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벤치마킹]영국 유기농식품 시장 동향

영국의 유기농식품 시장의 성장세가 두드러진다.

영국의 식품 매거진 ‘더 그로서(The Grocer)’는 2017년 영국의 유기농식품 매출액이 22억 파운드로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유기농식품은 매해 약 6%의 고성장을 보이는 반면 비유기농 식품은 2%에 머무르고 있다.

 

영국의 유기농 시장 규모

영국 토양협회(Soil Association)가 발표한 ‘Organic Market 2019’ 보고서에 따르면 유기농 제품의 전 세계 판매는 2017년 처음으로 800억 유로를 넘어 섰다. 영국은 전 세계에서 7번째로 유기농 제품을 많이 소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 보고서에 의하면 영국 소비자들은 유기농 상품구매를 위해 2018년 기준 23억 파운드를 소비했으며, 이는 전년대비 5.3% 증가한 수치이다. 유기농 제품의 매출액은 2011년 이래 꾸준히 증가하고 있으며, 2020년에는 25억 파운드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영국의 유기농 제품 유통채널은 크게 4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며, 2018년 기준 슈퍼마켓(65.8%), 소매상점(16.3%), 배달서비스(14.0%), 케이터링(3.9%) 순이다. 이 중 가장 큰 증가율을 보인 것은 배달 서비스로 3억 2000만 파운드(2018년 기준)를 기록했다.

 

 

영국 유기농산물 총 재배 면적의 절반 가량은 스코틀랜드에 집중되어 있고, 전체 유기농업 농가 및 식품 기업의 1/5 이상이 잉글랜드 남서 지방에 위치해 있다.

 

유기농 식품 찾는 프리프롬 소비자

프리프롬(Free From : 자신의 취향이나 건강상의 이유에 따라 ‘피하고 싶은 성분’을 배제한 식품)의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며 이와 관련된 상품이 연이어 출시되고 있다.

 

알레르기, 아토피, 음식 과민증 등을 이유로 유기농 통조림(Canned) 및 포장된(Packaged) 유기농 식료품을 찾는다. 식물성 우유(non-dairy milks), 베지테리언과 비건을 위한 스낵(예: 단백질이 함유된 에너지바), 차(茶), 포리지와 그래놀라 같은 시리얼, 견과류 버터 등이 있다.

 

 

유기농 과일, 샐러드, 채소 판매는 2018년 기준 1500만 파운드(약 229억)를 기록했으며, 최근 1~2년 사이 두부를 판매하는 영국 슈퍼마켓이 증가했다.

 

 

특히 런던 동부에서는 '2018 Free From Festival'를 개최할 정도로 프리프롬 식품을 찾는 이들이 많다. 글루텐, 정제 설탕, 유제품이 들어있지 않은 다양한 제품 및 요리법을 관람객에게 알렸다. Primrose 's Kitchen, Booja-Booja, Rhythm108, Nom Foods 등 다수의 기업이 축제에 참여했다.

 

보편화된 유기농·비건 인증 문화

영국의 유기농 인증을 완료한 제품 수는 현재 사상 최고 수준이다. 시장을 이끌고 있는 건 웰빙 트렌드에 관심이 높은 밀레니얼 세대와 Z세대이다. 1980년 이후 출생한 젊은 세대의 소득이 높아지며 유기농 제품을 더욱 선호하는 추세다.

 

KOTRA 런던무역관의 현지 시장조사 결과 인공 첨가제가 포함되지 않은 유기농 식품을 전문적으로 판매하는 슈퍼마켓 체인 Whole Foods Market에서는 대부분의 제품이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유기농이나 비건 인증을 보유하고 있다. 만약 인증이 없는 경우라도 천연성분(natural ingredients)을 포함한 순한 제품을 판매하고 있다.

