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킨값 2만원 시대, ‘편의점 치킨’ 인기

 

 

가성비로 무장한 ‘편의점 치킨’이 떠오르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편의점 CU는 해마다 점포에서 판매되는 프라이드치킨 매출이 증가세다.

2016년 전년 동기 대비 7.1% 성장했으나 2017년에는 14.3%, 2018년에는 16.5%로 증가폭이 커지고 있다.

 

특히 2018년 닭고기 가격 상승과 배달비 등으로 프랜차이즈 업체의 치킨값이 2만원 상당으로 오르면서, 올해 1∼2월의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26.1%나 뛴 것으로 조사됐다.

 

 

편의점 GS25도 조각 치킨을 포함, 매장에서 직접 만들어 판매하는 간식류 매출이 2017년에는 전년 동기 대비 59.6% 성장했고, 2018년에는 24.4% 증가하는 등 꾸준히 느는 추세다.

특히 이달 6일까지 두 달여간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23.6%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1코노미', 라이프스타일의 변화도 한 몫해

편의점 치킨의 인기는 가성비 요소도 있지만, 무엇보다 1인 가구 증가와 주 52시간 근무제 도입으로 혼술·홈(home)술 문화의 확산이 주 원인으로 꼽힌다.

 

 

현재 편의점 치킨의 가격은 조각 하나당 1천원대,  한 마리당 1만원 미만 정도다.

또 혼자 즐기기에 부담없는 조각형 제품도 있어 한 마디를 한꺼번에 다 먹지 못하는 1인 가구가 부담스럽지 않은 양이다.

 

업계 관계자는 “경기 침체로 주머니 사정이 좀처럼 좋지 않은 소비자에게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가심비’ 높은 편의점 치킨이 인기를 끄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업계도 상품 다양화에 나선다. CU는 기본 프라이드치킨 외에도 어디서나 편하게 먹을 수 있는 꼬치 타입을 개발하는 등 상품 종류를 늘리고 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외식오늘] 맛·전통 잡은 세종맛집으로!
‘세종 뿌리깊은가게’는 세종시의 역사와 매력이 담긴 곳이다.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켜온 음식점, 상점, 그리고 장인의 솜씨가 빛나는 작은 공방들이 그 대상이다. 매년 엄선된 가게가 이 타이틀을 얻는다. 선정 과정에서는 가게의 역사와 고유한 가치를 꼼꼼히 살피고 있다. 선정된 가게들은 다양한 혜택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세종의 골목 구석구석에 숨어있던 보석 같은 가게들 중 세종의 맛을 담은 세종 뿌리깊은가게를 소개한다. 45년간 조치원 전통 치킨 파닭의 명맥을 이어온 ‘신흥파닭’ 1978년 조치원 신흥리에서 창업했다. 이곳은 염지 하지않은 생닭을 활용해 육질이 부드럽고 치킨 위에 생파를 올리는 이 지역의 전통적인 조리법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2015년에는 상호명을 기존 신흥닭집에서 신흥파닭으로 변경하고 사업장을 신축·이전했다. 방문 고객이 홀이 없어 파닭을 길거리나 차 안에서 먹는 것을 보고 신축·이전하며 고객들이 편안하게 파닭을 즐길 수 있도록 깨끗한 홀을 마련했다. 조리 공간은 도로 쪽으로 개방해 조리 모습을 고객들이 지켜볼 수 있게 했다. 이는 맛은 물론 청결에 대한 손님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45년의 역사 동안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외식오늘] 맛·전통 잡은 세종맛집으로!
‘세종 뿌리깊은가게’는 세종시의 역사와 매력이 담긴 곳이다. 오랜 세월 한자리를 지켜온 음식점, 상점, 그리고 장인의 솜씨가 빛나는 작은 공방들이 그 대상이다. 매년 엄선된 가게가 이 타이틀을 얻는다. 선정 과정에서는 가게의 역사와 고유한 가치를 꼼꼼히 살피고 있다. 선정된 가게들은 다양한 혜택을 받아 더욱 발전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세종의 골목 구석구석에 숨어있던 보석 같은 가게들 중 세종의 맛을 담은 세종 뿌리깊은가게를 소개한다. 45년간 조치원 전통 치킨 파닭의 명맥을 이어온 ‘신흥파닭’ 1978년 조치원 신흥리에서 창업했다. 이곳은 염지 하지않은 생닭을 활용해 육질이 부드럽고 치킨 위에 생파를 올리는 이 지역의 전통적인 조리법을 현재까지 유지하고 있다. 2015년에는 상호명을 기존 신흥닭집에서 신흥파닭으로 변경하고 사업장을 신축·이전했다. 방문 고객이 홀이 없어 파닭을 길거리나 차 안에서 먹는 것을 보고 신축·이전하며 고객들이 편안하게 파닭을 즐길 수 있도록 깨끗한 홀을 마련했다. 조리 공간은 도로 쪽으로 개방해 조리 모습을 고객들이 지켜볼 수 있게 했다. 이는 맛은 물론 청결에 대한 손님들의 신뢰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45년의 역사 동안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