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드&라이프] 전통과 유산...그리고 혁신, ‘위도우제인 증류소’

 

신생 버번위스키 증류소는 시장에서 넘어야 할 벽이 높다.

위스키의 원산지에 대한 선입견과 증명되지 않은 기술력 때문에 위스키 품질에 대한 의심이 있고 버번 술꾼들에게는 이미 좋아하고 즐겨먹는 브랜드와 버번 스타일이 있기 때문이다.

 

스코틀랜드와 아일랜드 위스키처럼 유명한 버번위스키 브랜드들도 자사가 가진 위스키의 역사, 유명인, 명소들을 언급한다. 그러나 신생 증류소는 이런 브랜드 유산이 없고 빈스 올슨(Vince Olsen)과 다니엘 프레스턴(Daniel Preston)은 2012년 미국 뉴욕시에 위도우제인 증류소를 설립했을 때 이런 높은 벽을 잘 알고 있었다.

 

위도우제인 증류소는 뉴욕시에서 새로운 증류 전통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1920년에 시작한 금주령으로 인해 사라져 버린 도심 증류소 문화를 복구하려고 했다. 현재 뉴욕시는 세계의 “금융 수도”로 인정받고 있지만 100년 전 뉴욕은 제조업으로 유명하였다.

 

19세기 말 뉴욕 일꾼들은 자기 동네에서 증류한 위스키와 진으로 고단 뉴욕 일꾼들은 자기 동네에서 증류한 위스키와 진으로 고단했던 하루 노동의 피곤을 가볍게 떨쳐 냈는데 위도우제인은 이 문화를 브루클린에서 다시 만들어가고 있다.

 

 

위도우제인은 혁신 역시 추구하고 있다. 설립 10년 후인 지금, 위도우제인 증류소는 뉴욕주에서 재배된 “왑시밸리”(Wapsie Valley)와 “블러디부처”(Bloody Butcher) 옥수수로 버번 원액을 증류하고 있다.

그러나 우리가 지금 마시는 위도우제인 10년 숙성 블랜디드 버번은 버번의 전통과 제조 기술력이 뛰어난 켄터키, 인디아나, 테네시에서 증류한 스피릿을 가지고 와서 뉴욕에서 숙성, 블랜딩, 병입을 하고 있다.

 

숙성과정만 뉴욕에서 한다고 “뉴욕” 위스키라 하기는 애매 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는 위도우제인 버번을 마실 때 뉴욕의 유산도 같이 마시고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위도우제인 버번을 블랜딩하고 병입할 때 알코올 도수를 45.5%에 맞추는데, 이를 위해 뉴욕 주 로젠데일 마을에 위치한 시멘트 폐광에 고여 있는 물을 사용한다.

 

그 폐광의 이름은 “위도우제인 광산”으로 로젠데일 지역에서 생산한 “로젠데일 시멘트”는 브루클린 다리, 워싱턴 기념비, 자유의 여신상 등 미국의 유명한 유산을 건축할 때 사용돼 역사적으로도 의미가 깊다. 물론 역사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켄터키의 라임스톤(Limestone, 석회암 물)과 비슷하게 위스키의 식감을 비단처럼 부드럽게 해주고 토닉워터의 광물성 뉘앙스도 제공한다.

 

 

그럼 위도우제인 10년 숙성 블렌디드 버번의 맛 보증을 전통과 유산, 혁신으로 해야 할까? 꼭 증류소의 설립 배경을 알아야만 위스키를 즐길 수 있을까? 이 역사와 스토리를 이제 알기 때문에 여러분은 꼭 위도우제인 버번을 마셔야 하는가? 아니다. 이 모든 것을 몰라도 즐겨 마실 수 있다. 왜냐? 위도우제인은 맛이 있으니까.

 

*한국버번위스키클럽은 천천히, 오래오래, 책임감 있게 술을 즐기는 것을 권장한다.

 

 

위스키 소믈리에(Whisk[e]y Sommelier), 익제큐티브 버번 스튜어드(Executive Bourbon Steward)이자 한국버번위스키클럽 호스트 “대법원장” 마크 패턴(Mark E. Patton)은 낮에는 조직 개발 컨설턴트, 매니저 코치 및 인재 개발을 담당하는 신중한 관리자 대표이며 대한민국에서 27년 동안 활동하고 있다.

 

 

  • 본 콘텐츠는 레스토랑, 음식, 여행 소식을 전하는 라이프스타일 매거진 '바앤다이닝'과 식품외식경영이 제휴해 업로드 되는 콘텐츠입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김장의 본고장' 괴산서 전국의 손맛 자웅 겨룬다...김장 경연대회 첫선
확연한 일교차에 김장의 계절이 다가오면서 충북 괴산군이 또 한 번 전국의 이목을 끈다. 괴산군은 오는 11월 열리는 2025 괴산김장축제의 성공 개최를 기원하며, 전국 단위 김장 경연대회인 ‘대한민국 김장 경연대회’를 개최한다. 괴산축제위원회가 주최하는 이번 대회는 올해 충청북도 최우수축제인 괴산김장축제가 향후 문화관광축제로 선정됨을 목표로 하며 김장의 전통과 문화를 계승·발전시키기 위해 마련됐다. 이번 대회에는 괴산의 대표 농산물인 절임 배추와 청결고춧가루를 주재료로 삼는다. 김치를 주제로 한 대회는 많지만, 절임 배추를 중심에 둔 전국 단위 김장 경연대회는 이 대회가 유일하다. 괴산군은 이미 ‘김장=괴산’이라는 이미지를 오랜 시간 지켜왔다. 2013년 대한민국 김장문화가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되기 훨씬 전인 1996년 전국 최초로 상품화한 ‘괴산 절임배추’는 유통망을 넓히며 명성을 얻었다. 절임배추와 함께 김장에 필수적인 청결고추는 이제 괴산을 대표하는 브랜드 농산물로 자리 잡았다. 올해로 7회째를 맞는 괴산김장축제는 단순한 먹거리 행사를 넘어 문화와 체험, 경연이 어우러진 종합축제로 도약한다. 특히, 첫선을 보이는 ‘대한민국 김장 경연대회’는 지역과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경기도일자리재단,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신규 기업 모집
경기도일자리재단은 오는 10월 20일부터 창업자와 예비 창업자를 대상으로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 신규 기업을 모집한다. ‘1인 창조기업 지원센터’는 중소벤처기업부와 경기도가 함께 조성한 창업지원 공간이다. 창업자에게 사무공간과 전문적인 지원을 제공해 경기도 내 창업 생태계를 활성화하기 위해 마련됐다. 특히, 재단에 따르면 매년 진행되는 전국 단위 평가에서 3년 연속 A등급을 획득하며 사업의 우수성을 인정받았다고 전했다. 선정된 기업은 수원시에 위치한 경기도일자리재단 내 공용 사무공간과 사무기기를 무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창업 교육, 전문가 자문 등 다양한 지원을 받을 수 있으며, 사업화 지원 프로그램인 ‘선택형 사업’에도 참여할 수 있다. ‘선택형 사업’은 ▲지식재산권 출원 ▲홍보마케팅 ▲인증 획득 ▲시제품 제작 등 기업의 단계별 성장에 맞춘 지원을 제공한다. 신청은 10월 20일부터 10월 23일 오후 4시까지 가능하다. 신청 대상은 공고일(9월 2일) 기준 경기도에 주소를 둔 1인 창조기업 예비 창업자 또는 창업 7년 이내의 경기도 내 주 사무소를 둔 창업자다. 재단은 이번 모집을 통해 창업자들이 안정적인 환경에서 창업 활동에 전념할 수 있을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