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업과 창업] 대학생 5명 중 3명, 취업 대신 '창업' 고민한다

자아실현 어려운 직장 대신 창업 눈돌려, 2021년 대비 9.5%p 증가

구인구직 아르바이트 전문 포털 ‘알바천국’이 대학생 359명에게 ‘창업’에 대한 인식을 묻자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5명 중 3명(62.4%)은 졸업 이후 취업 대신 창업을 고민한 적 있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2021년 진행한 동일 설문조사 결과(52.9%)보다 9.5%p 높은 수치다.

 

대학생 359명 대상 ‘창업’ 설문, 62.4% 취업 대신 ‘창업’ 고민…’자아실현’이 가장 큰 이유

창업 준비 활동 1위 ‘아르바이트 통해 창업 희망 업직종 실무 경험 쌓아’

 

먼저, 창업에 대한 인식은 85.5%가 ‘긍정적’이라 답했으며, 가장 큰 이유로는 ‘자아실현’을 꼽았다. ‘내가 원하는 일을 할 수 있어서’라는 답변이 67.2%(복수응답)의 응답률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직장생활에 얽매이지 않고 자유를 찾을 수 있어서(40.9%) ▲월급 이상의 돈을 벌 수 있을 것 같아서(37.3%) ▲스스로 고용주가 되어 안정적이라 생각돼서(17.95) 등이 뒤따랐다.

 

반면, 부정적이라 답한 14.2%의 대학생은 ‘불확실한 성공 가능성(84.3%, 복수응답)’에 대한 압도적 우려를 표했다. ▲기존 자산, 투자금 등 금전적 손실(39.2%) ▲복잡하고 어려운 창업 과정(23.5%) ▲경영, 주요 의사결정 등에 대한 책임 부담(23.5%) ▲불규칙한 소득(21.6%) 등도 부정적인 이유로 꼽혔다.

 

실제로 대학생 5명 중 3명(62.4%)은 취업 대신 창업을 고민한 바 있다고 답했다. 학년별로는 한창 취업준비에 박차를 가하는 3학년이 71.6%로 높았으며, 졸업을 목전에 둔 4학년의 경우 58.1%로 그 비율이 소폭 낮았다.

 

전공별로는 ‘예술∙체육(77.1%)’ 관련 대학생들의 응답률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사범∙교육(76.9%) ▲경영∙상경(72.9%) ▲인문(66.7%) ▲공과(62.2%) ▲사회과학(57.6%) 순이다.

 

취업 대신 창업을 고민하는 이유 역시 ‘자아실현’이 압도적이었다. ‘전공이나 취미 등 내 관심사에 맞는 일을 하고싶다(46.4%, 복수응답)’는 답변과 ‘내 아이디어를 실현하고 싶다(43.3%)’는 응답이 가장 많이 집계된 것.

 

이 밖에 ▲직장 월급보다 더 많은 돈을 벌고 싶어서(34.8%) ▲조직 생활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서(31.7%) ▲직장생활로는 자아실현이 어려울 것 같아서(30.4%) ▲취업이 너무 힘들어서(17.0%) ▲취업해도 정년 보장을 확신할 수 없어서(15.2%) ▲취업보다 창업의 진입 장벽이 낮은 것 같아서(8.5%)등의 답변이 있었다.

 

 

고민해본 창업 업직종으로는 카페, 베이커리, 음식점 등 ‘외식∙음료’가 42.0%의 응답률로 가장 높았으며 편의점, 쇼핑몰, 의류 매장 등 ‘유통∙판매(12.9%)’도 2위에 올랐다.

 

창업을 고민한 대학생 5명 중 3명(58.0%)은 창업 준비를 위해 시도해본 활동이 있다고 답했으며, 구체적으로는 ‘창업 희망 업직종 실무 경험을 쌓기 위한 아르바이트 근무(33.8%)’를 가장 많이 해본 것으로 나타났다.

