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최대 규모 국제광고제, '2023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 개최

8.23.~ 8.25. 벡스코에서 개최… 전시·상영, 콘퍼런스, 경진대회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 마련

 

 

 

아시아 최대 규모이자 국내 유일의 국제광고제,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가 오는 8월 23일 막을 올린다.

 

부산시는 '2023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MAD STARS 2023'가 오는 8월 23일부터 25일까지 3일간 벡스코 컨벤션홀에서 개최된다고 밝혔다.

 

올해 16회째를 맞이하는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는 (사)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조직위원회가 주관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부산시가 후원한다.

 

‘리부트!(REBOOT!) 팬데믹 이후 새로운 전략으로 다시 시작’이라는 주제로 코로나19 팬데믹의 그늘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기회를 모색하고 전 세계의 창의적인 아이디어를 공유하는 장으로 펼쳐질 예정이다.

 

행사는 개막식을 비롯해, 전시, 콘퍼런스, 경진대회 등 업계 전문가는 물론, 마케팅·광고·디지털 콘텐츠에 관심 있는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다양한 볼거리로 구성됐다.

 

구체적으로 ▲8월 23일 오후 5시에는 개막식이 ▲8월 25일 오후 5시에는 시상식이 개최된다. 8월 23일부터 25일까지는 ▲수상작 전시 및 신기술 체험존, 글로벌 매드 비즈니스 마켓 부스존 등 전시와 ▲마케팅, 광고, 디지털 테크, 영상 등 분야별 글로벌 현직 전문가 실무 강연 등 콘퍼런스가 진행된다. 또 ▲8월 22일부터 25일까지는 전 세계 주니어 광고인, 대학생 경진대회 등이 열린다.

 

이번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는 63개국에서 출품한 2만282편 작품 중 47개국의 본선 진출작인 2천57편(전문가 부문 1천886편, 일반인 부문 171편)을 전시·상영할 예정이다. 특히, 올해 출품작이 지난해 대비 9.5% 증가한 2만282편으로 집계돼 아시아 최대 규모 국제광고제의 저력을 입증했다.

 

‘전시’에는 전 세계에서 모인 세상을 바꾸는 창의적인 광고 캠페인 사례들이 소개된다.

 

또한 2030부산세계박람회의 주·부제를 홍보하며 기후변화 대응 동참을 장려하는 캠페인 ‘그린클 챌린지’ 체험과 인공지능(AI) 아바타와 실감 콘텐츠를 직접 체험해볼 수 있는 ‘신기술 체험존’ 등이 준비돼있다.

 

이외에도 국내외 광고, 마케팅, 디지털 콘텐츠, 영상 관련 단체와 기업 등이 참여하는 ‘글로벌 매드 비즈니스 마켓’도 진행될 예정이다.

 

콘퍼런스는 전문가를 대상으로 최신 산업 동향을 조망하는 ▲‘메인 콘퍼런스(Main Conference)’와 광고·마케팅·디지털 콘텐츠에 관심이 있는 사람 누구나 무료로 참여할 수 있는 ▲‘밋업(Meet-up)’으로 나눠 진행되며, 총 42개의 강연이 펼쳐진다.

 

‘메인 콘퍼런스’에서는 최근 국제 광고계에서 두각을 보이는 중동 광고대행사 임팩트 BBDO(Impact BBDO)의 지역 총괄 크리에이티브 디렉터 알리 레즈(Ali Rez)와 레바논의 안나하르 신문(An-Nahar)의 발행인이자 편집장인 나일라 투니(Nayla Tueni)가 '창조의 방식을 바꿔라, 변화를 만드는 창의력과 용기'를 주제로 강연할 예정이다.

 

또한 전쟁 중인 상황에도 우크라이나광고협회의 스비틀라나 스테파넨코(Svitlana Stepanenko)가 연사로 참여해 ‘우크라이나 광고 산업의 위기와 전환, 전쟁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다’를 주제로 평화와 자유를 되찾고자 광고로 맞서 싸운 사례들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유명 포토 저널리스트 강형원(전 백악관 사진기자, 퓰리처상 2회 수상)이 포토 저널리즘을 기초로 진정성 있는 광고 캠페인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강연한다. ▲강호준 대교(전 세대(영유아~시니어) 교육 플랫폼) 대표도 팬데믹을 거치면서 변화한 대한민국의 교육 서비스를 고찰하며 방향성을 제시하고, ▲오제욱 디오비 스튜디오 대표(윤여정 배우의 20대부터 현재까지의 일생을 담은 ‘KB라이프생명광고’ 제작)는 연사로 참여해 가상인간의 도전과제와 미래를 풀어나갈 예정이다.

 

아울러, ‘밋업 콘퍼런스’에서는 2023년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 홍보대사로 선정된 인기 크리에이터 ▲'다나카(개그맨 김경욱)'가 연사로 참가해 관객과 직접 소통하며 대체 불가능한 크리에이터로 거듭난 자신만의 브랜딩 전략을 공개한다. 부산시 공식 소통 캐릭터 ‘부기’도 참여해 참관객들과 소통하고 나아가 부산시에 대한 범시민적인 관심을 불러일으킬 예정이다.

