 세탁소 간판만 가득해 잘 찾아온 건지 의문이 들 때쯤 복도 한 편에 호랑이가 그려진 입구를 만나게 되고, 문을 열면 천장부터 바닥까지 빼곡한 와인셀러와 아늑한 다이닝 공간이 펼쳐진다. 이곳은 르 코르동 블루 서울 캠퍼스 총지배인을 거친 김지형 한양여대 외
최근 전통시장이 ‘레트로의 성지’로 떠오르면서, 시장 부근에 ‘힙’한 다이닝 플레이스가 속속 생기고 있다. 시장에서 갓 구입한 신선한 재료로 이색적인 메뉴를 개발해 사람들의 발길을 이끌고, 시장 활성화에 일조하는 업소들의 메뉴를 들여다봤다. 1 망원시장, <해진뒤>의 한돈 떡갈비 버거 100% 한돈을 떡과 함께 다진 후, 두툼하게 빚어 구워낸 떡갈비에 에멘탈 치즈를 녹여 모닝빵 사이에 끼워 먹는 이색적인 미니 버거다. 신선한 생고기를 도매가에 판매하는 망원시장 <서울축산>의 돼지고기로 만들었다. 2 독립문 영천시장, <브루어리304>의 토마토순두부탕 바지락 육수에 토마토 베이스 소스와 다양한 해산물을 넣고 끓여 칼칼하면서도 이국적인 느낌이 드는 순두부탕이다. 파주 장단콩과 해양 심층수로 매일 새벽 두부를 만드는 독립문 영천시장 <해콩>의 순두부를 듬뿍 넣었다. 3 광장시장, <히든아워>의 히든피자 나폴리 스타일의 얇은 도우에 녹두를 갈아 베이스로 깔고, 꽈리고추, 적양파, 간장 양념에 재운 오소리감투를 올리고 화덕에 구워 한국적인 풍미가 물씬 풍긴다. 광장시장 <제일축산> 등에서 돼지고기 부속
아시아 미식의 ‘다양성’을 ‘발견’하는 ‘아시아 50 베스트 레스토랑’이 올해로 1주년을 맞았다. 미식 전문가 3백18명의 투표를 통해 아시아에서 최고의 레스토랑 50곳을 선정하는 시상식이지만, 아직은 전체 50선이 모이기가 어려운 상황. 시상식은 올해도 ‘영상 스트리밍’으로 진행됐다. 사람, 음악, 음식이 어우러지던 축제의 분위기는 재현되지 않았지만, 발표 결과는 다이내믹했다. 특히 한국과 일본팀의 선전이 돋보였던 2022년 50선을 주요 키워드로 살펴본다. 1. 드디어, 덴 Finally, DEN 올해는 일본 미식계의 활약이 돋보였다. 국가대항전은 아니라고 하지만, 50개의 리스트가 발표되면 언제나어느 나라에 몇 개의 레스토랑이 선정됐는지는 중요한 수치로 떠올랐고, 홍콩, 마카오를 포함한 중국권과 일본이 비슷하게 1, 2위를 다퉜다. 올해도 중국권과 일본은 각각 11곳으로 선두다. 들여다보면 단일국으로는 일본이 압도적으로 많다. 게다가전체 1위인 ‘아시아 베스트 레스토랑’으로 도쿄의 <덴>이 선정됐다. 일본 레스토랑이 1위로 선정된 것은 어워드가 시작된 첫해(2013) <나리사와>의 수상에 이어 꼭 10년만의 일이다. <덴>
행사의 달 5월, 사회적 거리두기 해제 소식이 들려오며 외식업계가 활력을 되찾고 있다. 명품 패션 브랜드의 이탤리언 오스테리아부터 홍콩식 티하우스&레스토랑,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온 파인 다이닝과 위트 있는 해산물 와인 바, 패션 디자이너의 카페까지, 활기차게 출발하는 뉴 플레이스 5곳을 소개한다. 서울에 상륙한 구찌 레스토랑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 명품 브랜드 구찌가 3월 28일 이태원 구찌 가옥에 이탤리언 레스토랑을 오픈했다. 피렌체와 미국 로스앤젤레스, 일본 도쿄에 이은 4번째 공간으로, 이탈리아의 스타 셰프 마시모 보투라가 주방을 총괄한다. 서울 지점의 메뉴는 마시모 보투라 셰프를 필두로 <구찌 오스테리아 서울>의 전형규 총괄 셰프와 다비데 카델리니 헤드 셰프가 개발했는데, 국내 재료로 재해석한 시그너처 메뉴 ‘에밀리아 버거’와 한국의 계절에서 영감을 받은 신메뉴 등을 테이스팅 코스와 단품으로 즐길 수 있다. “한국의 식재료와 이탈리아의 맛, 그리고 구찌라는 브랜드의 매력적인 요소가 함께 어우러지도록 노력한다”는 서울의 두 셰프는 직접 농장에 방문하여 수확한 채소와 허브, 꽃을 요리에 활용한다고. 구찌 플래그십 스토어 6층에 위치한 오스
샴페인 브랜드 페리에 주에가 더 현대 서울에서 5월 15일까지 팝업 스토어를 진행한다. 테마는 ‘아이엠 네이쳐(I am Nature)’. 페리에 주에의 스토리부터 포도원의 생명다양성을 시각화한 드로잉 작품까지 만나볼 수 있는 현장에 다녀왔다. 여의도 더 현대 서울 지하 1층에 봄의 정원이 펼쳐졌다. 그곳은 바로 ‘아이엠 네이쳐’라는 테마로 열린 페리에 주에의 팝업 스토어 현장. 색색의 꽃과 풀, 곤충이 어우러진 드로잉 무대에 페리에 주에 보틀이 비치된 광경이 행사장 밖에서부터 눈길을 끈다. 스토어는 세 파트로 구성되는데, 브랜드의 역사를 소개하는 ‘히스토리 존’과 생명 다양성(bio-diversity)을 주제로 한 ‘전시 존’, 그리고 샴페인을 시음해볼 수 있는 ‘테이스팅 존’이 그 주인공이다. 먼저 ‘히스토리 존’은 사진과 함께 브랜드의 역사를 정리해둔 섹션이다. 설립자인 피에르 니콜라스 페리에와 아델 주에 부부의 이름을 합쳐 만든 페리에 주에는 1811년 탄생한 이후 브뤼(brut) 스타일의 시초라 할 수 있는 드라이 스타일의 샴페인 ‘뀌베 케이(Cuvee K)’를 최초로 선보이며 샤르도네의 진수를 펼쳐왔다. 여기에 최근 국내 출시된 ‘페리에 주에 블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