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코로나19로 인한 육류 대란 속 뜨는 ‘대체육’ 시장

미국에서 코로나19로 인해 때 아닌 육류 대란이 벌어지며 대체육(Alternative meat) 산업이 반사이익을 얻고 있다.

 

 

미국은 현재 많은 육가공 공장들 셧다운(Shut down, 일시적인 부분 업무정지)되며 공급체인망이 멈추었다. 미 최대 육가공 공장 타이슨푸드(Tyson Foods Inc.,)를 비롯 22곳이 문을 닫았다.

 

 

반면 콩·두부 등 식물성 재료를 사용한 대체육 브랜드 비욘드미트 주가는 약 한 달 사이 두 배로 뛰었다. 지난 달 18일 기준 54.02달러(약 6만6천 원)였던 비욘드미트 주가는 4월29일 100.10달러(약 12만 원)로 마감되며 투자자들의 기대 심리에 부응했다.

 

육가공 공장 셧다운 여파로 고기 소매가 급등

미국인의 1인당 육류 섭취량은 연 평균 약 120kg으로 세계에서 가장 높은 만큼 육류 공장의 대규모 셧다운 여파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육가공 공장들의 가동 중단 사태에 미 농무부는 충분한 양의 냉동 육류를 보유하고 있다고 발표했으나, 코로나19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육가공 공장의 가동률이 떨어지며 돼지고기와 소고기 소매가가 가파르게 올랐다.

 

 

미국 내 80개의 육가공 공장에서 발생한 코로나19 확진자가 4월 28일 기준 4400명을 넘어섰으며 이 중 사망자가 최소 18명에 달한다는 외신들의 보도가 이어졌다.

 

세계적인 규모인 타이슨푸드 워털루 공장(아이오와주)에서는 직원 24명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감염돼 지난 6일 공장 가동을 중단했으며, 제이비에스유에스에이홀딩스(JBS USA Holdings)와 스미스필드푸드(Smithfield Foods Inc.) 등도 확진자 발생으로 잇따라 셧다운에 들어갔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28일 미국 내 육가공 공장들의 재가동을 허가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지만, 정상 가동까지는 시간이 걸린다는 것이 업계의 분석이다. 타이슨푸드는 5월 7일부터 폐쇄했던 워털루 공장 가동을 부분적으로 재개했다.

 

사회 혼란 속 주목받는 대체육 시장

일반적인 육류 수급에 어려움을 겪자 대체 고기로 눈을 돌리는 식품·외식 기업들이 증가하고 있다. 육류 가격이 폭등하자 대체육에 관심을 가지는 소비자들도 늘었다.

 

 

대체육은 고기와 거의 흡사한 맛과 질감, 육즙까지 가지면서도, 식물성 재료를 원료로 만들어 고기를 먹을 때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이 덜하다. 또한, 건강 증진과 환경 개선, 동물 복지 등 대체육이 가진 이점도 함께 주목받고 있다.

 

바클레이즈 투자 보고서에 따르면 대체육 시장은 전세계적으로 전통적인 육류 시장 점유율의 1%(140억 달러, 2019년 기준) 밖에 되지 않는다. 하지만 2029년에는 10배 증가한 10%(1400억 달러) 규모로 성장할 전망이다.

 

미국 대체육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

비욘드미트는 미국내에서 가장 인지도 높은 대체육 기업으로 꼽힌다. 2009년 설립돼 현재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인다. 빌게이츠와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등 유명인들이 투자했으며, 전 영부인 미셸 오바마가 운영하는 비영리재단과 4월 28일 협약을 맺었다.

 

 

병아리콩, 대두 등을 주 원료로 만든 버거용 다짐육부터 소시지, 스테이크 등 다양한 제품을 판매 중이다. 작년 5월 뉴욕증시에 상장됐다.

 

실리콘밸리에서 스타트업으로 2011년 설립한 임파서블푸드는 최근 여러 외식업체 협업하며 떠오른 대체육 업체이다. 육류의 분자구조를 연구해 특정 단백질과 영양소를 콩 등의 식물에서 추출해 제조하는 기술을 보유하고 있다.

 

 

리틀시저스(Little Caesars) 레스토랑에 대체육 소시지 납품 중이며, 버거킹과 함께 비건버거인 ‘임파서블 와퍼’를 선보였다. 싱가포르에도 진출해 식품배달업체인 딜리버루와 제휴를 맺고 8개 식당과 햄버거 전문점 등에 대체 육류를 공급하고 있다.

 

 

퓨어팜랜드사는 1936년 설립된 미국의 대규모 육가공기업 스미스필드의 자회사로 현재 중국의 WH그룹이 소유하고 있다. 주로 콩을 주 원료로 한 미트볼, 햄버거 패티 등 다짐육을 판매하고 있다. 후발주자인 만큼 웹사이트를 통해 자사 대체육 제품을 통해 칼로리가 적힌 요일별 다이어트 식단을 제공하는 등 적극적인 마케팅을 펼치고 있다.

