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존 상식의 틀을 깨는 이색 매장과 신제품들을 쏟아지고 있다. 남들과 똑같은 것보다는 개성과 독특함을 추구하는 젊은 소비자들 사이에서 색다른 컨셉과 새로운 맛의 조합을 선사하는 음식들이 주목받는 것. 푸드 시장을 새로운 시각으로 재해석하고, 기회를 만들어가고 있다.
코로나 시기 화제된 일본의 이색카페가 대표적인 성공사례 중 하나다.
카페 테츠가쿠야(Tetugakuya)는 액자를 사이로 손님과 만난다. 코로나로 인해 식당, 카페에 칸막이가 설치되는 것을 보고 이를 역발상으로 이용해 큰 화제가 되었다.
고미술점풍의 매장 컨셉에 격자형 나무 액자 10개를 카운터석에 설치, 마치 액자 속에서 커피가 나오는 듯한 모습에 재미를 느낀 손님들이 트위터에 사진을 공유하면서 유명세를 탔다.
이처럼 대중의 선택을 받으려면 번득이는 ‘무언가’가 있어야 한다.
기존 형태와 구성에서 벗어나 소비자에게 독특하면서도 색다른 맛의 즐거움을 제공하는 족발집도 있다.
주인공은 바로 서울시 광진구 구의동에 위치한 ‘화통족발’. 족발 시장에 ‘화덕에 구워 낸 프리미엄 족발’로 입소문을 타고 있다.
‘천연화산석’으로 제작된 화덕에서 구워 나오는 족발로 화제가 된 곳으로 정성스레 삶은 족발을 천연화산석 화덕 속에 넣고 500℃의 강한 고온에 구워낸다. 원적외선 방사가 족발의 잡미를 잡고, 불향을 입힘과 동시에 겉은 바삭하고 속은 촉촉한 족발로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무엇보다 화덕구이 전문점으로 매콤함과 특유의 불 향을 그대로 느낄 수 있는 ‘화통불족발’, 화덕에 구운 ‘보쌈’, ‘쪽갈비’, ‘돈마호크’, 등 젊은 층이 선호하는 다양한 메뉴를 선보인다.
소, 닭고기 패티가 주류인 버거 시장과 밀가루 도우가 대부분인 피자시장에 '어묵 패티'와 '어묵도우'로 주목받고 있는 곳도 있다.
‘어묵버거 어묵피자’는 패티와 도우 모두 어묵을 재료로 만들어지고 있다.
2년여간의 연구개발과 1년간의 맛 검증 후 탄생된 메뉴들이다. 어묵 특유의 쫄깃함과 단백함은 신선한 양상추와 해쉬브라운, 모짜렐라치즈 및 소스와도 궁합이 잘 맞는다.
편견을 깬 ‘발상의 전환’
최근 농심은 짜파게티 브랜드의 한정판 신제품 ‘하얀 짜파게티 큰사발’을 출시한다고 밝혔다. 짜장 소스는 검은색이라는 상식을 깨고 연한 색의 소스로 짜파게티 고유의 맛을 구현한 제품이다.
연갈색의 춘장을 사용해 기존 짜파게티와 차별화된 비주얼을 구현했으며, 굴소스를 추가해 해물의 감칠맛을 한층 살린 것이 특징이다. 농심은 일부 중국요리점에서 하얀 짜장면이 이색 메뉴로 소비자들에게 인기를 얻고 있다는 점에 착안해 하얀 짜파게티 큰사발을 개발했다.
농심 하얀 짜파게티 큰사발은 오는 8일부터 전국 유통점에서 판매될 예정이다.
마라맛 버거도 등장했다.
롯데GRS의 버거 프랜차이즈 롯데리아는 최근 마라맛 소스를 버거에 접목한 신제품 ‘마라로드’ 버거 3종을 선보였다.
한정판으로 출시된 마라로드 버거는 MZ세대 젊은 층에게 인기있는 마라 트렌드를 반영해, 중독성 있는 마라맛 버거로 재해석한 제품이다.
마라로드 버거는 고객이 취향대로 선택해 먹을 수 있도록 치킨·비프·새우 등 세 가지 종류로 출시해 고객의 선택지를 넓혔으며, 각각의 패티와 강렬한 마라 소스의 조합에 따라 다른 매력을 자랑해 골라 먹는 재미까지 더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