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에선 ‘카라반 레스토랑’이 인기다. 현재 코로나19로 인해 외식을 원하는 이들과 배달 음식에 지친 이들을 위해 등장한 것이 이동식 레스토랑이다. 집 문을 열고 나가 바로 맛보는 본격 이탈리안 요리 집으로 찾아가는 것은 셰프의 ‘요리’만이 아니다. 레스토랑에서처럼 요리에 대한 설명을 곁들여야 제맛. 셰프가 직접 메뉴에 대한 간략 설명을 들려주는 영상도 함께 찾아간다. ‘쉐프스 카라반 요코즈케(Chef's-Caravan YOKOZUKE)’는 이동식 레스토랑이라는 생소한 시스템이지만, 전문 쉐프가 카라반에서 정통 이탈리아 코스요리를 선보인다. 내 집 앞에서 외식을 하는 듯한 기분도 들게 할 수 있어 새로운 시도라고 할 수 있다. 브런치, 런치, 디너 등 정해진 시간에 한정 수량만 주문 가능해 비대면 방역 수칙을 지키면서 실제 레스토랑의 경험을 집에서 즐길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쉐프스 카라반 요코즈케’ 담당자는 “배달이나 테이크아웃을 이용할 때 일회용 용기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어서 요리의 맛을 저하시키고는 한다. 이동식 레스토랑의 경우에는 고급 집기에 쉐프의 일품 요리가 담아 주기 때문에 차별성도 엿볼 수 있다.”고 전했다. 전채요리로는 이탈리아산
중소벤처기업부가 스마트상점을 집중 육성할 스마트시범상가 35곳을 추가 선정했다. 코로나19 등으로 인해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 소비·유통환경의 비대면·디지털화에 대응하기 위한 소상공인 디지털화 지원 예산이 3차 추경에서 확대되어 전국 주요 상점가를 스마트 시범상가로 추가 선정한 것이다. 이번에 스마트 시범상가로 선정된 35곳(복합형 25곳, 일반형 10곳)의 상점가에는 비대면·디지털화 시대에 소상공인들이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가상현실(VR), 증강현실(AR), 사물인터넷(IoT) 등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집중 보급해 스마트상점 확산 거점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복합형 상가로 선정된 25곳에는 가상현실(VR)과 증강현실(AR)을 활용한 스마트미러, 스마트 메뉴보드, 키오스크, 서빙·조리 로봇 등 소상공인의 경영·서비스 혁신을 지원하는 스마트기술과 비대면 예약·주문·결제 등이 가능한 스마트오더 시스템 도입을 지원하고, 일반형 상가로 선정된 10곳에는 스마트오더 시스템 도입을 지원할 계획이다. 소상공인 현장에서는 디지털 경제시대에 맞춰 신기술을 도입하고자 해도, 사업장에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이나 서비스에 대한 정보가 부족해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많았다. 이에 따
글로벌 홈 헬스케어 전문기업 ‘세라젬(CERAGEM)’이 헬스케어 제품 체험은 물론 건강 음료와 디저트까지 즐길 수 있는 브랜드 복합 체험 공간 ‘세라젬 웰카페(Ceragem Wellcafe)’를 론칭한다. ‘세라젬 웰카페’는 ‘웰 라이프 커뮤니티 하우스(Well Life Community House)’를 메인 콘셉트로 누구나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세라젬 제품 체험 공간, 자연과 건강까지 생각한 ‘웰 라이프 푸드’를 즐길 수 있는 건강 카페, 휴식 및 커뮤니티 기능을 결합한 복합 체험 공간으로 건강한 라이프스타일을 추구하는 고객들의 일상 속에 더욱 밀접하게 다가가기 위해 마련됐다. 친환경 유기농, 무색소, HACCP 인증받은 식자재 활용 음료 및 디저트 ‘웰 라이프 푸드’ 제공 고객들은 세라젬 척추 의료가전 ‘마스터 V4’, 안마의자 ‘파우제’ 등 세라젬 주력 제품들을 부담 없이 경험하고 직원의 전문 케어를 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현장에서 구매 상담도 가능하다. 또한 친환경 유기농, 무색소 그리고 HACCP 인증도 받은 건강 식자재를 바탕으로 한 음료, 디저트 등 ‘웰 라이프 푸드’를 즐기며 자유롭게 휴식을 취할 수 있다. 세라젬은 지난 판교점 오픈을
