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식여행] 세계 곳곳의 스타 셰프 팝업, 4월의 World Trend-1

 

세계 곳곳의 스타 셰프 팝업

WORLD 전 세계

 

세계 최고로 꼽히는 레스토랑들이 예기치 않은 지역에서 출현하고 있다. 스타 셰프들의 팝업이 유행처럼 번지고 있는 것.

 

온라인 푸드 매거진 「파인 다이닝 러버스」는 “팝업은 낯선 식재료가 가득한 환경에서 요리사들이 창의력을 발현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고 밝히며 올 상반기 예정된 스타 셰프들의 팝업들을 소개했다.

 

 

대표적으로 5월 20일까지 일본 교토에서 열리는 <노마> 팝업이 있다. 좌석은 매진됐지만, 노마 뉴스레터를 통해 취소 공석을 확인할 수 있다. 영국 미쉐린 3스타 셰프 사이먼 로건은 7월 19일부터 8월 20일까지 호주 시드니에서 팝업을 연다. 런던 <랑클륌>의 시그너처 요리뿐 아니라 굴, 캐비어 등 현지 재료에 기반한 새로운 8코스를 선보일 예정이다.

 

이밖에도 슬로베니아 카르스트 산골 마을에서 야생 식재료로 전통 퀴진을 선보이는 아나 로즈 셰프는 수도 류블랴나에서 4월까지 팝업을 운영 중이며, 프랑스 망통의 3스타 <미라쥐르>의 마우로 콜라그레코 셰프는 4월 9일까지 시드니 <갠트리 GANTRY >에서 현지 재료를 이용한 창의적인 요리를 선보이고 있다.


호텔이 된 16세기 궁전

이탈리아, 로마 

 

글로벌 호텔 그룹 식스센스가 이탈리아 로마에서 16세기에 지어진 궁전 ‘팔라초 살비아티 체시 멜리니’를 럭셔리 호텔로 탈바꿈했다.

 

지난 3월 16일 개장한 ‘식스센스 로마’는 이 그룹이 유럽에 선보이는 최초의 도시형 호텔로, 6백 년 세월의 정문 기둥, 트래버틴 석재로 만든 대리석 계단, 4세기에 지어진 공중목욕탕 등 기존 건물에 있던 요소들을 복원해 고풍스러움을 살렸다.

 

이뿐만 아니라 옥상에 유기농 정원을 마련하고, 객실에는 유기농 매트리스를 설치하는 등 지속가능성에도 초점을 맞췄다. 1층에 위치한 레스토랑 <비븀 BIVIUM > 또한 현지 농부에게 조달받은 제철 채소를 활용해 5코스의 식물성 테이스팅 메뉴를 소개한다.


새롭게 태어난 라이브 칵테일 바

영국, 런던 

 

지난 2018년, 30년 만에 문을 닫았던 런던의 유명 라이브 음악 공연장 ‘로드하우스 ROADHOUSE ’

 

자리에 새로운 라이브 칵테일 바가 들어섰다. 지난 2월 글로벌 호스피탤러티 그룹 익스페리멘털 그룹이 오픈한 <스테레오 코번트 가든>이 그주인공.

 

은밀하게 설치된 이중문을 열고 계단을 내려가면 중앙 무대를 중심으로 다이닝 공간과 바가 마련된 5백여 명 규모의 지하 공간이 펼쳐진다.

20세기 뉴욕을 테마로 꾸며진 이곳에선 재즈부터 디제잉, 펑크 등 다채로운 장르의 라이브 공연이 펼쳐진다. 공연을 보다 출출해지면 테킬라와 고추, 치폴레 등을 혼합한 시그너처 칵테일 ‘캘리포니케이션’ 등 다채로운 주류와 함께 치즈버거, 핫윙, 랍스터 파이 등 클래식한 아메리칸 메뉴를 즐길 수 있다.


미쉐린 프랑스의 새로운 변화

프랑스 전역

 

지난 3월 6일 발표된「 미쉐린 가이드 프랑스 2023」이 프랑스 유명 레스토랑 순위에 새로운 타격을 가했다. 총 25개의 레스토랑이 별을 잃은 것.

 

대표적으로 2002년 첫 등재 이후 20년간 별 3개를 유지해온 파리의 <기 사부아 GUY SAVOY >와 프랑스 남서부 해안가 도시 라 로셸의 3스타 해산물 전문 레스토랑 <크리스토페 쿠탕소>가 별 2개로 강등됐다.

 

미쉐린 측은 “그간 팬데믹으로 어려움을 겪어온 외식 업계를 위해 2019년 이후 별 강등을 중단했었지만 올해부터 이를 재검토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편, 새롭게 별을 얻은 레스토랑은 44곳이었는데, 이 중 37곳이 파리 외곽 지역에 위치해 눈길을 끌었다.

 


4월의 World Trend-2편으로 이어집니다.

 

  •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전북자치도 미래 식품 패러다임 전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본격 육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초고령화와 개인 건강관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 육성에 착수했다. ‘맞춤형 케어푸드’는 단순한 기능성 식품을 넘어, 개인의 유전정보·건강상태·식습관을 종합 분석해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을 의미한다. '맞춤형 케어푸드' 신산업 육성 통해 미래 먹거리 창출 1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국내 케어푸드 시장은 2022년 약 5천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15.3% 성장했으며, 연평균 8%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도 2023년 236억 달러에서 2028년 36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식품분야 미래 먹거리 창출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수명 연장,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R&D 강화’를 통한 미래농산업 전환’이라는 대통령 공약과도 맞물려 있으며, 관련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국가적 목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D·기업지원·지역연계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낮에는 예술, 밤에는 낭만 … 8월의 진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진주시는 역사·예술·미식이 어우러진 8월 이색 관광콘텐츠를 준비해 전국에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초대한다. 진주시가 준비한 이색 관광콘텐츠는 빛으로 물든 진주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와 무더위를 피해 아이들과 시원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실내 관광지를 포함한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을 엄선한 것.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은 관광객들이 물과 빛이 흐르는 아름다운5 도시, 진주만의 매력을 느끼면서 황홀경에 빠지고, 낭만적인 여름밤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여름 가장 빛나는 진주성의 밤,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은 다양한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진주성에 적용해 문화유산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공모사업으로, 진주시는 전국 8개의 미디어아트 사업 수행 지자체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올해는 ‘법고창신,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오는 9월 7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펼쳐진다. ▲공북문의 융복합 미디어 파사드 ▲영남포정사의 소리와 빛으로 교감하는 인터랙티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