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촌진흥청, 디지털농업 현장 적용 위한 기술 보급 사업 ‘잰걸음’

실증연구 교육장 조성‧시범사업‘착착’…지방농촌진흥기관 거점기관으로 육성

농촌진흥청은 디지털농업 현장 적용을 위한 기술 보급 사업을 점진적으로 진행하고 있다.

 

'디지털농업'은 생산·유통·소비 등 농업관련 데이터를 디지털 형식으로 수집, 저장·관리, 결합, 분석, 공유하고 인공지능으로 의사결정을 지원하여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의 정밀농업이나 스마트농업보다 생산, 유통, 소비 등 농업 활동의 전 과정에서 데이터를 적극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농촌진흥청은 ‘디지털농업 기술 개발로 농업의 생산성‧편리성 향상 및 환경성 개선’을 목표로 △농업기술 데이터 생태계 구축 △농업생산기술의 디지털 혁신 △유통, 소비, 정책지원을 위한 디지털농업 기술 개발‧보급을 진행 중이며 이를 위한 연구·개발사업과 기술 보급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기술 보급 사업을 통해 디지털농업 생태계의 기초가 되는 기반시설 조성과 영농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시범사업을 추진하여 개발된 디지털농업 기술을 현장에 확산하고 있다.

 

올 한 해 동안 농촌진흥청의 디지털농업 부문 기술 보급 사업의 주요 성과로는 △디지털농업 실증연구 교육장(테스트베드) 구축 △민관협력의 시범사업을 통한 노지 디지털농업 확산 △품목별 최적 환경설정 생산모델 보급 △우수데이터 수집·활용을 위한 정예인력 양성 및 현장지원 컨설팅(전문지도) 등이다.

 

 

실증연구 교육장 조성

디지털농업 확산을 위해 실증연구 교육장 96개소(누계)를 조성했으며, 해당 교육장에서 교육·컨설팅(전문지도)을 받고 디지털농업을 실천하고 있는 농가는 약 141%, 재배면적은 134%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민관협력 시범사업

자동관수(물주기), 드론(무인기), 농기계 안전 등 최신기술을 적용한 시범사업 10과제를 116개 시·군에 적용하여 노지 디지털농업 확산을 위한 기반시설 구축을 지원했다.

 

최적 환경설정 생산모델 보급

딸기, 파프리카 등 디지털농업 생산모델을 4개소에 보급하였고 각 모델이 적용된 농가에서는 평균 노동력 8% 절감, 상품성 50.4%가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인력양성 및 현장지원 컨설팅

디지털농업 기술의 재배 이론 및 현장 실무, 강의 역량을 갖춘 전문지도사 50명을 양성하였고, 권역별 디지털농업 현장지원 컨설팅 20개소 지원을 통해 지방농촌진흥기관의 디지털농업 역량 강화와 데이터 수집을 확대했다.

 

내년에는 노지 디지털농업의 효율적인 확산을 위해 도 및 시·군과의 연계를 강화하고, 민관협력을 통해 최적화 모델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또한 디지털농업을 적용한 농가의 생산성 향상을 위해 농업인을 위한 환경제어 모바일 서비스 지원 확대, 최신 디지털기술의 현장 적용을 위한 민관합동 컨설팅을 추진할 예정이다.

 

농촌진흥청 기술보급과 조은희 과장은 “지방농촌진흥기관을 디지털 영농 기술 보급을 위한 거점기관으로 육성하여 농업인들이 디지털농업을 가까이에서 경험하고 체험할 수 있도록 환경을 만들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국회서 포항 대표 미식 콘텐츠 홍보 … 포항 미식 팝업홍보관 ‘호응’
포항시는 지난 24일부터 국회 소통관 앞 광장에서 포항 미식 팝업홍보관을 호응 속에 운영하고 25일 마무리했다. 대한민국 국회에서 만나는 포항미식 팝업홍보관 행사는 국회를 찾은 국회의원과 정부·유관기관 관계자, 언론, 일반 시민들에게 포항 10味, 푸드테크, 시그니처 디저트 등 포항을 대표하는 미식 콘텐츠를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홍보관에는 포항 유네스코 창의도시 네트워크(미식 분야) 가입 추진 홍보, 포항시 외식업 특화 거리 홍보, 포항 10味 시식 체험 등 포항 외식산업의 대표 정책과 특화 지구를 한눈에 볼 수 있는 전시가 구성됐다. 등푸른막회·물회 등 ‘포항 10味’ 시식 프로그램은 방문객들의 큰 관심을 끌며 포항 해양 미식의 특징과 맛을 생생하게 전달했다. 특히 ‘AI x FoodTech Zone’에서는 휴머노이드 조리 로봇이 관람객을 인식해 팝콘을 제공하는 시연이 진행돼 현장의 시선을 집중시켰다. 첨단기술 기반의 체험형 콘텐츠는 “포항이 지향하는 미래형 미식도시의 청사진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으며 국회 관계자들의 긍정적 반응을 끌어냈다. 또한 지역 디저트를 가볍게 소개하는 시그니처 디저트 존도 운영됐다. 흥해라 이팝(이바비 그린술빵), 해풍미당(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