 

더불어 ▲창업 설명회, 강의 등 참여를 통한 관련 정보 수집(16.2%) ▲창업 자금 마련을 위한 아르바이트 근무(14.6%) ▲창업 동아리 활동(14.6%) ▲창업을 원하는 업계 시장조사(7.7%) ▲창업 지원프로그램 참여(6.9%) 등의 활동을 경험했다고 답했다.

 

한편, 취업준비생 404명 및 직장인 221명에게 동일 조사를 한 결과 취업 및 이직 대신 창업을 고민한 비율이 각각 78.0%, 86.4%로 대학생보다 높게 나타났다.

 

취업준비생은 대학생과 마찬가지로 ‘자아실현’을 이유로 창업을 고민했지만, 직장인은 직장생활을 벗어나기 위한 방법으로 창업을 고려했다. ‘조직 생활에 얽매이고 싶지 않아서(44.5%, 복수응답)’와 ‘직장 월급보다 더 많은 돈을 벌고 싶어서(40.8%)’와 같은 응답이 높은 순위를 차지했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세미나]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과정’ 열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올해 첫 ‘평양냉면’ 전수교육이 오는 5월 29일(목)에 진행된다. ‘냉면’만큼이나 열렬히, 그리고 수준 있는 마니아층을 꾸준히 유지해온 음식이 있을까. 최근 냉면의 인기는 예전과 사뭇 다르다. ‘냉면’은 오랜 기간 각 지역의 특색이 더해진 우리 고유의 면 요리다. 간단한 음식처럼 보이지만 정성을 들인 만큼 깊은 맛을 내는 메뉴로 특히 탄력적인 면발과 육수에 따라 맛 차이가 확연하다. 전문 식당에서 제대로 된 냉면을 고객에게 선보이기 위해선 맛의 핵심인 육수부터 반죽, 비빔 양념소스 제조까지 배워야 할 기술이 한 두가지가 아니다. 이에 ‘냉면’을 더해 추가 수익을 올리고자 하는 자영업자들을 위한 레시피 전수 창업 교육이 큰 반향을 얻고 있다. 2025년 냉면 성수기 전, '평양냉면' 전수교육 문의 많아 오는 5월 29일. 하루 투자로 평양냉면의 모든 것 전수받을 수 있어 75년 평양냉면의 산증인 ’우레옥‘ 냉면 맛을 그대로 구현, 맛의 핵심인 면 반죽 기술(손반죽과 기계반죽 모두)부터 냉면 육수, 비빔장, 동치미, 고명과 찬류 평양냉면에 관한 모든 것을 전수받을 수 있다. 또한 평양냉면 기술전수는 물론, 잘 팔리고 지속 가능한 맛집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농심 신라면 툼바, 일본 초도물량 100만 개 완판 화제
농심이 일본 시장에 선보인 ‘신라면 툼바’가 출시 직후 폭발적인 반응을 얻으며 초도물량 약 100만 개를 2주 만에 모두 완판되는 등 현지 반응이 뜨겁다. 이에 농심은 추가 물량 공급 등을 준비 중이다. 농심은 지난 4월 일본 CVS 1위 유통업체 ‘세븐일레븐’에 신라면 툼바 용기면을 출시했다.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던 신라면 툼바는,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에 따르면 신라면 툼바는 출시 당시 한국 히트 제품으로 주목받으며 전점에 입점됐고 출시 직후 일부 매장에서 결품이 발생하는 등 예상을 뛰어넘는 소비자 반응으로 빠르게 완판됐다. 농심은 추가 공급과 물량 확대를 위해 일본 세븐일레븐과 협의 중이라고 전했다. 농심 관계자는 “신라면 툼바는 일본 라면 시장에서 드문 차별화된 맛과 전자레인지 조리로 구현한 파스타 스타일의 면과 소스로 큰 호응을 얻고 있다”고 말했다. 현지 소비자들은 온라인에 “진한 크림 풍미에 매운맛이 어우러져 매력적이다” “색다른 전자레인지 조리법과 뜨거운 물을 부어 만드는 스탠다드한 조리법 모두 가능한 것이 재미있다” “부드럽고 매운맛