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라이프] 전통과 유산...그리고 혁신, ‘위도우제인 증류소’

 

신생 버번위스키 증류소는 시장에서 넘어야 할 벽이 높다.

위스키의 원산지에 대한 선입견과 증명되지 않은 기술력 때문에 위스키 품질에 대한 의심이 있고 버번 술꾼들에게는 이미 좋아하고 즐겨먹는 브랜드와 버번 스타일이 있기 때문이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위스키처럼 유명한 버번위스키 브랜드들도 자사가 가진 위스키의 역사, 유명인, 명소들을 언급한다. 그러나 신생 증류소는 이런 브랜드 유산이 없고 빈스 올슨(Vince Olsen)과 다니엘 프레스턴(Daniel Preston)은 2012년 미국 뉴욕시에 위도우제인 증류소를 설립했을 때 이런 높은 벽을 잘 알고 있었다.

 

위도우제인 증류소는 뉴욕시에서 새로운 증류 전통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1920년에 시작한 금주령으로 인해 사라져 버린 도심 증류소 문화를 복구하려고 했다. 현재 뉴욕시는 세계의 “금융 수도”로 인정받고 있지만 100년 전 뉴욕은 제조업으로 유명하였다.

 

19세기 말 뉴욕 일꾼들은 자기 동네에서 증류한 위스키와 진으로 고단 뉴욕 일꾼들은 자기 동네에서 증류한 위스키와 진으로 고단했던 하루 노동의 피곤을 가볍게 떨쳐 냈는데 위도우제인은 이 문화를 브루클린에서 다시 만들어가고 있다.

 

 

위도우제인은 혁신 역시 추구하고 있다. 설립 10년 후인 지금, 위도우제인 증류소는 뉴욕주에서 재배된 “왑시밸리”(Wapsie Valley)와 “블러디부처”(Bloody Butcher) 옥수수로 버번 원액을 증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마시는 위도우제인 10년 숙성 블랜디드 버번은 버번의 전통과 제조 기술력이 뛰어난 켄터키, 인디아나, 테네시에서 증류한 스피릿을 가지고 와서 뉴욕에서 숙성, 블랜딩, 병입을 하고 있다.

 

숙성과정만 뉴욕에서 한다고 “뉴욕” 위스키라 하기는 애매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위도우제인 버번을 마실 때 뉴욕의 유산도 같이 마시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위도우제인 버번을 블랜딩하고 병입할 때 알코올 도수를 45.5%에 맞추는데, 이를 위해 뉴욕 주 로젠데일 마을에 위치한 시멘트 폐광에 고여 있는 물을 사용한다.

 

그 폐광의 이름은 “위도우제인 광산”으로 로젠데일 지역에서 생산한 “로젠데일 시멘트”는 브루클린 다리, 워싱턴 기념비, 자유의 여신상 등 미국의 유명한 유산을 건축할 때 사용돼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깊다. 물론 역사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켄터키의 라임스톤(Limestone, 석회암 물)과 비슷하게 위스키의 식감을 비단처럼 부드럽게 해주고 토닉워터의 광물성 뉘앙스도 제공한다.

 

 

그럼 위도우제인 10년 숙성 블렌디드 버번의 맛 보증을 전통과 유산, 혁신으로 해야 할까? 꼭 증류소의 설립 배경을 알아야만 위스키를 즐길 수 있을까? 이 역사와 스토리를 이제 알기 때문에 여러분은 꼭 위도우제인 버번을 마셔야 하는가? 아니다. 이 모든 것을 몰라도 즐겨 마실 수 있다. 왜냐? 위도우제인은 맛이 있으니까.

 

*한국버번위스키클럽은 천천히, 오래오래, 책임감 있게 술을 즐기는 것을 권장한다.

 

 

위스키 소믈리에(Whisk[e]y Sommelier), 익제큐티브 버번 스튜어드(Executive Bourbon Steward)이자 한국버번위스키클럽 호스트 “대법원장” 마크 패턴(Mark E. Patton)은 낮에는 조직 개발 컨설턴트, 매니저 코치 및 인재 개발을 담당하는 신중한 관리자 대표이며 대한민국에서 27년 동안 활동하고 있다.