로봇 핸드드립으로 유명한 라운지엑스를 운영하고 있는 (주)라운지랩(대표 황성재)이 인공지능 기반의 스마트 스토어인 ‘무인상회’(無人商會)의 베타 버전을 공개했다. ‘무인상회’는 24시간 인공지능이 운영하는 비대면 상점으로, 사용자 행동 인식 기술을 통해 제품의 정보를 적절하게 표시해주고, 물건을 집어가면 결제되는 그립 앤 고(GRIP AND GO) 기술을 통해 사용자 친화적인 경험을 만들어준다. 특히, 내부 시스템을 통해 제품의 유통기한과 재고량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기반으로 할인율을 스스로 결정하여 적용시킬 수도 있다. 라운지랩은 이러한 비대면 리테일 경험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반의 사용자 행동 인식 기술인 스페이스 아이디(SPACE ID)를 개발했다. ‘무인상회’를 사용자고자 하는 고객은 앱의 버튼을 눌러 잠금장치를 오픈하거나 신용카드를 인증한 다음 원하는 제품을 가지고 이동하면 모든 구매 과정이 완료된다. 좀 더 편리한 활용을 위해서 사용자의 얼굴정보를 입력해두면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 전면에 서있는 것만으로도 인증이 가능하다. 라운지랩의 황성재 대표는 “최근 비대면 소비를 원하는 시장의 트랜드를 반영하여 무인화 시스템을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전 세계에서 청결과 소독에 대한 항구적 요구가 증가했다. 전 세계 60여개국의 UVD로봇(UVD Robots) 유통사에는 감염 우려를 없앨 방역 솔루션을 찾는 병원, 식품회사, 호텔, 쇼핑몰, 청소업계, 크루즈선, 제약회사, 사무실 단지 등 다양한 고객의 주문이 폭증하고 있다. 페르 줄 닐슨(Per Juul Nielsen) UVD로봇 최고경영자(CEO)는 “UVD로봇은 세계에서 가장 첨단을 달리면서도 사용 방법이 가장 쉬운 UV 로봇을 설계했다”고 밝혔다. 그는 “누구나 몇 분 만에 로봇을 설치하고 즉시 가동해 공기 중이나 모든 표면의 박테리아와 바이러스를 소독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UVD로봇의 3세대 로봇은 매우 좁고 협소한 환경에서도 스스로 탐색하며 작업을 진행할 수 있어 소형 호텔 객실 자율 소독과 같은 새로운 시장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 새 로봇은 이전 제품에 비해 크기가 훨씬 작으면서도 동일한 소독 능력을 자랑한다. 클라우스 리사게르(Claus Risager) UVD로봇 이사회 의장은 “UVD로봇의 3세대 자율 이동식 UV-C 소독 로봇은 해당 제품군의 세계 최초 세대로 여러 면에서 시장 판도를 바꾸는 제품”이라며 “이는
비건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는 가운데 일본 대체고기 전문 브랜드의 새로운 실험이 눈길을 끈다. 지난해부터 도쿄 이케부쿠로에서 대체고기를 활용해 고스트레스토랑을 운영해 온 ‘더 베지테리안 부처 딜리버리(The Vegetarian Butcher Derivary)’가 최근 비건 등 채식지향자를 위한 매장을 열었다. 이곳에선 대체고기를 마치 정육점에서 고기 고를 듯 살 수 있다. 또한, 구독서비스를 도입해 매월 일정 금액을 지불하면 금액 할인과 채식관련 영상, 책 등 정보를 공유해준다. 친환경적인 생태계 조성을 위한 무료 식재료 공유 서비스 등 외식업 트렌드가 모두 담겼다. 33살 청년이 설립한 미래를 위한 식당 베지테리언 부처 재팬을 창업한 무라타니 유키히코 대표는 올해로 33살의 젊은 청년이다. 미래 식량으로 대체고기의 가능성을 알아보고 2017년 회사를 설립했다. 네덜란드 대체고기 브랜드의 일본 판권 계약을 체결 후 사업 전개에 나섰다. 베지테리언 부처는 2011년 네덜란드에서 출범한 식물기반 고기 브랜드로 재작년 다국적 기업 유니레버가 회사를 인수해 세계 시장으로 판매처를 넓혔다. 작년에는 버거킹과 합작해 대체고기 패티를 넣은 햄버거 ‘레블 와퍼(REBEL W
농촌진흥청은 과수원 안에서 스스로 이동하며 나무의 유무와 모양을 신속·정확하게 측정해 농약을 살포하는 스마트 로봇 방제기를 개발했다. 이번 방제기 개발로 농업인 특히 고령‧여성 농업인의 과수 방제 작업 부담을 덜고, 일괄적으로 농약을 살포할 경우 발생하는 농약 과다 사용 문제도 해결할 수 있게 됐다. 이번에 개발한 방제기는 레이저 형태의 광원으로, 물체까지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LiDAR를 사용해 3차원 공간상 과수 유무와 형태를 파악할 수 있다. 스피드 스프레이어(SS기) 좌우에 전자 밸브를 구비한 분사 노즐을 장착한 뒤 LiDAR로 얻은 데이터를 기반으로 전기적 신호를 보내 농약 살포량을 조절하게 된다. 또한, 지주 파이프 등 과수원 안 시설물의 영향을 받지 않도록 설계해 불필요한 부분에서 농약이 살포되는 것을 최소로 줄였다. 이 스마트 로봇 방제기는 GPS와 관성측정장치를 활용한 궤도형 자율주행 로봇에 탑재돼 과수 사이를 스스로 주행하면서 무인 방제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이 방제기를 사용해 방제할 경우, 기존 SS기보다 약 20∼30% 농약 살포량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 농촌진흥청은 이번에 개발한 스마트 로봇 방제기에 대해 산업재산권 출원을 완료