 

 

영국에서 유기농 제품 인증을 받을 수 있는 기관은 8개 기관이며, 영국 토양협회(Soil Association)가 가장 권위 있는 기관으로 전체 유기농 식품 중 약 70% 이상이 이 기관에서 인증을 부여받고 있다.

 

 

프리프롬(Free From)이나 채식 기반(Plant-based) 제품을 구매하는 소비자는 앞으로 환경·건강 요인으로 인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른 유기농 제품의 성장 가능성 또한 밝다.


푸드&라이프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

비즈니스 인사이트

더보기

식품외식경영포럼

더보기
메뉴개발부터 내 식당 창업 위한 맞춤컨설팅까지! 외식창업 전문 교육 주목
맛집 창업의 꿈을 꾸는 예비창업자, 업종변경과 메뉴, 기술 등의 보완을 고민 중인 자영업자를 위한 솔루션 과정이 주목받고 있다. 30년 경력의 외식전문컨설팅기업 ㈜알지엠컨설팅 산하 교육기관인 <알지엠푸드아카데미>의 ‘외식창업과정’이 그 주인공으로 맛집 브랜딩 전략부터 메뉴개발, 비법전수 등 외식업 경영의 핵심 노하우를 전한다. 시장성과 사업성이 뛰어난 외식 아이템만을 엄선, 지역 맛집으로 자리 잡은 오너셰프들과 최소 10년에서 30년에 이르는 경력을 갖춘 조리명장이 교육을 진행, 메인 상품부터 각종 찬류 등 한상차림까지 사업 현장에서 바로 적용가능토록 몸에 익을 때까지 충분한 반복 연습을 지원한다. ‘흑염소 전문점 창업 상품개발’ 과정의 경우 ▲흑염소탕 ▲흑염소 수육 ▲염소불고기 ▲흑염소전골 등 <흑염소 전문점>의 메인 요리와 장사비법을 전수했다. 또한 맛집식당이 되는 노하우는 물론 고객관리, 내 가게 홍보전략 등의 실무 중심의 기술도 함께 교육, 진행했다. 2025년 10월 진행되는 외식창업 과정 교육은 다음과 같다. ▲ 사누키우동 연수 ▲ 개성손만두 요리전문점 ▲ 안동국시 전문점 창업과정 ▲ 이자카야 메뉴개발 ▲국밥 전문점 창업과정

J-FOOD 비즈니스

더보기
[일본 우동써밋2025 사누키 연수특집] 2025년 '사누키우동' 순례길 최신판
먹방투어와 미식기행의 인증샷이 인스타그램, 유튜브의 단골아이템이 되면서 여행에서도 식도락의 비중이 날로 커지고 있다. 해외여행에서도 관광명소 탐방이 아닌, 맛집순례가 목적인 경우도 크게 늘고 있다. 가가와현의 사누키우동 투어는 이런 글로벌 식도락 투어 붐의 대표적인 사례이다. 일본 네 개의 섬 중 가장 작은 섬인 시코쿠에는 우동왕국 ‘가가와현’이 있다. 우동에 미처 사는 사람들이 의리를 지키는 고장, 그래서 붙여진 별명이 ‘우동 현’이다. 이 시골마을에서 사누키우동이 발전한 것은 우동을 만드는데 최적인 환경이 조성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양질의 밀, 세토우치해에서 잡히는 잔멸치, 그리고 쇼도시마에서 만들어지는 간장 등 우동의 주재료들을 쉽게 구할수 있었기에 우동은 그들 삶에 자연스레 스며들었다. '사누키우동 순례'는 하루 두끼 이상 사누키우동을 즐기며 유명 우동집을 2~3일에 걸쳐 맛보고 다니는 여행을 말한다. 여행 상품을 보면 우동버스 투어, 우동학교 체험 등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다. 우동은 가게마다 그 맛이나 특징이 제각각이다. 착한 가격의 우동집들이 즐비해 있어, 하루 종일 우동을 먹고 돌아다녀도 우동값으로 1000~2000엔 정도가 든다고. 우동