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食)의 진화, 미래 인간은 무엇을 먹을 것인가?

-미래 식량으로 떠오른 ‘곤충식’
-푸드테크의 정수 로봇쉐프

미래에는 알약 한알로 식사를 대신하게 될지도 모른다.

미국의 Rosa Labs의 ‘소이렌토’, 일본 기업 ‘COMP’는 인간에게 필요한 모든 영양소를 포함한 보충제를 개발 중에 있다. 앞으로 인류는 무엇을 먹고 살아갈 것인가?

 

 

다가 올 수있는 식량문제에 대체하고자 곤충식 주목받고 있으며 3D프린터, 인공지능의 발달로 로봇이 해주는 요리가 식탁 위에 올라오고 있다. 일본 규슈 지방에는 이미 세계 최초로 곤충식 자동판매기가 등장했다. 또한, 이미 세계 각국에선 기술 혁신으로 로봇 쉐프가 요리하는 신개념의 음식점이 등장하는 상황이다.

 

‘곤충식’ 미래 식량의 대안이 될까?

식문화에서 인간이 곤충을 먹은 역사는 굉장히 길다. 멀리는 과거 인류의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부터 가까이는 시골만 가도 메뚜기를 튀겨 먹었을 정도로 생각보다 곤충식은 우리 삶 속에 존재해왔다.

 

 

이러한 곤충식이 미래에 일어날 식량난, 지구 환경문제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다. WHO(세계보건기구)가 작년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약 74억 세계인구 중 8억 명 이상이 기아로 고통을 겪고 있다. 풍요의 시대지만 역설적으로 누군가는 굶주림에 시달리는 것이다.

 

UN 식량농업기구(FAO)에서는 곤충을 ‘작은 식량’이라 부르며 인류에게 닥칠 위기를 해결해 줄 식품으로 꼽았다. 식용 가능한 곤충은 돼지고기, 쇠고기보다 단백질량이 2배가 넘는 고단백질 식품이다.

 

 

200칼로리 기준으로 귀뛰라미는 단백질 31g, 지방 8.1g를 함유한다. 이는 소고기, 연어보다 단백질은 약 9g 정도 높고 지방은 3~5g 낮은 수치다. 또한, 가축에 비해 사육 과정에서 경제적 효용성 높다. 사육 공간, 사료, 매탄 가스 발생이 훨씬 적다.

 

곤충식의 필요성에 대한 반론도 있다. ‘성장의 한계’의 공동 저자 요르겐 랜더스는 식량 생산성의 증가로 2025년까지 인류에게 필요한 음식은 충분하다고 예측했다. 그 사이 유전자 편집 기술을 활용해 전 세계 인구가 먹을 만큼 충분해 육류나 어류 등 개체의 크기를 키우는 것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있다.

 

푸드테크의 정수, 로봇 쉐프

과학의 진보로 미래에는 요리사 없는 식당을 찾아볼 수 있다. 수만년간 불을 이용해 냄비를 가열해 조리하던 방식은 3D프린터의 등장으로 몇 년 사이 급격한 변화를 맞았다.

 

 

3D프린터와 단백질, 지방 등 영양소를 넣은 잉크 카트리지만 있다면 누구라도 요리를 할 수 있다. 사용자의 건강 상태, 기호 등 개인 데이터를 3D프린터와 결합해 각각 취향에 맞게 원하는 음식을 만들어낸다.

 

일본의 IT회사 오픈밀즈(Open Meals)사는 3D 프린터로 초밥을 만드는 음식점 ‘스시 싱귤래러티’를 2020년 도쿄에 오픈할 계획이다.

‘푸드베이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기술은 음식의 모양, 색상은 물론 맛, 영양, 질감 등의 정보를 저장해 ‘픽셀 푸드 프린터’가 하나하나 젤 형태의 큐브를 쌓아 초밥을 만든다.

 

 

영국의 몰리로보틱스사 로봇 쉐프를 개발해 올해부터 시판에 들어갔다. 앱을 켜고 원하는 메뉴를 선택한 다음 재료를 올려두면 두 로봇팔이 요리를 시작한다.

 

쉐프가 요리하는 모습을 녹화 후 분석해 이를 재현하는 방식으로 구현했다. 여러 개의 관절 있는 손, 촉각 센서, 정교한 제어시스템을 창작해 실제 사람 손처럼 움직인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카페, 베이커리 창업 트렌드를 한눈에! ‘2025 카페&베이커리페어 시즌2’ 개최
국내 대표 카페·베이커리 전문 전시회 ‘2025 카페&베이커리페어 시즌2’가 오는 11월 5일부터 8일까지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10홀)에서 개최된다. 올해 행사는 약 250개사, 400개 부스 규모로 마련되며, 커피·베이커리 산업을 비롯해 외식 및 프랜차이즈 분야까지 폭넓게 다루는 종합 비즈니스 전시로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프랜차이즈 특별관 with 마이프차’와 동시에 개최되어 예비 창업자와 전국 주요 유통 바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여 활발한 상담과 거래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2025 마이프차 프랜차이즈 페스타와 동시 개최되어 예비 창업자와 전국 주요 유통 바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여 활발한 상담과 거래를 이어갈 전망이다. 마이프차 프랜차이즈 페스타는 프랜차이즈 창업 플랫폼 마이프차가 주최하고, 박람회 전문 기업 미래전람이 주관한다. 예비 창업자는 물론 업종 전환이나 매출 개선을 모색하는 기존 창업자에게도 실질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카페&베이커리페어에서는 업계 전문가 세미나, 트렌드 강연, 커핑 세션, 1:1 바이어 매칭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되어, 참가 기업과 관람객 모두에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