카페 전문 브랜드 달콤(dal.komm)은 서울 종로구 성균관대학교에 로봇카페 비트(b;eat)를 오픈하고 본격적인 MZ세대 고객 맞이에 나섰다. 달콤의 카페 노하우와 첨단 IT기술이 융합된 로봇카페 비트는 하이엔드급 에스프레소 머신과 달콤의 프리미엄 원두로 만든 프랜차이즈 커피 수준의 음료를 무인 워크스루(walk-though) 방식으로 빠르고 안전하게 제공한다. 성균관대 중앙학술정보관에 자리잡은 비트는 상주 직원 없이 24시간 운영되는 무인 로봇카페다. 아메리카노 기준 시간당 120잔의 빠른 제조와 앱을 통한 원격 주문 결제, 메뉴 완성 알림으로 점원과의 불필요한 대면 접촉 및 현장 대기 시간을 없애 바쁜 대학생들의 구매 효율을 높였다. AI기능이 탑재된 비트는 기존 커피전문점처럼 고객 취향에 따른 원두 선택과 시럽 양, 진하기 조절 등 개인화된 주문이 가능하다. 또 모바일 기반의 음성 주문 서비스를 지원하며, 디스플레이로 자신의 감정 표현하고, 잠재 고객의 이동 동선을 파악해 먼저 인사를 건네는 등 커뮤니케이션 기능까지 갖춰 MZ세대의 취향저격 카페로 인기를 끌고 있다. 비트는 카페를 위한 별도 공간이나 인테리어, 인건비 등 부대비용 없이, 약 2평 남
코로나19 재확산에 따라 ‘언택트’가 일상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비대면 서비스가 가능한 ‘푸드테크’가 눈길을 끌고 있다. 외식업계에서는 앱으로 외식 프랜차이즈 관련 업무처리가 가능한 스타트업의 등장부터 주문 앱 활성화 및 로봇 서비스 강화 등 다양한 푸드테크 기술을 활용해 비대면 서비스를 강화하고 있다. 관련 업계에 따르면 롯데GRS는 최근 자사의 외식 브랜드를 하나로 통합한 멤버십 앱 ‘롯데이츠(LOTTE EATZ)’를 론칭하며 앱 서비스를 강화했다. 롯데이츠는 언제 어디서나 원하는 메뉴를 간편하게 주문할 수 있는 ‘홈서비스(딜리버리)’와 고객이 매장을 방문해 줄서지 않고 대기시간을 최소화 하는 ‘잇츠오더’가 대표적인 서비스다. 언택트 주문이 가능하다는 장점으로 인해 코로나19이후 주문율 증가의 견인 역할을 하고 있다. 스타트업 ‘주식회사 외식인’은 외식업 종사자들의 업무 효율성을 높여 주기 위해 매장의 서비스 품질 진단 및 가맹점 개설 관리 등의 업무를 앱으로 할 수 있는 ‘FQMS(프랜차이즈품질관리시스템)’라는 앱을 개발해 운영 중이다. 특히 외식인의 다양한 앱 서비스 중에서도 프랜차이즈 ‘커뮤니케이션 툴’이 언택트 시대와 함께 주목을 받고 있는데 이
푸드테크 스타트업 ‘주식회사 외식인’(대표 조강훈)이 프랜차이즈품질관리시스템(FQMS) 앱에서 ‘가맹 개설 관리’와 ‘전자 계약’ 기능을 새롭게 추가했다. 외식인은 프랜차이즈품질관리시스템(FQMS)앱을 통해 매장 품질 관리뿐만 아니라 프랜차이즈 본사의 영업 및 계약 관리도 함께 진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가맹 개설 관리 기능과 전자 계약 기능을 도입한다고 밝혔다. 새롭게 추가된 가맹 개설 관리 기능은 가맹점 영업 단계부터 개설까지 각 프로세스 별 진행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예비 가맹점주의 정보를 입력하면 가맹점 개설을 위한 세부 내용 확인이 가능하며, 기한을 설정해 놓을 시 각 단계별로 업무 지연이 되고 있는 부분까지 체크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본사는 업무 누락 및 지연을 방지 할 수 있으며, 담당자가 변경되어도 진행 현황 파악이 가능하다. 또 다른 기능인 전자 계약은 가맹 계약을 앱을 통해 간편하게 진행할 수 있는 서비스로, 계약서 보관이 용이하고 계약과 관련해 소요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온라인 인증을 통해 비대면 계약도 가능해 계약 체결에 소모되는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외식인 관계자는 “이번에 새롭게 도입된 시스템은 기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