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석 리포트] 포스트 코로나19 시대 소비 지형 변화 발표

소비의 리모델링, 전 세계 소비자의 73%가 소비 품목과 패턴의 변화 경험

글로벌 통합 정보 분석 기업 닐슨IQ 코리아가 포스트 코로나19 시대의 소비 지형 변화에 대해 발표했다.

 

전 세계 소비자를 대상으로 한 닐슨IQ 조사 및 국내 소매 유통 판매 데이터 분석을 기반으로 소비자와 소비 행태부터 소비 품목과 환경 변화에 이르기까지 소비 지형을 아우르는 동향이 제시됐다.

 

 

소비의 리모델링, 전 세계 소비자의 73%가 소비 품목과 패턴의 변화 경험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실업률이 증가한 가운데 소비의 리모델링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닐슨IQ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소비자의 46%가 코로나19로 인해 임금·재정 등의 영향을 새로이 받았다고 답했으며, 73%의 소비자는 가격에 민감하게 변해 코로나19 이후 소비 품목과 패턴의 변화를 경험했다고 응답했다.

 

특히 고용 불안과 위축된 소득에 따른 강제적인 소비 변화로 인해 경제적 여파가 크거나 미래 고용불안이 큰 소비자 세그먼트에서는 32%의 소비자가 기존에 구매하던 브랜드에서 새로운 브랜드로 전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슬세권’의 재발견, 조합마트·개인 대형슈퍼·편의점 등 근린 채널의 성장 주목

닐슨IQ 조사에 따르면 코로나19로 인해 소비가 대도시 밀집 지역에서 비밀집 지역으로 옮겨갔으며 국내에서도 예외는 없었다.

 

 

2020년 하반기에도 ‘슬세권’의 성장이 지속하며 조합마트 판매가 전년동기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11.4%)을 기록했고, 개인 대형슈퍼(5.3%)와 편의점(4.9%) 판매가 그 뒤를 이었다. 특히 당장 구매가 필요한 품목일수록 동네에 있는 개인 대형슈퍼에서 판매가 확대된 것으로 나타났다.

 

퍼스널 케어 품목이 전년 대비 가장 높은 성장률(13.8%)을 기록했고, 가정용품(13.6%), 신선군(13.1%), 편의가공군(13.1%), 조미군(10.0%) 순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2019년 대비 2020년, 닐슨IQ 소매 유통 데이터). 또한 전통의 틀을 벗어나 기존의 특색을 살리되 새로운 쇼핑 편의와 경험을 제공하는 전통시장의 성장도 눈여겨볼 만했다.

 

식습관의 다양화, 간편한 요리제품과 아침 식사 제품 및 건강 관련 식품의 성장 나타나

코로나19가 장기화하며 국내 소비자들의 식습관 역시 다양해졌다.

내식 재료 카테고리별 판매액 성장률을 살펴보면 2020년 하반기 기준 전년동기 대비 조미군(6.4%), 장류(4.6%), 소재군(4.0%) 순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는데 조미군 중에서도 간편함을 앞세운 티백 형태의 제품이 가장 크게 성장(36.5%)했으며 액상(16.7%)과 분말(6.1%) 형태가 그 뒤를 이었다(2019년 하반기 대비 2020년 하반기, 닐슨IQ 소매 유통 데이터).

 

재택근무 등으로 인해 집에 머무는 시간이 많이 증가하며 간편하고 저렴한 아침 식사용 제품의 성장도 돋보였다.

 

특히 시리얼 품목은 127% 성장률을 기록했으며 곡물 음료(56%), 즉석 수프(30%), 드레싱(24%), 요거트(16%) 품목 또한 높은 성장률을 기록했다(닐슨IQ Consumer Panel Service, 2020년 6월로 끝나는 최근 1년 기준).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며 코로나19로 크게 성장한 간편식 시장 또한 재편을 겪었다.

 

 

카테고리별 최근 1년 성장률을 살펴보면 착즙 주스(171%)가 가장 큰 폭으로 성장했으며 칼슘 우유(99.8%), 무가당 요거트(54.5%) 등이 높은 성장률을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닐슨IQ 소매 유통 데이터, 2021년 2월로 끝나는 최근 1년 기준).

 

‘젊은 시니어’ 소비자의 부상, 소비계층 간 젠더 경계도 허물어져

한국의 가파른 고령화 상승세와 더불어 50대와 60대의 연령대별 연간 구매액은 지난해 각각 전년 대비 19.1%와 24.9% 성장률을 기록하며 ‘젊은 시니어’ 소비자의 부상을 나타냈다(닐슨IQ Consumer Panel Service 기준).

 

 

특히 코로나19 이후 온라인 시장 내 50~60대의 활동이 증가하며 2018년 전체 구매액의 5.8%를 차지하던 50대 이상 소비자의 비중은 2020년 8.4%로 성장했다. 2020년 기준 50대 이상 소비자의 평균 1회 구매액 또한 전 연령대 중 가장 높은 2만9330원을 기록했다.

