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 황금시기 맞이한 중국 식물성 식품 시장 동향

세계적으로 저탄소 배출 열풍이 일으키면서 식물성 제품 시장이 고속 발전하고 있다. 입맛이 부드러운 식물성 아이스크림부터 삼겹살과 겨루고 있는 식물성 삼겹살 등 다양한 식물성 식품 종류가 급격히 늘어나고 있다.

 

 

Kati 농식품수출정보는 채식 습관이 있는 중국의 식물성 식품 시장은 최근 황금시기를 맞았다고 전했다. 글로벌 리서치 회사 ‘마켓 앤 마켓(Markets and Markets)’에 따르면 전 세계 식물성 고기 시장은 매년 15%의 복합 성장률로 성장, 2025년이면 약 279억 달러의 규모에 도달할 것으로 예측된다.

 

2023년 중국 식물성 고기 시장규모는 약 130억 달러에 도달할 것(유로모니터 전망)으로 중국 식물성 고기 시장은 추후 몇 년 사이에 세계 시장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막대한 영향력을 행사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정부는 올해 최초로 정책적으로 기후변화에 대비해 2030년을 정점으로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최대한 억제하고 2060년까지 탄소를 중화시키는 목표를 세웠다. 이 목표를 ‘탄다펑, 탄중허(碳达峰、碳中和)’라고 명명했으며 이는 중국 2021년의 국가 역점 추진사업 중 하나이다.

 

중국식품보망의 조사에 따르면 중국 소비자가 식물성 식품을 구매하는 원인은 주로 콜레스테롤이 함유되지 않으며 맛이 좋기 때문이다. 소비자는 주로 여성위주고, 80허우, 90허우 및 95허우의 소비자가 핵심 소비 그룹으로 분류됐다.

 

신수스식물성고기의 CEO 가오숭은 “중국시장에서는 소비자들에게 더 적합한 식물성 고기를 출시해야 하고 중국의 다양한 음식습관 및 요리 습관을 충족시켜야 한다고” 말했다. 가오숭은 신채식 식물성 고기로 육전 혹은 다진 고기를 제조하지 않고 통 삼겹살을 제조해 소비자의 육식 수요를 충족시킨 전례가 있다고 언급했다.

 

 

현재 식물성 식품으로 만든 대체품 중 가장 많이 출시된 것은 유제품, 요구르트 및 아이스크림이다. 닐슨 데이터에 따르면 2018년 식물성으로 만든 유제품 대체품은 연간 9%의 증가율을 보이고 있으나 전통적인 방식의 유제품의 증가율은 –6%로 추락하고 있다.

 

 

해외 기업도 성장 가능성을 보고 연이어 중국 식물성 식품 시장에 진출하고 있다. 네슬레의 Herta/HarCo는 식물성 고기 제품을 출시했으며, 독일의 오틀리(OATLY)는 귀리 우유를 중국에 수출하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김장의 본고장' 괴산서 전국의 손맛 자웅 겨룬다...김장 경연대회 첫선
확연한 일교차에 김장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충북 괴산군이 또 한 번 전국의 이목을 끈다. 괴산군은 오는 11월 열리는 2025 괴산김장축제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며, 전국 단위 김장 경연대회인 ‘대한민국 김장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괴산축제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대회는 올해 충청북도 최우수축제인 괴산김장축제가 향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됨을 목표로 하며 김장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에는 괴산의 대표 농산물인 절임 배추와 청결고춧가루를 주재료로 삼는다. 김치를 주제로 한 대회는 많지만, 절임 배추를 중심에 둔 전국 단위 김장 경연대회는 이 대회가 유일하다. 괴산군은 이미 ‘김장=괴산’이라는 이미지를 오랜 시간 지켜왔다. 2013년 대한민국 김장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훨씬 전인 1996년 전국 최초로 상품화한 ‘괴산 절임배추’는 유통망을 넓히며 명성을 얻었다. 절임배추와 함께 김장에 필수적인 청결고추는 이제 괴산을 대표하는 브랜드 농산물로 자리 잡았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괴산김장축제는 단순한 먹거리 행사를 넘어 문화와 체험, 경연이 어우러진 종합축제로 도약한다. 특히, 첫선을 보이는 ‘대한민국 김장 경연대회’는 지역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경기도일자리재단,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신규 기업 모집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오는 10월 20일부터 창업자와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신규 기업을 모집한다.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와 경기도가 함께 조성한 창업지원 공간이다. 창업자에게 사무공간과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해 경기도 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재단에 따르면 매년 진행되는 전국 단위 평가에서 3년 연속 A등급을 획득하며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전했다. 선정된 기업은 수원시에 위치한 경기도일자리재단 내 공용 사무공간과 사무기기를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창업 교육,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인 ‘선택형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다. ‘선택형 사업’은 ▲지식재산권 출원 ▲홍보마케팅 ▲인증 획득 ▲시제품 제작 등 기업의 단계별 성장에 맞춘 지원을 제공한다. 신청은 10월 20일부터 10월 23일 오후 4시까지 가능하다. 신청 대상은 공고일(9월 2일) 기준 경기도에 주소를 둔 1인 창조기업 예비 창업자 또는 창업 7년 이내의 경기도 내 주 사무소를 둔 창업자다. 재단은 이번 모집을 통해 창업자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창업 활동에 전념할 수 있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