 

또한, 코로나19 일상회복을 맞아 국내외 신진 크리에이터 발굴과 육성을 위한 경연 프로그램 ‘뉴스타즈’와 ‘영스타즈’가 4년 만에 오프라인으로 돌아온다.

 

‘뉴스타즈’와 ‘영스타즈’는 주어진 시간 내 주제에 맞는 영상 혹은 인쇄 광고를 제작, 심사와 피드백을 통해 전문가의 노하우와 업계 유행(트렌드)을 배울 수 있는 광고 경진대회다.

 

보건복지부와 아동권리보장원이 후원하는 ‘뉴스타즈’는 국내외 5년 차 이하 주니어 광고인 9개국 95명이 참여하고,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가 후원하는 ‘영스타즈’에는 국내외 대학생 5개국 97명이 참여한다.

 

특히, ‘영스타즈’ 수상자에게는 제일기획, 대홍기획, 에이치에스(HS)애드 등 14개 사에서 인턴십 기회를 제공해 실제 취업과 연결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박형준 부산시장은 “우리나라 광고의 독창성(크리에이티브) 수준이나 광고 기술(애드테크)을 활용한 콘텐츠와 디지털 맞춤형 광고(사이니지) 수준은 이미 해외에서 높게 인정받고 있다”라며, “세계적 유행(글로벌 트렌드)에 맞춰 광고 외 마케팅, 디지털 콘텐츠 등으로 영역을 확장한 이번 부산국제마케팅광고제를 통해 우리 광고의 기술과 독창성(크리에이티브)을 세계에 널리 알릴 수 있도록 우리시는 앞으로도 적극 지원해 나가겠다”라고 강조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카페, 베이커리 창업 트렌드를 한눈에! ‘2025 카페&베이커리페어 시즌2’ 개최
국내 대표 카페·베이커리 전문 전시회 ‘2025 카페&베이커리페어 시즌2’가 오는 11월 5일부터 8일까지 고양 킨텍스 제2전시장(10홀)에서 개최된다. 올해 행사는 약 250개사, 400개 부스 규모로 마련되며, 커피·베이커리 산업을 비롯해 외식 및 프랜차이즈 분야까지 폭넓게 다루는 종합 비즈니스 전시로 운영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프랜차이즈 특별관 with 마이프차’와 동시에 개최되어 예비 창업자와 전국 주요 유통 바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여 활발한 상담과 거래를 이어갈 전망이다. 특히 이번 전시는 2025 마이프차 프랜차이즈 페스타와 동시 개최되어 예비 창업자와 전국 주요 유통 바이어들이 한자리에 모여 활발한 상담과 거래를 이어갈 전망이다. 마이프차 프랜차이즈 페스타는 프랜차이즈 창업 플랫폼 마이프차가 주최하고, 박람회 전문 기업 미래전람이 주관한다. 예비 창업자는 물론 업종 전환이나 매출 개선을 모색하는 기존 창업자에게도 실질적 도움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주목받고 있다. 카페&베이커리페어에서는 업계 전문가 세미나, 트렌드 강연, 커핑 세션, 1:1 바이어 매칭 프로그램 등 다양한 프로그램이 함께 운영되어, 참가 기업과 관람객 모두에게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전지역 유명 우동이 한자리에, 사누키우동 현지 수료증까지!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우동 연수> 주목
일본 다카마쓰가 속한 가가와현은 ‘사누키우동’의 본고장으로 약 600곳 이상의 우동전문점이 있어 ‘우동현’으로도 불린다. 일본 우동의 정수를 현지에서 배우는 전문교육 과정이 오는 12월 7일(일)부터 10일(수)까지 4일간 진행된다. <RGM 우동써밋 2025 사누키우동 연수 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커리큘럼은 크게 일본 전국 우동이 집결하는 ▲'우동 써밋 사누키2025’ 참관 ▲야마토 우동기술센터 우동교육 수료과정 ▲간장, 소스 기업 방문견학 ▲우동투어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연수 첫날에는 일본 3대 우동이라 일컫는 ▲사누키 우동(카가와현), ▲이나니와 우동(아키타현), ▲미즈사와 우동(군마현)을 포함 전국 19개 현의 일본 지역 명물 우동이 한자리에 모인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를 참관한다. 올해로 11회차 개최되는 '전국 우동 써밋(SUMMIT) 사누키2025’ 박람회는 일본의 최북단 홋카이도에서 최남단 규슈까지, 일본 전국 19개의 현지 우동이 출전한다. 특히나 ‘소금곱창우동’(이바라키), ‘이즈모우동’(시마네), ‘옥수수우동’(아이치) 등 지역 특색을 살린 다양한 우동을 접할 수 있으며 관련업체와의 상담 기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