 

50대 이상 소비자는 패션잡화·화장품 카테고리, 키덜트·피규어 카테고리에도 높은 구매력을 보이면서 자신을 꾸미고 삶을 즐기는 욜드(YOLD, Young and Old)족의 면모를 보여줬다.

 

나아가 소비계층 간 젠더 경계도 허물어지며 2020년 기준 전체 기초 화장품 구매액 중 남성 소비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전년 대비 2.7%p 성장한 29.2%를 기록했고, 색조 화장품 구매액 비중 또한 전년 대비 2.4%p 성장한 15.4%를 기록했다.

남성 의류를 구매하는 여성의 비중은 2020년 1분기 34.6%에서 분기마다 꾸준히 성장해 2020년 4분기에는 44.2%를 기록했다(닐슨IQ Ecom 및 Key Account Data 기준).

 

닐슨IQ 코리아 소매유통사업부 원영준 상무는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포스트 코로나 시대 소비 지형 전반에 많은 변화가 일어났으며, 소비계층과 습관 및 품목 변화를 앞으로도 예의 주시할 필요가 있다”며 “환경이나 사회를 고려하는 생산 및 유통 과정, 여행에 대한 욕구, 메타버스 시대의 도래 등 소비패턴과 소비자 라이프스타일에 거듭 변화를 주는 외부성 요소 또한 파악해 장·단기적 대응 전략을 마련하는 것이 필수”라고 밝혔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식품오늘] 삼성웰스토리, 삼양식품과 손잡고 맵덕 고객 입맛 저격
삼성웰스토리가 삼양식품과의 협업을 꾀하고 매운맛을 강조한 신메뉴를 제공하는 ‘맵덕RUN’ 프로모션을 이달 내내 200여개 급식 사업장에서 전개한다. 최근 MZ세대를 중심으로 매운맛에 대한 인기가 꾸준히 이어지고 해외에서도 한국을 대표하는 맛으로 자리잡으면서 구내식당에서도 매운맛 메뉴를 찾는 맵덕(매운맛덕후) 고객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에 삼성웰스토리는 K-매운맛을 대표하는 삼양식품의 다양한 불닭과 탱글 제품을 활용한 11종의 신메뉴를 개발해 다채로운 미식 경험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맵덕RUN' 프로모션은 가을을 맞아 매운맛 고수가 되기 위한 단계별 챌린지가 이어지는 가을 운동회 콘셉트로 진행됐다. 삼성웰스토리는 매운맛 초보자를 위한 '입문런', 맵고수가 되기 위한 '맵부심', 진짜 매운 불맛을 선사하는 '맵고수' 등 매운맛의 정도를 총 3단계로 구분해 자신의 입맛에 맞는 매운맛을 선택할 수 있도록 준비했다. 입문런 단계에는 최근 글로벌 유행 중인 swicy(spicy와 sweet의 합성어) 트렌드에 맞춰 매콤달콤한 맛을 구현한 '불닭강정 쫄볶이', 맵부심 단계에는 크리미한 매운맛을 강조한 '콘마요 불닭볶음밥', 맵고수 단계에는 진짜 불맛 나는 '파이어 인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지금 일본은] 일본 최초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 화제
도쿄관광한국사무소는 워너 브라더스 스튜디오 재팬이 8월 14일(목) 일본 최초의 플래그십 스토어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를 도쿄 하라주쿠 오모테산도에 오픈했다고 밝혔다. 트렌드의 발신지 하라주쿠 중심에 해리포터의 새로운 거점 탄생 ‘해리포터샵 하라주쿠’는 총면적 약 900㎡ 규모의 2층 매장으로, 한정 상품과 마법 세계의 매력이 담긴 다양한 아이템을 갖추고 있다. 또한 쇼핑 도중에 즐길 수 있는 ‘버터맥주 바’와 작품 속을 연상시키는 포토 스폿도 마련돼 있다. 하라주쿠를 찾는 누구나 부담 없이 방문해 ‘해리포터’ 세계관을 체험하며 작품의 매력을 느낄 수 있는 새로운 거점으로 자리매김할 예정이다. ‘금지된 숲’ 테마, 올빼미와 히포그리프 ‘벅빅’이 맞이해 안에 들어서면 가장 먼저 눈에 들어오는 것은 거대한 나무와 부엉이들이다. 매장 안 우뚝 솟은 나무 사이로 유유히 날아다니거나 무성한 녹색 가지 위에서 날개를 쉬는 부엉이들의 모습이 펼쳐진다. 또한 나무줄기 위에는 다양한 마법 동물들도 자리하고 있어 방문객들은 마법 세계를 한눈에 체험할 수 있다. 한정 굿즈부터 푸드까지 마법 세계를 만끽 하라주쿠 한정 패션 잡화, 문구, 과자를 비롯해 네 기숙사의 세계관을 체험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