 

 

기존 대체육 주요 소비층이 채식주의자와 밀레니얼 세대로 한정됐으나, 코로나19로 인해 전 연령대에서 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대체육에 대한 높아진 관심은 코로나19 종식 이후에도 이어질 가능성이 높아 시장 성장 전망을 밝게 한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동대문구, 노포맛집 지정식 개최
서울 동대문구는 25일 지역을 대표하는 오랜 전통 음식점을 보호·육성하고 지역경제 활성화 기반을 강화하기 위해 ‘2025년 동대문구 노포맛집 지정식’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동대문구는 지역의 정서와 역사성을 지닌 우수 음식점을 체계적으로 발굴하고 홍보하고자 2023년 서울시 최초로'서울특별시 동대문구 노포맛집 인증 및 지원에 관한 조례'를 제정했다. 이에 따라 30년 이상 운영한 업소를 대상으로 심사를 거쳐 노포맛집을 선정하고 있으며, 올해는 신규 4개소가 추가되어 총 22개소가 노포맛집으로 운영되고 있다. 구는 그동안 노포맛집에 대해 홍보 영상 제작, 블로그 마케팅, 주방 정리·수납 등 업소별 맞춤형 컨설팅을 지원해 왔다. 구는 올해 신규 선정된 업소에 대해서도 홍보 강화, 위생관리 등 다양한 분야에서 실질적이고 지속적인 지원을 이어갈 계획이다. 이필형 동대문구청장은 “노포맛집은 동대문구의 역사와 정체성을 지닌 소중한 자산”이라며, “세대를 넘어 이어진 맛과 정성이 지역의 경쟁력이자 동대문구만의 문화 콘텐츠가 되고 있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 “구는 단순한 인증을 넘어, 노포가 지속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홍보·위생·경영 개선 등 현장에서 도움이 되는 실질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경기도, '2025 상생 페스티벌' 성료 … 대·중소기업 상생협력 기반 확대
경기도는 지난 25일 서울 신세계 남산에서 ‘2025년 경기도 상생 페스티벌 with G마켓’을 개최하고, 도내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의 온라인 시장 진출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상담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마무리했다고 밝혔다.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과 함께하는 이번 페스티벌은 ‘대·중소 상생협력 프로그램 지원사업’의 하나로, 급변하는 온라인 유통 환경 속에서 도내 기업이 플랫폼 기반의 판로를 지속적으로 확대할 수 있도록 지원하기 위해 마련된 행사다. 총 50여 기업이 참여한 가운데, 참가자들은 실무 중심 교육과 개별 맞춤형 상담을 통해 구체적인 실행 전략을 얻었다는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행사에서는 G마켓 실무진과 외부 전문가가 강사로 참여해 ▲온라인 판매 전략 ▲실전 마케팅 로드맵 ▲온라인 판매 세무 전략 등 분야별로 전문적인 교육을 제공했다. 참가자들은 “막연했던 온라인 운영 방법이 체계적으로 정리됐다”, “혼자 고민하던 부분을 명확히 이해하게 됐다” 등 실효성 높은 교육이었다는 반응을 보였다. 또한 사전 접수를 통해 매칭된 기업을 대상으로 온라인 플랫폼 입점, 상품등록, 광고 전략, 카테고리 운영 등 분야별 1:1 상담을 총 50여 건 진행했다. G마켓 실무자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한식창업 선호도 1위 ‘국밥’의 모든 것, '한우국밥&미나리곰탕' 비법전수
잘 팔리는 강력한 상품으로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외식사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이번 메뉴개발 아이템은 점심 한 끼 식사로도 저녁 장사로도 접근성이 좋은 ‘국밥’이다. 한식 창업 선호도 1위인 ‘국밥’은 계절을 타지 않는 꾸준한 수요와 최근엔 배달 창업 아이템으로도 각광받고 있다. 오는 11월 27일(목) ‘한우국밥’, ‘미나리곰탕’ 비법 레시피 전수 ‘국밥’은 다양한 종류만큼 특색 있는 맛과 각기 다른 매력으로 매일매일 먹어도 질리지 않는 음식으로 꼽힌다. 그중 향토음식점으로 지정받은 백년가게들과 유명 국밥맛집을 비교·분석, 국밥계의 베스트셀러인 명품 ‘한우국밥’과 떠오르는 신예 ‘미나리곰탕’ 비법을 전수하는 교육과정이 오는 11월 27일(목) 진행된다. 먼저 대파와 무. 그리고 양지, 사태 등 소고기가 한 솥에 어우러져 시원하고 깊은 맛을 자랑하는 원조 한우국밥 비법을 전수한다. 한국인이 좋아하는 칼칼하고 매운 국물을 위해 소기름과 고춧가루로 만든 고추기름을 넣어 텁텁하지 않고 깔끔하게 매운맛을 가미했다. 또한 최근 국밥전문점에서 매출 견인의 효자메뉴로 큰 화제가 되고 있는 ‘미나리곰탕’ 레시피도 함께 전수한다.

J-FOOD 비즈니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