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정부는 2020년까지 6차 산업 규모를 10조 엔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농가의 법인 경영을 통해서 일본 농가 일손 부족, 경작지 감소 문제를 해결한다는 방침이다. 일본 농업 현황 농업 총 산출액은 2016년 기준 전년 대비 4.6% 증가한 9조 2,025억엔을 기록했다. 2010년 이후 농업 총생산은 증가 추세이다. 1984년 11조 7,171억 엔이었던 농업의 총 산출금액은 최근 30년간 3조엔 이상 감소이나 일본의 농업 총산출액은 2010년을 기점으로 증가세로 돌아섰다. 2009년 12월 개정된 농지법에 의해 농업 참가 규제 및 농업생산법인 요건이 완화되는 등 법제상 법인 영농화가 추진되고 있다. 최근 10년간 농업 취업 인구가 약 130만 명 감소한 한편, 농업생산법인은 2배 증가했다. 농업생산법인 외의 일반법인의 농업 참가도 증가 경향이다. 또한, 농업인구의 고령화와 농업 종사자 및 농작물 경작 면적은 감소가 두드러진다. 2017년 농업종사자는 전년비 5.6% 감소하여 181만 6,000인를 기록하며 감소하는 추세다. 같은 해 농업종사자 중 65세 이상은 66.5%로 2006년 대비 8.7%포인트 증가했다. 농작물 경작면적은 전년비
매월 일정 금액을 내고 무제한으로 상품이나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독경제’가 다양한 산업에서 활발히 확산되고 있다. 필립스는 월 구독료를 내면 정기적으로 전동 칫솔을 교체해주는 서비스를 하고 있다. 넷플릭스는 일찌감치 동영상 스트리밍 서비스에 구독 모델을 적용해 기존 영상 플랫폼을 위협하는 수준까지 빠르게 성장했다. 외식업계에도 구독 모델을 도입하는 사례가 늘어나고 있다. ‘매일 찾아오는 인생술’이란 캐츠프레이즈를 내건 술담화는 매월 39,000원에 한국 전통주를 정기적으로 배송해준다. 일본 외식업계는 이미 정액제 서비스를 도입이 활발히 이뤄졌다. ‘Coffee mafia’, 'IZUMI-CAFE', 야로우 라멘, Provision에선 매월 비용 지불 후 커피, 샌드위치, 라면, 와인 등을 원하는대로 먹을 수 있다. 도쿄를 중심으로 라면 가게를 전개하는 나기 스피릿츠는 구독 모델에서 한 단계 더 나아가 푸드테크를 적용했다. 매장 입구에 설치된 태블릿에 얼굴을 비춰 인증을 완료하면 결제부터 메뉴 선택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다. 얼굴인증...비대면 서비스로 정액제 편하게 이용 아무리 무제한이라고 하지만 자주 방문하면 아무래도 직원 눈치가 보일 수밖에
지난달 21~23일, 3일간 북미 최대 간식 전시회인 ‘제23회 시카고 캔디 & 스낵 (Sweets & Snacks Expo)’ 열렸다. 최근 세계에서 다이어트식으로 인기인 저탄수화물 고단백인 ‘키토(KETO)’와 같은 트렌디한 스낵부터 더욱더 매워진 전통적인 간식까지 선보이며 그 명성을 이어갔다. 숫자로 알아보는 시카고 캔디 & 스낵 전시회 1997년도에 시작된 시카고 캔디 & 스낵 전시회는 미국 내 전통적인 간식 감자 칩부터 육포, 초콜릿은 물론 그래놀라바까지 북미 간식 시장을 넘어서 세계시장까지 종합적으로 볼 수 있는 전시회로 자리 잡았다. 올해는 전년 대비 200여개 업체가 추가로 참가하였으며 90여개 이상의 해외 기업들이 참가하여 제품을 전시했다. 간식류는 유통업 매출 내 약 51억 달러를 차지하며 미국 제조업내 54,000여개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있다. 일리노이주는 간식류 제조 생산 규모 기준으로 미국 내 5개 주에 포함되어 있다. 혁신적인 간식들로 건강한 미국 만들기 소비자 권리 강화에 맞춰 저칼로리 제품과 개별 포장 및 포장 전면에 열량 정보를 표시하겠다는 대기업 제과 기업들의 운동은 지난해에 이어 계속됐
