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러시아, 유망한 프리미엄 반려동물 식품시장

러시아는 미국 다음으로 반려동물을 많이 기르는 나라로 알려졌다. 두 집당 한 집꼴로 고양이나 개를 키우고 있으며, 여러 마리는 기르는 가구도 다수다. 과거보다 더 반려동물을 가족의 동반자로 여기면서 비용 지출을 아끼지 않는다.

 

 

반려동물 식품도 천연성분을 사용한 프리미엄 제품들이 고가임에도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작년 러시아 건식사료의 평균 가격은 9.5% 증가했다.

 

 

세분화·전문화된 사료 시장

올해 러시아 반려동물 사료시장의 생산량은 1백만 톤에 달할 것이며, 판매량은 30억 5천만 달러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러시아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FMCG(Fast-Moving Consumer Goods, 일용소비재 시장)에서 가장 빠르게 성장하는 범주 중 하나다. 사료 시장의 점유율은 전체 식품시장의 5.5%이며, 성장률은 사람을 위한 식품시장보다 4배 높다.

 

 

반려동물 제품 시장의 89%를 사료가 차지하고 있다. 사료 내에서도 고양이 사료가 73.3%로 가장 높은 비율을 기록했으며, 강아지(15.2%), 설치류(0.5%)가 뒤를 잇는다. 반려동물 인구의 증가로 인한 가장 큰 변화는 사료 시장이 세분화·전문화되고 있다는 것이다.

 

 

다이어트 사료, 1세 이하의 강아지 및 고양이를 위한 사료, 6세 이상의 반려동물을 위한 건식사료, 순종용 사료 등으로 자세히 분류된 상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또한, 비타민, 소시지(다랑어 맛, 닭고기 맛 등), 장 속에 있는 털을 제거하기 위한 페이스트, 생선 젤리 그리고 임신한 고양이를 위한 스낵도 있다. 강아지 스낵은 고양이에 비해 종류가 적은 편으로 비스킷, 쿠키, 소시지, 뼈, 육포 등이 있다.

 

 

 

러시아에서 58.9%의 강아지 주인들과 37.3%의 고양이 주인들이 프리미엄 사료를 구입하는 것으로 나타냈다. 수입 제품에 대한 선호도가 높으며, 사료 시장의 약 80%를 외국 기업들이 점유하고 있다. 다국적 기업인 Mars(브랜드: Royal Canin, Whiskas, Kitekat, Pedigree 등)와 Nestle(브랜드: Friskies, Purina, Felix)가 러시아 사료 시장에 진출해 있다. 

 

고양이 사료 매출이 75%를 차지할 정도로 높아 러시아 내 직접 사료 공장을 운영하는 경우도 있으며, 소비자들이 찾는 프리미엄 제품을 수입해 판매한다. 반려동물 시장의 성장은 1인가구 증가, 개인주의 현상의 심화 등으로 인한 세계적인 추세이다. 반려동물에 대한 지출을 아끼지 않는 만큼 프리미엄 사료 시장은 향후에도 높은 성장을 이룰 것으로 보인다.

 

자료 : Kati 지구촌리포트 96호


푸드&라이프

더보기
아이디어를 찾습니다! 고령친화우수식품 네이밍·슬로건 응모하세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이하 식품진흥원)이 오는 11일(금)까지 ‘고령친화우수식품’의 새로운 이름을 발굴하기 위한 대국민 네이밍·슬로건 공모전을 진행한다. 고령친화우수식품 지정제도는 고령자의 신체적 특성을 배려하여 물성, 형태, 영양성분 등을 조정하여 제조된 제품을 인증하는 제도로 고령자들의 삶의 질 향상과 고령친화식품 산업의 발전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번 공모전은 고령친화우수식품의 가치를 널리 알리고 소비자들이 더욱 친숙하게 다가갈 수 있도록 창의적이고 의미 있는 이름을 발굴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공모전은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국민이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으며 소통24, 씽굿, 인스타그램(@foodpolis.kr_sfood)을 오는 7월 11일(금)까지 접수할 수 있다. 심사는 관련 전문가들이 진행하며 심사 기준은 적합성(30점), 대중성(30점), 독창성(40점)을 기준으로 평가된다. 공모전 결과는 7월 중 발표될 예정이며 대상 1점, 최우수상 2점, 우수상 2점 등 총 5점의 당선작이 선정된다. 당선작에는 한국식품산업클러스터진흥원 이사장상과 함께 소정의 상금이 수여될 예정이다. 당선작 중 하나는 대국민 투표를 통해 최종 네이밍으로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올여름 부산여행 중 하루는 일본 어때…부산-대마도 당일치기 여행 상품 주목
올여름 부산 해운대, 광안리, 송정 등으로 여름휴가를 계획하고 있다면 하루만 더 여유를 내서 ‘부산에서 출발하는 일본 대마도 당일치기 여행’을 고려해보는 건 어떨까. 일본 전문 여행사 ‘일본만’이 부산과 일본을 한 번에 즐길 수 있는 실속 당일치기 코스 여행상품을 출시했다. 일본 대마도는 부산을 찾은 수도권 관광객뿐 아니라 부산 시민들에게도 이미 일상적인 해외 여행지로 자리잡았다. 마트 쇼핑, 일본 간식 사오기, 데이트, 소규모 출국 체험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되며, 하루에도 여러 편이 운항되는 부산-대마도 배편은 흔한 일상 속 여행 코스로 자리매김했다. 이러한 대마도 여행 수요는 온라인 검색 트렌드에서도 확인된다. 네이버에서는 ‘대마도 배편’이라는 키워드가 자주 검색되며, 여름철에는 실시간 인기 검색어 10위권에 오를 정도로 높은 관심을 받는 보편화된 관광지가 됐다. 여권과 지갑만 있으면 가능한 일본 당일치기 여행 대마도는 부산항에서 팬스타 링크호, 대아고속 씨플라워호, 스타라인 니나호 등 매일 3개선사가 운영 중인 고속선 노선을 이용해 약 1시간 10분 거리에 위치해 하루 안에 왕복 가능한 실속 해외 여행지다. 현재는 왕복 2만9900원대의 특가 대마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