 

 

  •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전북자치도 미래 식품 패러다임 전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본격 육성
전북특별자치도가 초고령화와 개인 건강관리 수요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 마이크로바이옴을 활용한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 육성에 착수했다. ‘맞춤형 케어푸드’는 단순한 기능성 식품을 넘어, 개인의 유전정보·건강상태·식습관을 종합 분석해 맞춤 솔루션을 제공하는 고부가가치 식품을 의미한다. '맞춤형 케어푸드' 신산업 육성 통해 미래 먹거리 창출 14일 전북자치도에 따르면 국내 케어푸드 시장은 2022년 약 5천억원 규모로 전년 대비 15.3% 성장했으며, 연평균 8% 이상의 증가세를 기록하고 있다. 글로벌 시장도 2023년 236억 달러에서 2028년 36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고령화, 만성질환 증가 등으로 사회적 부담이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전북도는 과학적 근거 기반의 맞춤형 케어푸드 산업을 육성함으로써 식품분야 미래 먹거리 창출 뿐만 아니라, 국민 건강수명 연장, 사회경제적 부담 완화를 동시에 달성한다는 전략이다. 이번 계획은 ‘푸드테크, 그린바이오 산업 육성, R&D 강화’를 통한 미래농산업 전환’이라는 대통령 공약과도 맞물려 있으며, 관련 산업을 세계적 수준으로 육성한다는 국가적 목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R&D·기업지원·지역연계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낮에는 예술, 밤에는 낭만 … 8월의 진주로 떠나는 특별한 여행
진주시는 역사·예술·미식이 어우러진 8월 이색 관광콘텐츠를 준비해 전국에 있는 가족단위 관광객을 초대한다. 진주시가 준비한 이색 관광콘텐츠는 빛으로 물든 진주의 여름밤을 즐길 수 있는 다채로운 행사와 무더위를 피해 아이들과 시원하고 유익하게 보낼 수 있는 실내 관광지를 포함한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을 엄선한 것. ‘8월에 꼭 가봐야 하는 진주 여행 8선’은 관광객들이 물과 빛이 흐르는 아름다운5 도시, 진주만의 매력을 느끼면서 황홀경에 빠지고, 낭만적인 여름밤을 즐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올여름 가장 빛나는 진주성의 밤,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 ‘2025 국가유산 미디어아트 진주성’은 다양한 첨단 융합기술을 활용한 미디어아트 콘텐츠를 진주성에 적용해 문화유산 가치를 쉽고 흥미롭게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이 사업은 국가유산청 공모사업으로, 진주시는 전국 8개의 미디어아트 사업 수행 지자체 중 유일하게 2년 연속 공모에 선정되는 쾌거를 달성했다. 올해는 ‘법고창신, 진주성도’라는 주제로 오는 9월 7일까지 진주성 일원에서 펼쳐진다. ▲공북문의 융복합 미디어 파사드 ▲영남포정사의 소리와 빛으로 교감하는 인터랙티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메뉴개발·전수]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일본 ‘돈카츠’ 현지기술을 전수 받을 수 있는 전수창업 교육이 오는 8월 25일(월)에 진행된다. 두툼한 고기 두께의 ‘돈카츠’는 남녀노소 구분없이 수요층이 넒은 메뉴다. 등심 부위를 이용한 ‘로스카츠’, 안심 부위의 ‘히레카츠’, 돼지고기 사이에 치즈를 넣은 ‘치즈카츠’는 이제 남녀노소 모두 즐겨 찾는 대중적인 요리가 되었다. 주재료인 돼지 안심과 등심 부위는 비교적 가격이 저렴해 높은 마진을 기대할 수 있고 우동, 소바 등 면류와 잘 어울려 객단가를 높이는 데도 유용하다. 또한, 우동, 소바 등 다양한 메뉴와 구성을 할 수 있고 홀, 배달, 테이크아웃 등 다양한 방식으로 운영이 가능하다. 일본서 15년 조리비법, 일식 ‘돈카츠’ 핵심기술 전수 이번 돈카츠 전수교육은 일본 도쿄에서 돈카츠전문점을 운영한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이 교육을 진행한다. 알지엠푸드아카데미 ‘김종우 원장’은 유명 외식브랜드 메뉴컨설팅, 30년간 국내뿐 아니라 일본, 중국, 동남아 등 대형호텔의 총주방장으로 근무, 레시피 개발 및 상품화에 정통한 전문가다. 고기 손질 등 기초 과정부터 ▲돼지고기의 등심, 안심 손질 및 숙성방법, ▲시즈닝부터 빵가루의 종류 및 용도에 따른 사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