인구의 고령화가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8년 65세 인구를 전체 인구에 14%를 넘어섰다. 베이비부머 세대(1955~1963년생)의 퇴직, 저출산 영향으로 2025년부터는 국민 5명 중 1명이 65세 이상(20%)인 초고령사회로 진입이 예상된다. 노령인구가 증가하며 식품업계에도 실버푸드 바람이 불고 있다. 농림축산식품부가 발간한 '고령친화식품 시장 분석 보고서'에 의하면 고령친화식품 시장 규모는 2015년 약 7,903억 원이다. 이는 2011년 대비 54.8% 증가한 수치다. 지금까지 실버푸드는 유동식이 대표적이었다. 유동식이란 묽게 만들어 소화가 쉽도록 돕는 음식으로 죽, 미음 등을 일컫는다. 하지만 평균수명이 늘어나고 인플란트 같은 의료기술 발달로 노년층도 충분히 일반적인 식사가 가능하다. 식품업계에서도 이를 고려해 질감, 영양뿐만 아니라 맛, 인테리어, 디자인 등을 보완해 실버세대를 잡으려 하고 있다. 앞서가는 일본 실버푸드 시장 일본은 100세 이상 인구가 6만 명이 넘는 장수 국가이다. 일찌감치 고령화시대로 접어들었다. 그만큼 노령인구의 소비력을 바탕으로 한 실버푸드 산업이 발달했다. 2003년부터 일본 농림수산성은
세계 최대 소상품 시장 中이우에서 개최된2019 중국 이우 수입상품박람회(2019 China Yiwu Imported Commodities Fair)가 성황리에 막을 내렸다. 전시 공간이 5만㎡인 올해 박람회에는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러시아, 한국, 일본, 말레이시아, 인도, 파키스탄, 호주, 탄자니아를 포함한 85개 국가 및 지역 업체들이 참가해 식음료, 가정용품, 산모 및 유아 관리 용품, 의류용 액세서리 등 10만여종의 다양한 생활필수품을 전시했다. 4일간 진행된 이번 행사에는 81개국과 중국 전역에서 온 전문 분야 바이어 4만8800명을 포함한 11만9600명이 방문해 참관자가 작년보다 48.41% 증가했다. 박람회의 핵심 행사로는 ‘수입상품 구매(이우) 서밋’이 마련되었다. 행사에서는 월마트, 까르푸, 롄화 슈퍼마켓(Lianhua Supermarket), HNA리테일링(HNA Retailing) 등을 포함한 주요 소매업체들이 참가해 현장에서 상품을 주문한다. 이번 이우 수입식품박람회에서는 경북도내 7개 기업이 참가해 수출상담 총 37건(15억8천만원), 현장판매·계약 1천300만원의 실적을 거뒀으며, 의성군 소재 2개사의 건강, 바이오
일본에서 이번 달 15일 새로운 형태의 에너지 드링크를 시중에 선보였다. 에너지 드링크 ‘Eagle Energy’는 세계 최초로 마신다는 상식을 깨고 흡입하는 형태로 만든 음료이다. 카페인 미스트 보충제인 ‘Eagle Energy’는 캐나다 기업이 개발했으며, 일본에선 총 대리점인 이글 에너지 재팬이 판매를 맡았다. 현재 신감각의 음료로 주목받으며 전 세계에서 총 1억 개 판매를 돌파했다. 음료의 패러다임 전환 지금까지 음료는 액체 형태이기 때문에 마셔서 섭취한다는 것이 상식이었다. 하지만 운동할 때나 직장에서 일상적으로 휴대하기에는 불편함이 있었다. 이에 2014년 캐나다 벤쿠버에 있는 ‘NEXT LEVEL ENERGY’사는 전자담배의 원리를 이용해 흡입형 에너지 드링크를 개발했다. 사용법은 케이스를 열고 파이프를 뚜껑을 제거한 다음흡입하면 끝 부분의LED 램프가 점등된다. 내부 히터가 카트리지의 액체를 가열하고 이를 통해 발생한 배합 증기를 흡입하는 방식이다. 액체 성분은 과라나 추출물(카페인), 고려인삼, 비타민 B12 등 식물에서 추출한 천연 성분만을 사용한다. 종류는 에너지드링크, 민트, 블루베리 3가지이다. 1개 카트리지로 흡입할 수
일본은 2020년 도쿄올림픽을 앞두고 가능한 모든 역량을 쏟아붓고 있다. 전 세계 방문객을 맞을 기대에 몇 년 전부터 새로운 상업 시설 건설이 활발히 진행 중이다. 2016년 4월 개장한 복합상업시설 ‘NEWoMan’은 JR 신주쿠역, 버스터미널과 바로 연결돼 있어 교통 편의성을 극대화했다. 특히 미국 서해안 라이프스타일을 재현해내며 일본 여성들 사이에서 꼭 가봐야 하는 신주쿠의 랜드마크로 떠올랐다. ‘NEWoMan’은 JR신주쿠역 남부에 위치한 약 170m의 빌딩 'JR 신주쿠 미라이나 타워' 안에 포함돼 있다. 매장 면적은 약 7600㎡. 점포 수는 약 100점이다. 매출은 200억 엔을 넘어섰다. 새로운 시대를 사는 모든 여성을 위해 'NEWoMan'이란 이름처럼 새로운 시대를 살고 있는 모든 여성을 위한 공간이라는 컨셉이다. 패션뿐만 아니라 라이프 스타일, 뷰티, 헬스, 푸드, 컬처 등 일본과 해외에서 인기를 끄는 브랜드를 모았다. 또한, 부인과 및 소아과를 포함한 클리닉, 약국, 보육원이 함께 있어 여성들의 라이프 스타일에 최적화시켰다. 1층에는 카페, 레스토랑이 있고 역과 연결된 통로에는 다양한 디저트, 베이커리 매장이 있다. 5층에는
경제 불황에 따라 소유, 공유하는 걸 넘어선 서브스크립션 이코노미(Subscription economy), '구독경제 시대'가 도래했다. 구독경제는 소비자가 매기간 일정 금액을 내면 정기적으로 물건을 배송받거나 서비스를 무제한 이용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과거 우유나 신문 등을 매일 배송받아 소비하던 방식에서 따온 말이다. 달라진 게 있다면 이제는 그 범위가 생필품부터 자동차까지 전 산업으로 번지고 있다는 것이다. 최근 일본에서는 외식시장을 중심으로 이 정액제 서비스를 도입한 매장이 이슈가 되며 증가하고 있다. 일종의 서브스크립션 서비스, 즉 매월 잡지나 신문을 구독하듯 소비자가 상품이나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으로 정기적으로 이용하는 서비스 모델로 볼 수 있다. 오피스가 밀집된 도쿄 니시신주쿠(西新宿)에 자리한 ‘커피마피아(Coffee mafia)’는 한 달에 3천 엔, 우리 돈 약 3만원이면 하루에 몇 잔을 마셔도 좋은 정액제 커피전문점이다. 저녁 7시가 되자 인근 샐러리맨들이 하나둘씩 빌딩숲 사이에 위치한 가게로 모여들었다. 매장 직원과 익숙하게 인사하며 회원카드를 내밀자 금세 즐겨마시는 커피가 제공됐다. 직원은 “정액제를 이용하는 손님들 대부분이 인근
‘2019 싱가포르 카페 아시아’가 지난 3월 21~23까지, 3일간 개최됐다. 올해로 7년째를 맞은 ‘2019 싱가포르 카페 아시아’는 싱가포르 대표 카페산업 전시회로 인식되며 주요 요식업 바이어들의 소싱허브로 자리매김했다. 이번 전시회는 작년과 동일하게 International Coffee & Tea Industry Expo 및 Sweets & Bakes Asia가 동시에 개최됐다. 아시아뿐만 아니라 미국, 유럽 등 세계 각국의 카페산업 흐름을 하나의 전시회에서 살펴볼 수 있었다. 올해는Restaurant Asia도 열려 음식점에서 사용될 주방기기 및 주방용품 등 전반적으로 외식업에 필요한 품목까지 선보였다. 다양한 무대행사 및 시식체험 기회 싱가포르 커피 협회에서 주최하는 바리스타 챔피언십, 라떼아트 챔피언십 등 각종 무대행사를가 진행돼 이를 통해 싱가포르 및 동남아 시장의 카페문화와 기술, 그리고 이에 대한 대중의 관심도를 가늠할 수 있었다. 또한, 전세계 각국의 커피 및 차를 한 자리에서 시식할 수 있으며 다양한 제품에 대한 선호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특히 올해는 처음으로 ASEAN* 커피협회(ACF, ASEAN Coffe
음식점에게 ‘메뉴 개발’은 경영의 핵심 부분이다. 늘 고객이 찾는 단골 메뉴도 중요하지만 트렌드한 메뉴가 함께 있어야 매장이 살아있다는 인상을 준다. 트렌드한 메뉴를 출시하면 매장 앞을 지나는 이들의 눈길을 한번이라도 더 잡을 수 있고 고객 유치로 연결도 쉽다. 2019년 일본 음식 트렌드를 이끌 5가지를 정리했다, 인스타바에(インスタ映え) 부르는 길게 늘어진 치즈 작년 일본에선 한국식 ‘핫도그’가 화제였다. 특히 튀김 옷 안에 치즈가 듬뿍 들어가 한입 먹으면 치즈가 길어 늘어지는 치즈 핫도그에 대한 반응이 뜨거웠다. 올해는 치즈와 치킨이 만났다. 젊은 층 사이에서 퐁듀처럼 찍어 먹는 빠네치킨의 인기가 급상승 중이다. 한국에서도 몇 년 전부터 생겨난 퐁듀치킨과 유사하다. 치킨을 빵 속에 담긴 치즈에 양껏 찍어서 먹으면 이색적인 풍미를 낸다. 치즈는 맛만큼 뛰어난 비주얼로 오랜 인기를 모은 식재료이다. 패밀리 레스토랑의 ‘치즈 햄버거’ 등 외형은 수수하나 칼로 썰으면 치즈가 넘쳐나는 모습은 사진을 찍기 제격이다. 자신의 경험을 공유하길 원하는 인스타바에족를 통한 SNS 집객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본격적인 맛을 밖에서 즐기는 ‘Portable Fo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